2024.11.28 (목)

  • 맑음동두천 -2.3℃
  • 맑음강릉 1.4℃
  • 서울 -1.0℃
  • 구름많음대전 0.1℃
  • 맑음대구 2.6℃
  • 맑음울산 4.8℃
  • 광주 3.9℃
  • 맑음부산 5.1℃
  • 흐림고창 3.2℃
  • 제주 8.9℃
  • 구름많음강화 -2.4℃
  • 흐림보은 0.6℃
  • 구름많음금산 2.4℃
  • 구름많음강진군 6.1℃
  • 맑음경주시 4.6℃
  • 구름조금거제 5.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정책

<세미나중계> 환경교육 `읽기' 아닌 `느끼기'


평가원, 韓·濠 환경교육세미나

"여건이…" 교사 71% 교실 강의수업
부전공·상치교사도 부실 교육 원인
전공 교사 양성·학습자료 개발 시급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박도순)이 25일 개최한 `한국과 호주에서의 학교 환경교육 강화방안' 국제세미나에 따르면 우리 나라 학교 환경교육이
부실의 악순환을 끊으려면 전공 교사를 양성하고 체험중심의 학습과정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환경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한국의 교과교육에서의 환경교육 강화방안'을 발표한 최돈형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은 "올 3월 현재 환경과목을 선택하고 있는 중고교가 각각
12.4%, 19%에 불과하다"며 "또 중등학교에서 환경과목을 지도하는 교사 1127명 중 환경 부전공자는 361명, 전공자는 9명에 불과해
환경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가 67%에 이른다"고 실태를 지적했다. 이어 최 연구위원은 "94년부터 강원대, 한국교원대 등 수 십 여 대학에서
자격증 소지자가 배출되고 있지만 임용시험에서 환경과 교사를 모집한 숫자는 지난해 처음 충남과 경남에서 5명을 뽑은 게 전부"라고 말했다.
더욱이 환경교과를 선택한 일부 학교에서는 담당 시간 수를 고려해 과목 상치교사가 환경과를 맡음으로써 자격 소지자의 임용을 억제하고 환경교육의
질은 낮아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 연구위원은 "부실한 학습자료, 비전문적인 교사에 의해 강의 중심으로 이뤄지는 환경수업은 학생들에게 불필요하다"며 "환경교육진흥법을 제정하는
등 법적, 행·재정적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교사 양성과정에 환경 관련 과목을 필수로 하고 중등학교에서 환경과를 보다 많이
선택하게 하는 동시에 환경 교사자격증 소지자를 우선 선발·임용하게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역특성에 맞는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보급 ▲영상을 중심으로 한 교재와 실험실을 위한 교구 확충 ▲시·도교육청의 `이동환경교육차'
운영 등에 정부의 관심과 투자를 촉구했다.
이선경 연구원(한국교육과정평가원)도 `한국의 환경교육 교수·학습과 평가'를 주제로 발표하면서 초중고 교사 1700여 명을 설문해 얻은 `환경
교육의 실태' 결과를 내놨다. 이에 따르면 교사들은 `환경교육의 바람직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해 현장학습(73.9%), 조사(46.7%),
토론(36.8%)을 꼽으면서 강의는 12.8%만이 응답했다. 그러나 실제로 `교과서에 많이 나오는 환경교육 교수·학습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강의(61.5%), 조사(58.4%), 토론(44.1%), 현장학습(38.1%)을 꼽았으며 `실제 수업에 사용하는 교수·학습방법'을 묻는
항목에서는 강의(71.3%), 조사(47.3%), 토론(46.8%), 현장학습(11.7%) 순으로 나타났다.
또 `바람직한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작업일지와 자료 등을 평가하는 포트폴리오법(80.8%), 관찰법(77.9%), 연구보고서법(65.6%),
서술형 지필고사(31.7%), 객관식 지필고사(14.9%)를 들어 지필고사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을 나타냈다. 그러나 `주로 사용하는
평가방법'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관찰법(60.4%) 다음으로 서술형 지필고사(54.1%), 객관식 지필고사(48.4%)를 꼽아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드러냈다.
이 연구원은 "역할놀이나 컴퓨터 이용 학습 등 다양한 학습법이 교과서에 거의 반영돼 있지도 않고 교사들도 이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다"며
"교과서에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교수·학습법이 다양화 돼도 평가가 객관식 지필검사를 벗어나지 못한다면
교육과정 전체가 무의미해지므로 평가 방식도 개발·보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환경 관련 교과 교사에 대한 연수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토론에서 신호상 교수(공주대 사범대 환경교육과)는 "그 중요성에 비춰볼 때 환경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 환경전공 교사가 교과목을 담당하게
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부실 교육을 초래하는 환경 부전공 자격연수를 중단하고 정부는 환경 전공교사에 대한 수급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성철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