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은 전화, 특히 휴대폰으로 소식을 주고받습니다. 하지만 옛날에는 주로 편지로 소식을 주고받았습니다. 그래서 할아버지, 할머니들께서는 군대를 가거나 멀리 당신들의 품을 떠난 자식들에게 소식이 궁금할 때, “기별이 왔느냐?” 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근대 신문이 발간된 것은 1883년에 박문국에서 나온 ‘한성순보’가 그 시작이다. ‘한성순보’는 순간(旬刊), 즉 10일에 한 번 발간되는 신문으로 국가에서 발행하는 관보(官報)였다. 관보는 헌법개정을 비롯하여 각종 법령·고시·예산·조약·서임·사령·국회사항·관청사항 등 국가에서 국민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내용을 써서 발행되는 신문이다. 한성순보는 처음에 한글과 한문을 함께 쓰는 국한문체로 발간하기로 계획했으나, 보수파(수구파)의 반대로 한문으로만 쓰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일간지는 독립협회에서 발간한 민간 신문인 ‘독립신문’이다. 1896년 한글과 영문으로 발간된 이 신문은 일반 대중에게 자유, 민권 사상을 알리기 위하여 만들어졌으나 1898년 독립협회의 해산과 더불어 폐간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근대식 신문이 발행되기 이전에 우리나라에는 신문이 없었을까? 물론 있었다. 그것은 ‘조보(朝報)’이다. 이 조보야말로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인데, ‘궁궐일보’라고 할 수 있다.
‘기별’이라고도 불렸던 조보는 국가에서 발간하는 관보로, 사람이 직접 써서 만든 필사(筆寫) 신문이었다. 조선시대 태조(재위:1392~1398) 때부터 춘추관(역사에 관련된 책들을 만드는 관청)의 사관으로 하여금 전날 저녁에서 그 날 아침까지 반포된 국왕의 명령과 결재 사항, 견문록을 한문과 이두로 기록하도록 하여 각 관청에 보내 주었다. 이후 조보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자 주무 부처가 춘추관에서 왕의 비서실인 승정원으로 바뀌었고, 조보의 보급이 중앙 관청에서 지방 관청과 양반층에게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다 보니 ‘조보가 배달되었느냐’는 뜻인 “기별 왔느냐?” “기별은 받았느냐?”는 등의 말이 ‘소식을 들었느냐?’는 뜻으로 민간에서 바뀌어 쓰이게 되었던 것이다.
조보는 고종 31년(1894) 11월 21일 승정원이 없어질 때까지 꾸준히 발행되었다. 관보인 조보뿐만 아니라 민간 신문도 발행되었다. 선조 11년(1578)에 당시 지도층 양반을 중심으로 발행된 민간 신문은 관보인 조보의 내용을 담아서, 날마다 만들었던 일간 신문이었다. 오늘날처럼 구독료를 받아 운영했으며 조정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독자를 확보했다. 그러나 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임금이 “이것이 이웃 나라에 흘러 나가면 나라의 좋지 못한 것이 알려진다”며 신문을 폐간시켰으며, 신문 발행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귀양 보내 버렸다. 그 때문인지 그 이후에 독립신문이 나올 때까지 민간 신문이 발행되지 못했다.
참고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 기자는 ‘서유견문’을 지은 유길준이며, 최초의 여기자는 1924년 조선일보사에 채용된 최은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