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2일 열리는 서울시교육감 선거에 약 10명의 후보가 출마해 '선거폐인'이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 나오고 있다.
2008년 7월 첫 직선 당시 서울시교육감 선거전에 뛰어들었던 상당수 후보가 최소 수억원에서 최대 수십억원의 빚을 지고 지금까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당시 개인재산을 털어 선거를 치렀던 한 후보는 지인들에게 "선거에서 지고 선거비용 보전 최저 득표율도 넘지 못해 빚더미에 올라 매우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낸다"고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계 출신의 그는 선거 이후 직업도 없이 1년 이상 무직자로 지냈을 뿐 아니라 선거 빚을 갚지 못해 기본적 생활도 어려웠다고 한다.
선거비를 과도하게 쓴 다른 후보는 수십억 원의 빚을 지고 저당잡힌 집까지 넘어가 도피생활을 하는 신세가 됐다는 소문도 있다.
당시 후보 4~5명이 경제적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 한때 재선에 성공해 부러움을 샀던 공정택 전 서울시교육감마저 선거비용 문제 등이 겹쳐 구속됐을 뿐 아니라 수십억 원의 선거비용까지 물어내야 할 처지에 빠졌다.
교육감선거를 치르고서 상당수 후보가 빚의 늪에 빠지는 것은 현행 공직선거법 때문이다.
이 법에 따르면 교육감 선거에서 총 유효투표 수의 10% 이상을 얻지 못한 후보는 선관위로부터 선거비용을 보전받지 못한다.
교육감 후보는 정당에 가입할 수 없어 경제적 지원을 못 받는데다 선거 전 공직에서 물러나야 해 낙선하면 '백수'가 될 공산이 커진다.
올해부터 본 후보 등록 이후 후원회를 운영할 수 있지만, 불황 탓에 유력후보 2~3명을 제외하면 후원받기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무리한 유세가 경제적 발목을 잡은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지만, 유세를 많이 할수록 선거에서 유리해지는 현실을 고려하면 무조건 이기고 봐야 하는 후보들한테는 선거전에서 큰 위협이 안 된다.
20여 일 앞으로 다가온 올해 선거 역시 2년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현재 진보, 보수 단일후보를 중심으로 10여 명의 후보가 본선에 뛰어들 태세다. 지난 번 선거에서 수십억 원의 빚을 지고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호소해온 후보도 포함돼 있다.
예비후보 상태인 이들은 본후보 등록비용 5천만원과 홍보비용 등을 포함해 최소 3억~5억원을 선거관리위원회에 선납해야 한다. 선거사무소를 차린 일부 후보는 이미 10억원이 넘는 돈을 썼다는 소문도 있다.
한 교육계 인사는 10일 "1명만 교육감으로 당선될 수밖에 없는 선거구조에서 나머지 후보들은 '선거폐인'으로 전락할 개연성이 크다. 선거 전반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