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전반에 다문화 바람이 불고 있지만 정작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다문화 담당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이 모자라고 성인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의식 교육 과정도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YWCA가 16일 서울 중구 명동 서울YWCA에서 '지역사회의 다문화 교육 다각화를 위한 효과적 접근방법 모색'이라는 주제로 연 포럼에서 여러 참석자는 이 같은 내용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성인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울YMCA의 대학생 자원봉사팀인 '돋움교사'로 활동하는 장민지 씨는 '초등학교에서 한 학기'라는 발제를 통해 "여러 아동이 있는 앞에서 교사가 '이 아이 때문에 힘들다'고 함부로 말하는가 하면, 다문화 가정 출신 아동들만 모아 가르치며 차별한다"고 꼬집었다.
장 씨는 "한국말을 잘 못하는 부모 탓에 언어 능력이 떨어지는 다문화 아동에게 학교가 획일적 교재로 주입식 교육을 한다"면서 "다문화 가정의 아동이라고 별도 구분하는 게 아닌지 우리가 스스로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우 무지개청소년센터 다문화팀장은 외가가 있는 외국에서 자라다가 한국에 왔거나 외국에서 태어났다가 어머니가 재혼해 한국에 온 '중도 입국' 청소년이 최근 늘어난다고 소개하며 "인격이 어느 정도 형성되고 감성적으로도 예민한 청소년기에 온 이들이 많아 한국 사회 적응이 어렵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은 대부분이 생활관습이나 음식문화, 놀이체험 등에 치중할 뿐이지 소수집단에 대한 이해와 고민은 없다"며 "현재 다문화 교육에는 다수자의 개방적 인식과 태도 변화에는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역사회에서 이주민을 지원할 수 있는 '다문화 코디네이터'가 필요하며 지원 프로그램의 내용과 절차를 표준화하는 '프로그램 진행자'도 필요하다고 김 팀장은 주장했다.
김 팀장은 "궁극적으로 다문화교육은 이주민을 포함한 타인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 공존의 방법을 모색하는 시민교육이라 할 수 있다"며 "이 시민교육은 사회 통합과 공존의 의미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과 태도를 배우는 교육을 뜻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는 다문화 어린이 도서관 강사로 일하는 몽골 이주여성, 인도 출신의 다문화학교 강사 등이 나와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