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9.13 (금)

  • 흐림동두천 24.8℃
  • 흐림강릉 25.2℃
  • 서울 26.1℃
  • 구름조금대전 27.4℃
  • 맑음대구 29.2℃
  • 구름조금울산 26.9℃
  • 구름조금광주 28.5℃
  • 맑음부산 28.1℃
  • 구름조금고창 26.8℃
  • 맑음제주 28.7℃
  • 구름많음강화 25.8℃
  • 구름많음보은 25.3℃
  • 구름조금금산 26.6℃
  • 맑음강진군 27.1℃
  • 맑음경주시 27.2℃
  • 맑음거제 26.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불이 뜨겁지 않고 차갑다면?… 상상력을 글쓰기로!

⑥ 독서와 교과 연계- 수학

교육과정에서 과학 독서와 글쓰기가 강조되고 교육과학기술부에서 펴낸 ‘독서교육매뉴얼’에도 과학 편이 포함돼 있으나 과학교과와 독서를 연계하는 일은 교사에게나 학생에게나 쉬운 일이 아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과학교과는 다양한 해석과 상상력의 여지를 남기는 인문교과와 달리 탐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객관적 실험 결과를 이해하고 배우는 내용으로 구성됐기 때문이다. 특히 이런 지적 훈련을 오랫동안 교단에서 반복한 과학교사에게 독서지도는 낯선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어렵고 낯설다고 피해갈 수는 없는 일. 학생과 교사가 즐길 수 있는 과학교과와 연계한 독서지도 사례를 소개한다.


‘과학’이 어렵다면 ‘과학자’부터

■ 과학자 독서카드=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에 흥미가 있지만, 중학생이 되고 점점 이론 습득이 많아지면서 과학을 어렵게 느낀다. 고학년이 되면 아이들은 과학이란 단어만 들어가도 거부하는 지경에 이른다. 이런 학생들에게 생소한 내용의 과학 도서를 읽게 하거나 교과서를 읽으라고 한다면 흥미만 떨어질 뿐 독서지도가 될 리 만무하다. 과학 독서에는 다른 영역의 독서에 비해 아이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

무조건 원리와 내용부터 제시하거나 생소한 내용으로 접근하기보다는 학생들 모두 알 수 있는 교과서 속 과학자들의 전기를 통해 과학자들의 삶을 살펴보는 것에서부터 출발해볼 수 있다. 활동을 할 과학자를 정하기 전 학생들에게 교과서에 등장하는 과학자들의 이름을 추려보도록 하는 것도 좋다. 과학 교과서는 학생들에게 익숙한 책이고, 늘 보던 책에서 과학자 이름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기 때문에 모든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

전기를 선택할 때는 학생들의 독서 시간과 흥미를 고려해 너무 두껍거나 어려운 책은 피해야 한다. 전기를 읽은 후에는 해당 과학자에 대한 설명과 대표적인 이론 등을 기록한 과학자 카드를 만든다. 이 활동을 통해 과학에 친숙하게 접근할 뿐 아니라 과학자의 삶에 담긴 과학에 대한 시각을 넓히고 교과서에 등장하는 과학적 사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경험 가능한 주제는 토론도 가능

■ 생활 속 과학도서 활용=학생들이 과학에 친숙하게 접근하도록 하는 다른 한 가지 방법은 일상의 삶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과학에 대한 책들을 읽도록 하는 것이다. 과학이란 일상생활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며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게 되는 과정이란 걸 느끼게 되면 학생들도 흥미를 갖게 된다. 과학이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과학수업 내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생각해볼 기회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생활 속의 과학’에 대해 읽을 수 있는 사례들에는 ‘과학으로 본 ○○○’ 같이 과학의 원리와 자연현상을 쉽게 풀어쓴 입문서, 환경에 대한 이슈를 소재로 한 환경 소설, 신문이나 월간지 속 기사 등이 있다. 과학을 다룬 학습만화도 활용할 수 있다.

과학도서라고 해서 반드시 과학‘만’을 다룬 도서일 필요는 없다. 최근에 STEAM 교육이 강조되는 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지식의 통합’이 날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과학사, 과학과 사회, 인문학과 과학 등을 다룬 서적들을 읽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다양한 분야의 글들을 과학수업과 연결짓는 교육은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를 기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생활 속 과학도서는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일상생활에 익숙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다루고 있기 때문에 토론 수업에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환경오염,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유전공학, 과학윤리에 대한 도서는 학생의 경험과 가치관에 비춰 토론할 내용이 많다. 다만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책에서 얻는 정보를 이해하는 차이가 있으므로 도서 선정 시 난이도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교사가 특정 주제, 가치에 대해 간접적으로 지지를 하게 되면 학생은 소신 있게 토론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토론 후에는 가벼운 토론 평가를 하는 것이 좋다.

토론을 진행하고 쟁점을 유도해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찬반 의견으로 대립 토론을 진행하기보다 다양한 가치와 대안을 모색하고 발표하는 과학토론 수업을 권장한다. 교사는 학생의 소수 의견, 창의적 대안을 격려하고 협력적인 토론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새로운 주제와 영역에 관심을 갖도록 제시하는 것이 좋다. 토론이 부진한 모둠에 관심 갖고 토론 활동을 촉진 하는 역할도 교사에게 필요하다.





과학적 사실과 다른 상황 제시
결과 상상 글쓰기로 창의성 ↑

■ 과학 창작 글쓰기=학생들이 과학 글쓰기를 생각할 때는 ‘과학의 달’ 행사로 하는 독후감 쓰기나 입시에 필요한 과학 논술 등이 웅선이다. 그러나 과학을 재미있게 접근하면서도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끌어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과학을 소재로 한 창작 글쓰기를 할 때 학생들은 배운 과학적 사실을 적용해 보는 창의력과 상상력의 날개를 펼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과학 창작 글쓰기의 사례로는 과학적인 사실과 다른 상황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상상해 보는 글쓰기가 있다. 예를 들어 불이 뜨겁지 않고 차갑다면 어떤 장면이 벌어질 지 상상해 보는 글을 쓰도록 하는 경우다. 이 때 연소에는 발화점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든지, 화력발전을 위해서 열로 물을 수증기로 만드는 과정이 필수적이라는 과학적인 요소를 응용함으로써 차가운 온도에서 불이 난다든지, 화력발전이 불가능해진다는 예측을 할 수 있다. 동시에 가스레인지를 요리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창의적인 발상도 가능하다.


‘공상’만 가득한 수다 늘어놓더라도…

▨ 경기 호원중 황선영 교사의 ‘SF 시나리오 제작’ 수업
책에서 배운 내용을 갖고 줄거리를 구상하고 시나리오 형식으로 한 장면을 쓰라는 것은 책읽기와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난감한 주문이었다.

그래서 학생들을 모둠으로 나눈 뒤 함께 아이디어를 나눠보고 1시간 동안 공상과학영화 줄거리 창작을 시켜보기로 했다. 가능한 한 원하는 학생들끼리 모일 수 있도록 했으나 소외되는 학생이 없도록 해 달라는 부탁도 수업 시작 전에 미리 전했다.

아이들은 모둠끼리 머리를 맞대고 ‘공상’만 가득한 수다를 늘어놓기 시작했다. 그래도 공동 창작 작업을 통해 아이들이 즐겁게 참여하는 과정에서 ‘과학’도 곁들여진 한편의 영화줄거리들이 만들어졌다.
작품들이 완성되자 교실 벽에 붙여 공유했다. 아이들은 다른 모둠 작품도 읽으며 웃기도 하고, 감탄하기도 하며 즐거워했다. 아이들이 서로의 작품을 충분히 읽을 시간을 준 후 자기 모둠을 제외한 다른 모둠에 한 표씩 행사해서 평가를 하도록 했다.
그러던 차에 학교 축제 계획이 나오자 함께 만든 공동 창작품인 시나리오를 축제 때 미니북으로 만들어 팔기로 했다. 수익금은 ‘포천 다문화가정지워센터’에 기부하기로 했다.
친구들끼리 모둠으로 함께 시나리오를 제작하는 수업을 통해 처음에 관심을 갖지 않던 학생들도 활동에 애착을 갖게 됐다. 한 학생은 “과학에 이렇게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본 처음이다. 처음에 시나리오를 쓴다고 했을 때는 반응이 좋지 않았지만 함께 작품을 만들다 보니 어느새 흥미가 생겼다”고 소감을 남겼다.

“과학독서‧글쓰기 교과서에 담아야”

▨ 김태호 교사의 창의적 독서토론 지도법


경기 의정부 발곡고 김태호 교사(43․사진)는 “과학 독서토론 수업을 할 때 과학자의 삶에 대한 도서를 선정하면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과 연계해 생각하기가 쉽다”고 과학 독서토론 수업을 활성화의 노하우를 알려준다. “단순한 독후활동을 벗어나 과학자의 삶과 사고방식을 통해 과학하는 정신과 태도를 배우고 자신들의 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과학 독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살아있는 배움”이라고 강조하는 김 교사의 창의적 독서토론 지도법을 들어봤다.

- 과학과 독서를 연계한 활동 중 효과적이었던 활동을 소개한다면.
“‘바다를 품은 책 자산어보’라는 책을 함께 읽고 정약전의 탐구 정신에 대한 토론 활동을 했다. 유배지에서도 비관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것에 관심 갖고 탐구하는 모습에 학생들이 감동한 것이다. 후속 활동으로 학생들도 정약전이 흑산도 어류를 정리한 것처럼 지역의 가치 있는 것들을 찾아 정리하도록 했다. 학생들은 동네 어르신, 부모님, 동사무소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찾아냈고, 한 모둠은 자산어보를 따라 청학리의 새와 산에 있는 생물을 조사한 청조산보(靑鳥山譜)를 만들기도 했다.”

- 과학교사가 독서교육을 할 때 중점을 둬야 할 부분은.
“가장 중요한 것은 생각의 흐름을 읽는 것입니다. 생각의 흐름 중에서 자신의 생각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자신의 생각과 같은 주장을 하는 또 다른 과학 책을 찾아 읽으며 책 속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렇게 생각의 흐름을 읽되 비판적 독서를 하고 여러 번 읽어 학문의 깊이를 측정해 보는 자세가 과학 독서의 핵심이다.”

- 과학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해 과학교육과정에 개선할 부분이 있다면.
“2009 개정교육과정에 과학독서와 과학글쓰기가 강조돼 있지만 추상적인 교육과정 서술로만 나오기 때문에 교사들이 관심을 갖지 않는다. 과학 수업시간에 실제로 책을 읽고 글을 써볼 수 있도록 과학독서와 글쓰기를 구체적인 단원으로 교과서에 배치해야 한다.”

- 동료 교사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과학 독서 전문가의 조언은.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의 조언을 소개하고 싶다. 과학 책 읽기는 책을 읽고 난 다음 감상문 수준의 글을 써 내게 하는 것보다는 토론 시간을 충분히 갖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 최 교수의 조언이다. 충분한 토론을 거친 다음 처음에 가졌던 의문점 또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질문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에세이를 쓰도록 하는 것이 과학 마인드를 함양하는 데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 이번 학기에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수업 방식이 있다면.
“올해는 과학 수업에서도 수준별 수업을 할 예정이다.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배움 중심의 수업을 준비하려 한다.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학생 수준에 맞게 여러 도전 과제를 중심으로 과학 원리를 익혀나가려는 것이다. 과학의 기본 원리를 익힐 수 있는 과학 고전도 수업 시간에 함께 읽고 토론하면서 교과 내용의 재구성을 시도하려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