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한 언론의 성급한 보도 때문에 ‘입학사정관 폐지’가 거론됐다. 그러나 입학사정관제가 정말로 잘못된 제도일까.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들을 과연 그런지 하나씩 생각해보자.
첫째, 정말로 사교육을 유발하나? 지난 달 8일 건국대는 입학사정관전형 합격생의 96.4%가 사교육 경험이 없었지만 정시모집 전형 합격생들은 89.8%가 사교육 경험이 있다고 발표했다.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누가 무엇 때문에 그런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일까. 참고로, 영어수학 등 수능내신관련 사교육시장의 규모는 교육부, 통계청 조사로는 연간 19조 원, 실제로는 33조 원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자기소개서 대필해도 합격 못 해
둘째, 자기소개서 대필은 어떨까. 사례가 보도된 적도 있다. 자신이 써서 제출하는 방식이니 대필의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함정이 있다. 그래봤자 합격이 어렵다는 것이다. 입학사정관제는 자기소개서로만 학생을 뽑지 않는다. 1차 서류합격 후 집중적인 자기소개서에 대한 압박 확인면접을 한다. 활동과 독서이력, 그리고 동기와 과정에서 느낀 이야기들을 교수와 입학사정관들이 검토해 자기소개서와 내용이 다르면 걸러진다. 표절검색시스템도 날로 강화되고 있고 적발 시 큰 불이익을 받는다. 학생부, 각종 활동, 인성, 열정, 스토리, 추천서, 증빙서류 등 2중, 3중의 장치를 통해 검증한다. 그 과정에서 학생이 어떤 동기로 얼만큼 성장했는지 다면적으로 평가한다.
셋째, 추천서와 학교생활기록부의 공정성 여부를 살펴보자. 명문대 합격생이 성폭행 사건에 연루됐음에도 교사가 추천서에서 이 사실을 누락한 것이 밝혀져 합격이 취소된 사례가 있어 공정성 여부가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해보면 입학사정관제이기 때문에 인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수능과 논술로 합격했다면 그 사실이 알려졌어도 합격취소는 없었을 것이다. 학생부도 감사원의 부당사례발표 이후 오히려 지나치다 할 만큼 임의수정이 어려워졌다. 위반하면 교사가 징계를 받는다. 제도의 문제점은 개선된다. 부분으로 전체를 호도하거나,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지 말자.
넷째, 전형의 종류가 너무 많아 혼란을 조장한다는 주장도 있다. 사실 전형이 다양하다는 것은 자신의 장점을 살려 대학을 갈 수 있는 기회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문제는 ‘정보’다. 기본은 지망하는 대학의 입시요강을 한 번이라도 들여다보는 노력이다. 학생의 그런 노력과 열정까지도 평가하는 것이다. 자신이 가기 원하는 대학과 학과가 원하는 인재상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일찌감치 꾸준히 준비해야 하는 것이다. 게다가 최근 발표된 각 대학의 2014학년도 입시전형안은 그동안의 혼란을 잘 정리하고 있기도 하다. 서울시립대를 예로 들자면 학생부에 기재된 자료만 평가에 반영하며, UOS포텐셜, 학교생활우수자 전형을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통합했다.
정시보다 성취도 높고 이탈율 낮아
마지막으로, 공부는 못하면서 부모의 재력으로 진학하는 현대판 음서제도라는 비판은 어떨까. 공부 못하는 아이들이 입학사정관 제도로 부당하게 대학에 진학하는 것일까. 입학사정관전형 합격생들은 입학 뒤에도 다른 학생에 비해 높은 성취도를 보여 주고 있다. 한양대의 분석자료에 따르면 2010∼2012학년도 3년간 입학사정관전형으로 한양대에 합격한 학생의 학점평균은 3.43으로 정시모집 일반전형 합격생보다 0.16 높다. 각 학과의 성적 최상위권 학생들은 대부분 입학사정관전형으로 합격한 학생이며, 학교를 중간에 그만두는 비율도 정시모집 합격생의 절반 수준이다.
우리 아이들의 꿈과 소질을 키워주는 교육.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와 활동을 찾아 신나게 공부하며, 타인을 배려하고 진정으로 봉사하는 마음을 길러주고, 호기심에서 비롯된 아이디어로 지식경제기반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새로운 리더를 만들어 내는 교육으로 대학을 갈 수 있는 입학사정관제를 포기하면 안 된다. 교육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