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흐림동두천 4.8℃
  • 구름조금강릉 5.0℃
  • 흐림서울 5.7℃
  • 맑음대전 5.1℃
  • 맑음대구 6.9℃
  • 맑음울산 7.1℃
  • 맑음광주 5.9℃
  • 맑음부산 7.9℃
  • 맑음고창 4.7℃
  • 구름조금제주 9.0℃
  • 흐림강화 6.3℃
  • 구름많음보은 1.3℃
  • 맑음금산 5.4℃
  • 구름많음강진군 3.5℃
  • 맑음경주시 6.9℃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사랑한다면, 음악 ‘공부’ 시키지 말라!

김이곤 포니정홀 예술 감독의 ‘뮤직 샤워’

음악은 외우고 시험 보는 교과목 아냐
클래식인구 1%미만…흥미 잃었기 때문



‘콩나물을 키울 때 하루에도 몇 번씩 물을 주듯이, 우리가 매일 샤워를 하듯이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음악을 들려주자.’

김이곤(50․사진) 포니정홀 예술 감독이 주창하는 ‘뮤직 샤워’의 뜻이다. 짧든 대충이든 음악을 자주 듣는 것이 흔히 말하는 감성, 지성, 인성 이 세 가지를 모두 만족시키며 학생들을 길러내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7세 이하 콘서트’ 기획 및 제작, 기업, 학교, 단체 대상 ‘클래식과 친해지기’ 강의 등 클래식 음악 확산에 힘쓰고 있는 김 감독은 얼마 전 ‘사랑한다면 음악공부 절대 시키지 마라’라는 제목의 책을 펴냈다. 음악공부를 ‘절대’ 시키지 말라니. 이 역설적 표현에는 음악교육에 대한 그의 철학이 고스란히 담겼다. 음악은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하는 것이지 외우고 시험 보는 교과목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김 감독은 “대한민국의 음악교육은 들어보지도 못한 아이들에게 바로 말하라고 강요하는 것과 같다”고 말한다. 초등학생의 95%가 피아노 학원에 다닌 경험이 있지만 클래식 인구는 1%에도 못 미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선생님이 시키는 대로 무작정 따라하는 테크닉 위주의 수업이 아이들의 흥미를 잃게 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우선 많이 들려주세요. 예술은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입니다. 작곡가가 음악을 통해 무슨 말을 하고 싶었는지 듣고자 할 때 진정한 감상이 이뤄집니다. 공감능력을 기르는데 이보다 탁월한 수단이 또 있을까요.”

그는 “폭력, 왕따로 얼룩진 학교현장에 대한 뉴스를 보면 안타깝다”며 ‘스쿨콘서트’를 열 것을 제안했다. “학생, 교사, 학부모가 동일한 공간에서 음악을 들으며 감동을 공유하고 신뢰를 쌓았는데 어떻게 학부모가 교사의 뺨을 때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연주자 섭외도 어렵지 않습니다. 이제 우리나라 클래식은 세계적 수준에 올라섰어요. 유학을 다녀온 수준 높은 음악인들이 넘쳐나지만 현실적으로 이들이 설 무대는 많지 않다는 실정을 학교 입장에서는 오히려 잘 활용(?)해 수준 높은 음악을 선사하면 어떨까요. 저 역시 학생들을 위한 공연, 많이 만들고 돕겠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