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흐림동두천 4.8℃
  • 구름조금강릉 5.0℃
  • 흐림서울 5.7℃
  • 맑음대전 5.1℃
  • 맑음대구 6.9℃
  • 맑음울산 7.1℃
  • 맑음광주 5.9℃
  • 맑음부산 7.9℃
  • 맑음고창 4.7℃
  • 구름조금제주 9.0℃
  • 흐림강화 6.3℃
  • 구름많음보은 1.3℃
  • 맑음금산 5.4℃
  • 구름많음강진군 3.5℃
  • 맑음경주시 6.9℃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강치 이야기’로 배우는 독도 생태주권

서울 신서중 ‘독도의 날’ 공개 특별수업
역할극·편지쓰기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



“2월 14일, 3월 14일, 11월 11일이 무슨 날일까요?”

21일 서울 신서중 3학년 11반 교실. 독도의 날을 기념해 열린 특별 수업시간에 박에스더 교사가 이렇게 묻자 학생들은 “발렌타인 데이요!, 빼빼로 데이요!”하고 자신 있게 대답했다. 박 교사가 이번에는 10월 25일이 무슨 날이냐고 물었다. 학생들은 순간 멈칫하며 쉽게 답을 내놓지 못했다. ‘독도의 날’이라는 설명이 붙자 몇몇 아이들이 겸연쩍은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였다.

교총과 우리역사교육연구회, 전국지리교사연합회가 ‘독도교육 특별수업 주간’을 맞아 공동 마련한 공개수업은 ‘독도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주제로 실시됐다. 이날 수업은 특히 일본의 불법 어획으로 멸종해버린 동물 ‘강치’를 주제삼아 환경연극을 진행해 학생들의 관심을 끌었다.

박 교사는 분단별로 그룹을 나눠 강치가족, 울릉도 어부와 해녀, 일본 상인 및 내무성 서기관 등 등장인물을 맡긴 뒤 학생들이 직접 대사를 읊게 했다. 환경연극은 일본 어부 ‘나카이 요사부로’가 강치를 독점해 부자가 되려고 일본 내무성에 독도 강제 편입 청원서를 제출한 사건을 그렸다. 이를 통해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게 된 단초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밖에도 독도의 생태 주권은 누가 지킬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고 ‘독도과거대회’에 참가자 김민성 군과 학생들이 기획하고 진행한 교내 독도캠페인에 참여했던 김강은 양이 나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수업은 독도강치복원국민운동본부가 진행하고 있는 ‘독도강치 편지보내기 운동’에 보낼 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 마무리 됐다.

강치를 수업 주제로 택한 이유에 대해 박 교사는 “강치는 우리나라에서 일본의 불법 어획으로 멸종해버린 동물로 1905년 일본이 독도를 강제 편입하던 시점과 맞물리am로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함께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수업 주제”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까지의 독도계기교육은 한일관계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거나 독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형태로 진행됐다”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학생들이 독도의 생태학적 가치와 생명의 존엄성을 함께 생각해볼 수 있도록 수업을 준비했다”고 덧붙였다.

유준호 군은 “강치에 대해 잘 몰랐었는데 소중한 생명이 인간의 욕심으로 사라지게 됐다는 사실이 가슴 아프다”며 “강치가 복원되고 독도가 온전한 우리 땅이 될 때까지 앞으로도 관심 갖고 공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특별수업은 24일 서울홍연초(이윤수 교사) 및 전국 각지에서 실시됐으며 독도의 날 수업자료는 한국교총 홈페이지(www.kfta.or.kr) 공지사항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