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몬 선발 10여 회…전국대회 상위권
방과후·방학 하루 10시간 씩 ‘맹훈련’
국내 최초 스키 교본 개발에 참여
일본식 용어 탈피·개념 정립도 다시
학교생활 소홀치 않게 보직 더 맡아
스키캠프 열고 아이들 지도하기도
‘스키의 신’으로 칭호 받는 데몬스트레이터(Ski Demonstrator․이하 데몬). 스키를 사랑하는 마니아들이라면 한번쯤 꿈 꿔봤을 법한 로망이다. 스키 데몬이란 스피드를 겨루는 알파인 스키와는 달리 정확한 기술 구사 여부로 실력을 평가 받는 ‘시범자’이자 ‘스키의 교본’이라 할 수 있다. 대한스키지도자연맹이 대회를 거쳐 매년 15명 내외의 국가대표 데몬을 선발하며 임기는 1년이다. 이처럼 스키어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는 데몬으로 무려 10년 가까이 활동한 현직 교사가 있어 화제다. 김건수 경기 한광중 교사가 그 주인공. 2011년 은퇴 후 현재는 횡성 웰리힐리리조트에서 데몬 수석코치로 후배 지도자들을 양성하고 있는 김 교사를 13일 만났다.
◇스키에 미쳤던 23년…이단아에서 최고가 되기까지
김 교사와 스키의 인연은 우연한 기회에서 시작됐다. 스무 살 겨울방학 스키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다 강사로 발탁된 것. 열정과 승부욕, 도전의식에 비해 학연으로 얽힌 스키계에서 혼자 힘으로 실력을 키우는 것은 쉽지 않았다. 경희대 체대를 졸업한 김 교사는 “처음에는 이끌어줄 선배가 없어 스키를 A자 형으로 벌리고 미끄러지는 기본 동작인 ‘프르그보겐’만 하루 종일 탈 수밖에 없는 외로운 생활을 했다”고 털어놨다.
이후 대기업이 운영하는 스키학교에 참가, 프로 레이싱팀에 입단해 해외의 헤드코치로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받기 시작하면서 스키의 매력에 눈을 뜬 그는 하루 3~4시간 훈련하는 다른 선수들과는 달리 10시간 씩 ‘독하게’ 연습했다. 남들보다 더 빨리, 더 잘 타고 싶은 강한 승부욕 때문이었다. 열정을 뒷받침하는 듯 경력 또한 화려하다. 2001년부터 데몬 선발 10회, 기술선수권대회 매년 상위 랭크, 2005년 전국 모글선수권대회 2위, 2005년 대명 모글대회 2위 등 다수의 수상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 모글대회에서 특히 두각을 나타낸 것은 대학 시절 높이뛰기, 멀리뛰기 등 육상을 통해 얻은 뛰어난 점프력의 영향이 컸다.
김 교사는 스키 인생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로 세계 스키인의 축제인 ‘2007 인터스키대회’가 용평리조트에서 열렸을 때 한국 대표 데몬으로 참가했던 일을 꼽았다. 인터스키대회는 세계 30여 개국 스키 지도자들이 참여해 워크샵, 강연, 쇼 등을 통해 기술과 교수법을 비교․연구하는 행사로 4년마다 개최된다.
“당시 우리나라는 스키 교본도 없었어요. 스키에 대한 기술적 바탕이 없는 상태에서 대회를 유치한 것은 놀라운 일이었죠. 이후 스키 교본 제작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됐습니다.”
그는 우리나라 첫 스키교본 개발에 참여하기도 했다. 교사이자 프로 스키어로서의 전문성을 살려 교본 개발에 주도권을 갖고 집필한 것이다. 김 교사는 “특히 일본식 명칭이 많았던 스키 용어를 주체적으로 바꾸는데 힘썼다”며 “미끄러지는 뜻의 슬립(Slip)을 슬라이딩(Sliding)으로, 테일컨트롤(Tail control)을 테일슬라이딩(Tail sliding) 등으로 변경하고, 프르그보겐을 베이직·스탠다드·프로그레시브로 세분화 하는 등 총체적인 개념정립을 다시 해 2010년 교본을 출간했다”고 말했다.
교사로서 지낸 10여 년의 데몬 생활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대부분 선수, 지역 출신의 선․후배 집단 성향이 강한 스키계에서 틀린 것은 짚고 넘어가는 그의 성미가 이른바 ‘기득권층’의 미움을 산 것이다. “‘이단아’ 취급을 받는 한이 있더라도 편파 판정이나 잘못된 관행을 두고 볼 수는 없다”는 김 교사는 “처음에는 많은 오해를 사기도 했지만 차츰 이런 점을 인정하고 지지해주는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밝혔다. ‘입바른 소리’는 결국 그를 데몬 수석 코치로 만든 원동력이 된 것이다.
◇국가대표 스키선수가 우리 선생님…아이들도 좋아해
이처럼 그가 데몬과 교사 생활을 무리 없이 병행할 수 있었던 데에는 학교장의 배려가 컸다. 김 교사는 “교장 선생님께서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해 주고 겸직 허가도 내 준 덕분에 가능한 일이었다”며 “스키 때문에 학교생활이 불성실하다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학교생활도 더 열심히 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학생부장과 학교폭력전담을 맡고 있으며 태권도부 감독, 교총 분회장 등으로 활동하며 학교생활도 충실히 하고 있다.
김 교사의 특기는 학생들이 그를 더욱 따르는 요소로도 작용했다. “단순 체육선생님이 아니라 국가대표 스키선수가 우리 선생님이라는 생각을 갖다 보니 아이들이 수업에 더 집중하고 동기부여도 잘 되더라”는 것이다. 겨울방학에는 저렴한 비용에 스키캠프를 열고 아이들을 직접 지도하기도 한다.
이 같은 열정은 제자이자 후배 스키어를 양성하는 계기가 됐다. 그가 만든 스키캠프에 참가한 후 진로를 체육으로 정하고 현재는 김 교사와 함께 웰리힐리리조트에서 강사로 활동 중인 조성민(29) 씨가 이와 같은 케이스다. 조 씨는 “선생님이 이끌어주신 덕분에 진로도 정하고 같이 강사생활도 할 수 있게 됐다”면서 “선생님은 제 스키 인생의 ‘롤 모델’이며 늘 존경하는 마음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처음에는 한 단계씩 늘어가는 스키실력이 재미있어서 푹 빠졌는데, 요즘은 후배들이 제 것을 배워 자기 것으로 만드는 모습을 보면서 또 다른 성취감과 기쁨을 맛보고 있어요. 앞으로도 학교에서는 선생님으로서, 슬로프에서는 코치로서 제 노력과 열정을 나누며 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