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라도 착한 일을 생각하지 않으면 온갖 나쁜 일이 저절로 생겨난다.”
“장자 왈, 일일불념선(一日不念善)이면 제악(諸惡)이 개자기(皆自起)니라.”
매일 아침 8시 30분이면 글 읽는 소리로 가득한 학교가 있다. 이곳 6학년생은 중국 고전에 나오는 선현들의 금언(金言)과 명구(名句)를 모은 책인 ‘명심보감’의 한 구절을 짝꿍과 주거니 받거니, 읽어 내려간다. 한문이 익숙하지 않은 학생은 우리말 뜻풀이를, 한자 공부에 욕심이 있는 학생은 구절을 통째로 외운다. 평생 마음속에 담아두고 싶은 내용을 골라 친구에게 설명해주기도 한다. 지난 3월부터 부지런히 공부한 결과, 최근 명심보감을 떼고 논어를 읽기 시작했다. 안동 복주초 이야기다.
사실 초등생이 매일 고전을 읽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독서 습관이 몸에 밴 아이일지라도 뜻 모를 한자가 가득한 고전은 그저 어렵게만 느껴질 뿐이다. 권기매 수석교사는 “하루 10분이면 충분히 읽을 수 있는 분량을 종이에 정리해 매주 나눠줬다”면서 “한자에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한자, 음, 뜻풀이를 모두 담아 학생의 수준과 흥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게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한 초등학교의 수석교사가 펴낸 책을 본 적이 있습니다. 전교생을 대상으로 고전 읽기 프로그램을 운영한 노하우를 담은 책이었지요. 문득 부끄러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료 교사들이 아이들을 잘 가르치기 위해 노력할 동안 나는 무엇을 했는지’ 돌이켜보게 됐죠.”
권 수석교사는 함께 근무하는 교사들과 뜻을 모아 ‘통세지(統世指) 교사독서연구회’를 만들었다. 통세지는 ‘통일된 한국과 세계를 섬기는 위대한 지도자’라는 뜻을 가진다. 아이들이 바른 인성을 가진 리더로 자랄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아침 명심보감·논어 읽기와 함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는 독서 토론도 병행했다. 책 읽기에 흥미 없는 학생을 배려해 교사가 직접 책을 읽어줬다. 토론은 기억에 남는 내용과 느낀 점, 생각 등을 두서없이 이야기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형식과 틀에 얽매이지 않은 토론 방식은 학생들의 인기를 끌었고, 2학기부터 희망 학생을 대상으로 방과후 토론 모임을 운영하고 있다. 참가비는 500원이다.
권 수석교사는 “모인 돈은 북한 어린이 돕기 성금으로 쓰인다”면서 “토론 실력도 쌓고 측은지심(惻隱之心)을 배울 기회를 마련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더 나은 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은 작은 열매를 맺기 시작했다. 명심보감 구절을 떠올리며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친구와 대화할 때 상처 주는 말을 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학생도 생겨났다. 김자건 군은 “명심보감을 읽은 후로 말과 행동에 신경 쓰게 됐다”며 “생각이 맑아지는 느낌이 든다”고 했다. 최미정 양도 “기억 남는 구절에 줄을 긋고 외우면서 꿈을 이루려면 이것들을 반드시 지켜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꿈에 한 걸음 다가간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민정 교사는 “명심보감을 읽은 덕분인지 버릇없게 행동하는 아이들이 크게 줄었다. 특히 욕을 사용하는 빈도가 감소했다”고 귀띔했다. 양혜경 교사도 “고전 읽기, 독서 토론과 함께 자신의 꿈을 정해 매일 10번씩 쓰고 구체화 하도록 지도했더니 자연스럽게 진로교육이 이뤄졌다”면서 “꿈과 목표를 이루기 위해 뭐든 열심인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 가슴이 벅차오른다”고 했다.
복주초는 고전 읽기 프로그램을 전교생 대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권오룡 교장은 “학년별로 수준에 맞는 내용을 구성해 도입할 예정”이라며 “우리 아이들이 바른 성품과 실력을 갖춘 리더로 자랄 수 있도록 응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