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은…
교원 1707명 대상 실시
전체 응답자의 49%가
“학교, 인성교육 못한다”
교과 수업에 인성교육 접목
92.4%, “동의한다”고 답해
대안은…
“토론 통한 문제해결 등
수업 방식에 변화 필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인성 수준이 낮아 학교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이견이 없다. 교원들의 생각도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 학교에서 인성교육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상당수였다.
본지가 지난달 21일부터 25일까지 닷새간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교사 17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성교육에 대한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현재 우리나라 유치원생과 초·중·고등학생의 인성 수준이 ‘낮다’는 의견이 전체 응답자의 65.1%를 기록했다. ‘높다’고 답한 교원은 6.9%에 불과했다.
‘현재 재직 중인 학교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답한 교원은 전체 응답자의 81.1%(1384명)로 조사돼 대부분의 학교가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교 인성교육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는 전체의 49%(836명)가 ‘못한다’고 지적했다. ‘잘한다’고 응답한 교원은 13.8%에 그쳤고, 37.2%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학교 현장에서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주로 도입하는 프로그램은 스포츠·예술·봉사 등 교과 외 체험활동이다. 하지만 교원들이 교육 효과가 높다고 생각하는 활동은 따로 있었다. ‘교육 효과가 높은 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22.8%가 ‘예절 지도’를 꼽았고 ‘교과 수업 연계 활동(21.1%)’이 뒤를 이었다.
임소현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연구본부 부연구위원은 “대다수 학교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교원들은 교육 효과가 미미하다고 평가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교가 아이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은 10%도 안 됩니다. 특히 중·고등학교에 올라갈수록 비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어떤 방법으로 인성 덕목을 가르치느냐가 관건인 셈이지요. 하지만 체육·예술·봉사 활동은 대개 일회성이나 비정기적으로 운영되기 쉽습니다.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생 눈높이에 맞는 방법으로 지속적인 교육이 이뤄져야 합니다.”
임 부연구위원은 그 대안으로 ‘교육 과정과 인성 요소의 접목’을 제시했다. 인성교육을 교육 과정과 별개로 생각해 특정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이 아니라 수업에 녹여내야 한다는 이야기다. 교원들의 의견도 일치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과 수업시간에 인성 요소를 접목해 가르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92.4%(1577명)가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고충도 있었다. 진도 나가기도 빠듯한 학습량과 학사 일정(44.9%)과 학력·입시 중시하는 분위기(20.2%), 교육과정 재구성 등 관련 정보·연수 부족(14.4%), 학생·학부모 호응 저조(13.1%) 등의 이유로 교과 수업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천하기에는 어려움을 느낀다고 했다. 또 학교 인성교육이 활성화되려면 학생·학부모의 인식 개선(37.9%), 사회 분위기 조성(22.4%), 입시제도 개선(13.4%), 교육과정 개편(9.3%)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교원들은 입을 모았다.
임 부연구위원은 “인성교육 방법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성 덕목별로 정의가 무엇인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과거의 방법으로는 교육 효과를 거두기 어렵기 때문이다. 수업에 인성 요소를 접목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는 “수학 시간에는 친구들과 힘을 합쳐 문제를 해결하고 국어 시간에는 다른 학생들의 발표에 귀를 기울이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협동심과 소통, 배려 등을 체득할 수 있다”면서 “수업 방식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