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육은 바퀴가 망가지고 방향을 잃은 수레와 같습니다. 교육의 장기적인 목표가 출세에 맞춰졌기 때문입니다. 정보와 지식을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데 치중한 나머지 창의력·문제해결능력 계발 교육과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이 이를 방증합니다. 한국 사회에서 드러난 각종 부조리와 시스템의 허점을 바로잡을 수 있는 대안으로 교육을 꼽지만, 지금은 이마저 여의치 않은 실정입니다.” (김경동 KAIST 초빙교수)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건강사회를 위한 인성운동 세미나-위기의 한국 사회 인성에서 길을 찾는다’가 열렸다. 정의화 국회의장이 주최하고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이 주관한 이번 세미나에는 물질만능주의가 만연한 우리 사회에 인성 회복의 큰바람이 일어나길 바라는 각계 지도자들의 염원이 담겼다. 정 국회의장은 “충효(忠孝)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바탕으로 한 우리 민족은 세계의 중심에 설 수 있는 가능성을 지녔다”면서 “그 힘은 사람에서 나온다”고 했다.
“최근 발생한 세월호 사건은 하늘이 경고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본이 사라지고 물질 중심으로 흘러가는 우리 사회에 경종을 울린 것이지요. 만약 이 경고를 무시한다면 우리나라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인성운동 세미나는 사람의 힘, 인성의 부활을 위한 뜻을 모으는 자리입니다.”
김경동 교수는 ‘위기의 한국 사회, 인성에서 길을 찾는다’를 주제로 기조 발제에 나섰다. 김 교수는 “수많은 나라가 한국을 선망하지만, 실상은 세계 177개국 가운데 부패인식 지수가 46위인 국가”라고 꼬집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는 ‘한국은 너무 일찍 부자인 척 하는 나라’라고 논평했습니다. 한 때는 농업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고속 성장한 모범적인 국가였지만, 너무 빨리 나이를 먹어 위기 속에 침몰 중이라고 경고했지요. 잘 교육받은 인재와 인프라 등 여건은 훌륭하지만, 성과가 나쁘다는 점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정치적 리더십만 제대로 갖춘다면 충분히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어요. 지금이야말로 우리 사회의 발목을 잡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냉철하게 살펴 새로운 인성교육 국민운동을 펼쳐야 할 때입니다.”
그는 한국 사회윤리의 현주소와 한국 사회 시스템의 허점, 한국 교육의 맹점을 분석하면서 “인성교육이 성공하려면 각계 지도층이 모본(模本)이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창우 서울대 윤리교육과 교수는 ‘성숙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인성 회복 방안’을 발제했다. 그는 1980년대 미국에서 국가 차원의 인성교육 운동을 전개했던 사례를 제시하며 말문을 열었다.
“1980년대 미국은 부조리의 온상이었습니다. 각종 사회 문제가 터져 나와 국가적인 대재앙으로 발전했습니다. 더 이상 손 쓸 수 없는 상황에 이르자 정치인들의 주도로 인성 회복 운동이 시작됐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정치인이 빌 클린턴과 부시입니다. 이들은 인성교육을 교육 개혁의 핵심 의제로 설정하고 부모와 교사, 사회 지도층이 모범을 보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우리나라도 정부와 국회, 각종 시민단체가 힘을 합쳐야 진정한 개혁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정 교수는 국민인성회복운동의 추진 목표 8가지를 제시했다. ▲국가 교육이념으로서 ‘인성을 갖춘 인재 양성’ 설정 ▲올바른 행복관 소유 ▲삶의 목적과 바람직한 자아정체성 형성 ▲문화예술 체험을 통한 품격 있는 삶 추구 ▲멈춤의 지혜와 기술 연마 ▲직무에 대한 양심(직업윤리의식) 함양 ▲기본예절 실천 및 습관화 ▲사회적 양심과 정의 지향성 추구 등이 그것이다. 그는 “아이들의 인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성인인 우리가 먼저 성숙한 인간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