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9 (화)

  • 구름많음동두천 5.0℃
  • 구름많음강릉 10.3℃
  • 구름많음서울 7.0℃
  • 맑음대전 8.5℃
  • 맑음대구 8.9℃
  • 구름많음울산 10.1℃
  • 구름많음광주 7.6℃
  • 구름많음부산 13.0℃
  • 구름많음고창 8.4℃
  • 제주 14.6℃
  • 구름많음강화 4.8℃
  • 맑음보은 8.6℃
  • 맑음금산 8.0℃
  • 구름많음강진군 12.6℃
  • 구름조금경주시 10.5℃
  • 흐림거제 12.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변화 없는 학교, 공룡 신세 될 것”

교육행정 실무서 펴낸
손종호 대구 경암중 교사


11년간 학교 관찰, 설문조사
“실타래처럼 얽힌 우리 교육
교육과정·조직 재편성 필수”


“우리나라 공교육을 가리켜 ‘붕어빵 교육’이라고 합니다. 학교마다 비슷비슷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는 의미겠지요. 사실 우리나라처럼 공통 교육과정과 교육제도를 운영하는 경우, 특색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기가 쉽진 않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이 가고 싶어 하는 학교를 만들려면 변화는 필수죠. 학교 현장에서 숱한 시행착오를 거친 후에야 교육과정 재편성과 조직 개편이 답이란 걸 깨달았습니다. 그렇지 않고선 갓 쓰고 양복 입은 꼴이 된다는 것도요.”

최근 교육행정 실무서 ‘변하지 않는 학교는 공룡이다’를 펴낸 손종호 대구 경암중 교사(교육행정학 박사)는 “엉킨 실타래 같은 교육 문제를 해소하려면 학교가 변화를 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책은 제목부터 눈길을 끈다. ‘변하지 않는 학교=공룡’이라는 등식을 적용했다. 왜 하필 공룡일까.

“변화를 꾀하지 않는 학교는 공룡이 멸종하듯 결국 사라지고 만다는 걸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교육계는 보수적인 경향이 강해서 변화를 싫어합니다. 사회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해 관습과 타성에 젖어 변화를 거부한다면… 그 결과는 뻔하겠지요. 특히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와 목소리를 외면한다면 공교육은 결국 무너지게 될 겁니다.”

손 교사는 1999년부터 11년간 학교 문화(School Culture)를 주제로 사례 연구를 시작했다. 교사, 학생, 학부모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설문 조사와 관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사례를 연구하는 동안 교육과정만 세 번 바뀌었다. 연구 대상인 교사는 말할 것도 없었다.

그는 “수많은 외적 변화가 찾아왔지만, 정작 학교 내부에서는 큰 변화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통해 학교는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의 변화 등 외적 자극으로는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반면 학교의 존폐, 관리자·교사 교체, 입학생 증감 등 내적 자극에는 영향을 받더군요. 결국 변화의 주체는 학생과 교사, 관리자가 돼야 한다는 이야깁니다.”

우리 사회가 지식정보 사회로 진입한 것과 대조적으로 교육 조직과 학교는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는 점도 지적했다. 학교를 상급 교육청의 지시와 공문을 학생에게 전달하는 하급 교육기관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조직 구조를 바꾸지 않는다면 학교의 본래 역할을 다하기 어려워 변화를 꾀할 수조차 없다는 설명이다.

손 교사는 “각급 학교의 교육목표와 교육조직, 교육과정이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면서 “학교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학교의 재구조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우선 학교가 위치한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해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다음은 학교의 조직 구조를 교육의 3요소인 교육과정, 교사, 학생 중심으로 개편한다. 이 때 교육조직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 사정에 맞게 교육과정도 재편성한다. 그는 “교육과정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입시 중심 교육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고민했습니다. 그러다 ‘기본으로 돌아가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교육의 기본 3요소가 교육과정, 교사, 학생이라면 이 모두를 아우르는 틀(frame)은 학교라고 생각했습니다. 학교의 변화는 곧 우리나라 교육의 변화를 의미했죠. 만일 교사로서 학교의 변화를 갈망한다면 두려움을 극복했으면 합니다. 물론 때로는 외톨이가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동료들과 의견을 나누고 공감대를 형성하다보면 마음에 품었던 생각을 구체화 할 수 있을 겁니다. 이 책이 그 과정에 힘을 보탤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