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승박덕(才勝薄德)’이란 ‘재주는 뛰어나지만 재주만을 앞세우고 덕이 부족한 사람’을 나타낸 말이다. 동양의 영원한 고전, ‘삼국지(三國志)’를 보면 전장을 누비는 용맹한 인물에서부터 지혜와 경륜을 가진 지략가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영웅호걸이 등장하고 또한 사라져갔음을 알 수 있다.
유명한 ‘계륵(鷄肋·닭갈비의 고사를 남긴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의 어록을 남긴 양수(楊修)도 자신의 주군이자 뛰어난 모략가인 조조의 마음을 훤히 꿰뚫어 보는 비상한 재주를 가졌다. 하지만 그를 시기했던 조조에게 꼬투리를 잡혀 결국 비운의 죽음을 맞이한다. 후세 사람들은 뛰어난 재주를 갖고 있되 덕이 부족해 국가 경영에 제대로 써보지도 못한 채 파멸 또는 비운의 죽음을 맞아야 했던 사람을 ‘재승박덕’이라는 사자성어로 비유하곤 했다.
우리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재주가 뛰어나고 지위와 명성이 높았으나 덕이 부족한 인물들이 결국 어떻게 마지막을 맞는지 익히 알고 있다. 덕이 없는 재주는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것과 같아 비참한 말로로 귀결됨을 자주 목격했다.
요즈음 우리 사회 각계각층 지도자들의 비윤리적인 성문제와 관련해 시끄럽다. 극히 일부이기는 하나 학생들에게 바른 인성을 지도해야 할 교육계에서도 성추행 및 각종 비리와 관련,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곤 한다. 통계에 나와 있는 교육계의 성추행 실태를 보면 2009~2014년 동안 교원 230여 명이 제자 혹은 미성년자와 부적절한 행동으로 적발됐다. 이 또한 매년 꾸준히 증가해 교육자에 대한 신뢰에 금이 가고 사회의 곱지 않은 시선은 우려스러울 정도라고 보도된 바 있다.
특히 최고의 지성을 자랑하는 일부 대학에서까지 교수들과 제자들 간의 부적절함이 빈번히 보도되는가 하면, 이른바 학점과 학위취득, 취업추천에 이르기까지 ‘슈퍼갑과 을’의 행태로 바라보는 견해도 있어 안타깝기 그지없다. 이로 말미암아 당사자의 명예추락과 법적제제를 당함은 물론 이런 일이 보도될 때마다 학생들을 바라보기가 민망해 고개를 들을 수조차 힘들 지경이다.
윤리와 도리를 포함한 덕은 스스로를 갈고 닦아야 되는 것이지 학식이나 재주가 뛰어나다고, 돈이 많다고 저절로 쌓이는 것이 아니다. 어쩌다 이 지경까지 이르게 되었는지 되돌아보고 우리 스스로가 교권을 추락시키는 일이 다시는 되풀이 되지 않도록 ‘재승박덕’의 의미를 되새기며 스승다운 면모를 갖추도록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