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시절 어느 날이다. 점심시간이 끝난 후 친구들과 함께 지도교수님의 연구실을 들렀다. 교수님께서는 상당히 기분 좋은 표정을 하고 계셨다. 그 이유를 여쭤 보니, 교문 밖에서 식사를 하고 들어오는 중에 길거리 좌판상에서 눈에 띄는 액자가 있어 두 개를 사오셨고 지금 막 책상 앞면 벽에 걸려고 하는 참이라는 것이다.
평생 뇌리에 박힌 스승의 액자 교훈
그러면서 그 액자들을 우리에게 보여주셨다. 하나는 지휘자가 눈을 지그시 감은 채 지휘봉을 들고 있는 것이었고, 또 하나는 발레리나가 허리를 숙여 발레 토슈즈를 여미는 것이었다. 별 것도 아닌 싸구려 액자들을 사 놓고 싱글벙글해 하시는 교수님을 우리는 의아스럽게 쳐다봤다. 그러자 교수님께서는 그 사진들이 주는 의미를 설명하셨다. 즉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지휘를 하기 직전에 최선을 다해 지휘를 하겠노라는 마음가짐과 발레리나가 무대에 서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토슈즈를 점검하는 마음가짐이 너무나 아름다워 보인다면서, 교사도 항상 그러한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셨다.
즉 늘 있는 강의를 교사는 태만한 자세로 임하기도 하고, 때로는 싫증을 내기도 하면서 시간 때우기 식 강의를 하기도 하는데, 예의 지휘자나 발레리나처럼 강의에 들어가기 직전에 경건한 마음가짐으로 이번 시간 강의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교수님께서도 강의에 들어가시기 전마다 그 액자의 사진들을 보면서 태만하고 교만한 마음을 불식하고 최선을 다한 강의를 하겠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책상 앞에 걸어 두고자 한다고 하셨다.
그 날 이후 내 머리 속에는 항상 교수님의 말씀이 맴돈다. 특히 강의 준비가 덜 됐거나, ‘몸이 피곤하니 대충 강의해야지’ 라는 생각이 들 때는 예외 없이 교수님의 말씀이 뇌리를 치곤 한다. 교육의 질이 교사의 질을 능가하지 못한다고 하는 데, 교사의 학생들에 대한 열과 성의는 최선의 교육내용이자 방법일 것이다. 이것이 바로 교사론의 핵심이다. 지금 학부 시절에 수강한 교사론 과목의 내용은 하나도 기억나지 않는다. 그러나 교수님이 연구실에서 잡담 삼아 무심코 우리한테 하신 말씀은 평생 동안 뇌리에 남아있다. 바로 이것이 잠재적 학습이다. 이처럼 잠재적 학습의 교육적 효과는 지대하다.
교사 자체가 교육 내용이자 방법
그런데 이러한 잠재적 교육은 교사가 의도적·계획적으로 준비해 와서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라, 교사의 일거수일투족에서 묻어 나오는 무의도적 교육의 한 형태다. 이처럼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인격적 모범은 가장 최선의 교육내용이자 교육방법인 셈이다. 그러기에 옛말에도 "참된 교사는 지식이나 기술보다도 먼저 길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師, 敎人以道者之稱也)"라고 했으며, "스승은 사람의 모범이 되는 사람이다(師者, 人之模範也)"라고 하지 않았던가?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사의 인격적 모범과 그것에 토대한 교사와 학생간의 인격적 ‘만남’의 관계라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교사 자체가 교육 내용이자 교육 방법이므로 교사는 언행에 신중해야 한다. 사실 이 시대 교육의 가장 큰 어려움 중의 하나는 학생들이 따라야 할 인격적 모범상을 찾아보기 어려운데 있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교직에 몸담고 있는 우리 모두는 끊임없는 자기반성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