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알파고와 이세돌의 세기의 바둑대결은 4대1 알파고의 승리로 끝났다. 전 세계는 알파고로 대표되는 인공지능의 놀라운 발전 속도와 가능성에 놀라면서 동시에 두려움을 느꼈다.
지식전달자 역할 탈피해야
1959년 마빈 민스키 MIT교수에 의해 인공지능이란 용어가 처음 사용된 이후 1997년 IBM 딥블루컴퓨터가 세계 체스챔피언과 대결해 이겼고 2011년엔 슈퍼컴퓨터가 퀴즈챔피언들에 완승했다. 그러나 이번 알파고의 경우 이전과 차원이 다른 인공지능의 실체를 증명하며 강력한 파급력을 예고하고 있다.
알파고는 사람이 평생 해도 할 수 없는 빅데이터 학습량을 5주 만에 익혔고 딥러닝이란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바둑 고수들의 기보를 3주 만에 3억4000만 번 실행하며 스스로 학습했다. 알파고를 만든 딥마인드의 데미스 하사비스는 조만간 알파고 인공지능을 스마트폰에 넣을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인공지능이 우리의 삶속에 들어오는 시점이 멀지 않을 전망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교육 패러다임 역시 혁신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할 수밖에 없다.
먼저 지식을 주입하고 암기시킨 후 평가하고 서열화하는 전통 교육은 창의력과 팀워크, 인성을 배양하는 교육으로 전환돼야 한다. 알파고에서 보듯이 지식습득 능력은 인공지능을 인간이 따라갈 수 없고 미래에는 지식과 데이터에 의존하는 많은 일자리가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것이다.
따라서 미래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학교는 지식 전달의 장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학교는 오히려 인간의 차별화된 능력이면서 미래사회에 꼭 필요한 창의력과 공동체에서 협업하는 역량, 미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계속 학습할 수 있는 역량, 감성을 강화해 인성을 함양하는 새로운 교육의 장이 돼야 한다.
교원의 역할도 바뀌어야 한다. 기존의 교수·학습 방식에 의한 지식전달자로서의 유·초·중등 및 대학 교원 역할은 이미 학원 강사, 인터넷포탈의 지식 검색 등에 의해 약화됐다. 이런 상황에서 인공지능이 교육에 적용되면 학생 개개인의 지식수준에 맞춘 1대1 개인학습 지도가 가능해져 지식전달자로서의 인공지능 역할이 가속화될 것이다. 즉 방대한 지식 빅데이터와 연결된 인공지능은 개개인의 학습 정도와 능력에 맞게 개인별 맞춤식 교육으로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창의·인성 조력자 역할 커질 것
따라서 교원의 역할이 더 이상 지식전달자로만 남는다면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 앞으로 교원은 인공지능이 주도할 스마트 교육의 변화를 감당할 수 있어야 하고 미래 변화를 안내할 수 있는 선도자가 돼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 역량을 배양하도록 조력자가 돼야 한다. 아울러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성과 역량을 발휘케 하는 동기부여자, 학생들의 감성과 생활 속의 문제를 상담해 주는 카운슬러, 학생들의 협력과 팀워크 역량을 강화시켜 주는 코칭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미래에도 학교에서 교원은 인공지능 로봇에게 대체되지 않고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이 몰고 올 초지능 사회에 대비해 학교 교육은 미래 역량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공동체를 위해 인성과 시민 윤리의식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모색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