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교원 의견 배치되는 정책 나열…혼란 우려” “교원 요구에 부합한 실질적인 방안 모색해야”
서울교육청이 스승의날을 앞두고 발표한 ‘교원사기진작방안’에 대해 서울교총은 “현장 고민을 외면하고 자신들의 정책 포장에 그쳤다”고 성토했다.
서울교총(회장 유병열)은 12일 성명서를 내고 “시교육청이 교원사기진작방안을 추진함에 있어 현장 의견수렴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실질적인 교원사기진작을 위한 방안이라기보다 오히려 시교육청이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들을 교원사기진작책으로 포장한 것은 아닌지 의구심마저 든다”고 밝혔다.
서울교총은 현장 교원들이 제기한 의견서도 함께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현장 교원들은 학부모의 부당한 민원제기, 문제행동학생 지도 등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지만 시교육청의 사기진작방안에는 이런 부분이 포함돼지 않았다. 특히 시교육청이 이번 사기진작방안에서 강조한 ‘교장 공모제(내부형 공모 포함) 확대 노력’, ‘교장 중임 심사 내실화’, ‘교원인사자문위원회 강제’ 등은 교원사기진작과 거리가 멀고, 현장 단위학교의 혼란과 교원의 사기를 저하시킬 수 있는 민감한 사안들이라 오히려 현장의 우려만 키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서울교총은 “우리가 제기한 문제점과 개선대안을 시교육청이 받아들여 대폭 수정해야 할 것”이라며 “교원사기진작을 위한 방안과 걸맞지 않는 정책은 과감히 삭제하고 학교현장의 현장성과 요구를 접목한 실질적인 ‘교원사기진작방안’이 마련되기를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장의견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시교육청의 관주도 인식부터 개선해야 한다”면서 “여교원 복지 지원책 증대, 교원 스트레스 상담센터 지정․운영 확대 등 실질적으로 현장 교원들의 피부에 와 닿는 사기진작 방안들을 모색해 발표하는 것이 8만 서울교원을 책임진 행정당국이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