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맑음동두천 11.8℃
  • 흐림강릉 10.1℃
  • 맑음서울 12.7℃
  • 흐림대전 16.3℃
  • 흐림대구 14.5℃
  • 흐림울산 13.6℃
  • 구름많음광주 16.2℃
  • 구름많음부산 15.1℃
  • 구름많음고창 11.8℃
  • 구름많음제주 13.5℃
  • 맑음강화 13.0℃
  • 흐림보은 16.2℃
  • 흐림금산 16.6℃
  • 구름많음강진군 15.1℃
  • 흐림경주시 13.4℃
  • 구름많음거제 16.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교원 55% “인성교육 잘 안 돼”

인성교육진흥법 시행 1년
교총, 교원 804명 설문조사
“입시·교과 위주 교육 때문”



현장 교원들의 절반은 인성교육이 학교에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입시를 1순위로 꼽았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교총이 인성교육진흥법 시행 1년을 맞아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대학 교원 8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바일 설문조사(95% 신뢰수준에 ±1.74%) 결과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법 시행 이후 학교에 변화가 나타났다고 느끼는 교원은 20.7%에 그쳤다. 반면 30.9%는 변화가 없다고 응답했다. 학교 현장에서 인성교육이 제대로 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는 그렇지 않다는 교원이 55.3%로 나타나 그렇다(44.7%)는 긍정적인 의견보다 더 많았다.

인성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는 원인에 대해서는 ‘입시위주 교육환경’(31.4%)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교과‧입시위주 교육을 원하는 학부모 요구’(23.9%)까지 합하면 입시가 원인이라는 응답이 55.3%다. 이어 ‘정책 중심의 인성교육’(21.5%)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교원들은 현대 사회에 걸맞은 인성교육의 방향으로 ‘자기조절 등 정서교육’(40.3%), ‘도덕‧윤리교육’(20.3%), ‘시민역량 교육’(18.5%)을 중요하게 여겼다.

교원들은 법 시행 자체를 피부로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인성교육진흥법의 시행 사실을 모른다고 답한 교원이 31.8%,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의 발표 사실을 모른다는 교원도 45.9%나 됐다.

이번 설문에서는 ‘인성교육 정착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해 교원들의 자유서술 의견도 다양하게 들었다.
이에 따르면 교원들은 “학생인권조례를 악용하는 일부 학생들은 교사가 체벌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대놓고 말을 듣지 않는다”며 “부모의 밥상머리 교육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담임이 인성교육을 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해주고 학생들의 인성교육을 위해 교사들에게 훈육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창체 등 몇 시간의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모든 교과에서 교육이 이뤄지도록 교육과정의 획기적인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밖에 “전문상담교사를 배치하고 교사에 대한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입시 개혁과 성적 중시 풍토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문이 잇따랐다.

교총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입시위주 교육과 교과 중심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 등이 인성교육 안착의 걸림돌이라는 인식이 높았다”며 “현장 교원들이 제시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교육당국이 받아들여 법 시행 취지가 제대로 구현될 수 있게 제도적, 사회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