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25.3℃
  • 맑음강릉 27.0℃
  • 맑음서울 26.5℃
  • 맑음대전 27.9℃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25.0℃
  • 맑음광주 27.1℃
  • 맑음부산 24.9℃
  • 맑음고창 24.0℃
  • 맑음제주 25.3℃
  • 맑음강화 21.1℃
  • 맑음보은 25.8℃
  • 맑음금산 26.6℃
  • 맑음강진군 27.2℃
  • 맑음경주시 28.1℃
  • 맑음거제 26.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인터뷰

“영화도 훌륭한 과학 교재 될 수 있어요”

‘…영화 속 과학인문학 여행’ 펴낸
최원석 경북 신상중 교사 인터뷰



과학은 어렵다는 인식이 문제
부담 없이 받아들이는 게 핵심
인문학과 결합하면 삶 그 자체
영화 본 후 토론해볼 것 추천

과학은 학생들이 어렵다고 인식하는 과목 중 하나다. 생소한 용어, 이론이 등장하고 이해하기가 쉽지 않아 지레 겁을 먹는 사람도 적지 않다. 하지만 알파고로 대표되는 인공지능의 발달은 우리 삶과 과학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만들었다. 이제 과학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것이다.

최원석 경북 신상중 교사는 최근 ‘십 대를 위한 영화 속 과학 인문학 여행’을 펴냈다. 영화를 매개로 과학 지식과 사회 이슈, 역사, 문화 등을 결합해 과학이 우리 삶과 얼마나 밀접한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로 풀어낸다. 특히 ‘터미네이터’부터 ‘슈퍼맨’,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까지 누구나 좋아하는 영화 속에서 과학·인문학적 요소를 찾아낸 게 특징이다.

그가 영화 속 과학 이야기에 관심을 가진 건 13년 전이다.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가르칠 수 없을까 고민하다 영화가 떠올랐고, ‘영화 속에 과학이 쏙쏙’을 펴냈다. 이후에도 게임, 광고, 패션 등을 소재로 과학서를 썼다.

최 교사는 “꾸준히 책을 쓰다 보니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특히 영화 속에는 과학적인 내용과 함께 인간의 삶과 관련한 모든 것이 고스란히 녹아있어서 과학적인 요소만 다루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도 그럴 것이 영화는 대중들에게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다. 역사에서부터 정치, 신화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겪거나 상상하는 다양한 상황이 펼쳐진다. ‘살아있는 교과서’라는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다. 최 교사는 “10대 청소년들이 쉽고 재미있게 과학, 인문학을 동시에 접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소개했다.

가장 애착을 갖는 내용은 ‘마법과 과학의 경계에 선 과학 인문학’이다. 마법과 판타지의 대명사인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를 통해 과학의 여명기였던 중세 유럽의 모습을 소개하고 연금술과 화학, 점성술과 천문학의 관계를 설명한다. 그는 “아이들에게 과학도 마법처럼 신비로울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다.

과학과 인문학을 융합해 수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영화 토론’을 추천했다. 인공지능, 원자력, 로봇, 전염병 등 우리 사회가 직면한 과학 이슈를 소재로 한 영화를 보고 이에 대한 생각과 의견을 나누는 것이다. 이밖에도 우리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현상을 과학과 관련지어 설명해주는 것도 방법이다.

그는 “다채로운 활동을 곁들이는 것만큼 좋은 수업은 없다”며 “하얀 가운을 입고 실험 도구로 실험하는 것만이 다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과학은 어렵다는 인식을 갖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생각해요. 과학을 알기 위해 노력도 하지 않고 지레 겁을 먹거든요. 반면 인문학은 누구나 갖춰야 할 교양으로 받아들이지요. 그래서 책을 읽고 강의를 듣는 데 시간을 할애하기도 하고요. 이런 인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교과서 내용이 쉬워진다 해도 여전히 아이들은 과학이 어렵다고 느낄 겁니다. 이 책을 통해 영화 한 편이 주는 즐거움을 만끽하면서 과학적인 호기심도 키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