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8세 이상 성인 가운데 농산어촌, 저학력, 저소득, 고령층 여성일수록 디지털 문해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19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제1차 성인디지털문해능력조사(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4년 시행)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디지털에 대한 기본적 이해·경험이 부족하며 일상생활에서의 기본적인 디지털 기기 조작에 어려움을 겪는 ‘수준 1’ 성인은 전체의 8.2%(약 350만 명)로, 기본적인 이해와 기기 조작이 가능하지만 일상생활에 활용하기에는 미흡한 ‘수준 2’ 성인은 전체의 17.7%(약 758만 명)다.
특히 전체 대비 ‘수준 1’ 인구 비율은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도시보다는 농산어촌에서, 학력이나 소득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구간의 구분 분석 결과 60세 이상 성인(23.3%), 중학교 졸업 학력 이하(34.6%), 월 가구 소득 300만 원 미만(25.9%)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성별에서는 여성이 10.0%로 남성(6.3%)보다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 기기를 일상생활에 활용하는 목적으로는 ‘가족, 친구, 지인들과의 연락’이 97.0%로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 정보검색’이 84.8%, ‘유튜브 시청 등 여가활동’이 84.4%, ‘온라인 쇼핑, 전자결제’가 70.8% 등 순으로 드러났다.
40.4%는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자주 또는 종종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는데, 연령대가 높을수록 그 비율도 올라갔다. 18세~39세는 8.9%, 40세~59세는 34.8%, 60세 이상은 77.7%다.
디지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성인(전체의 29.9%) 중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62.1%다. 디지털 문해교육 참여를 희망하는 이유로는 ‘빠른 세상 적응 및 자신감 향상’이 77.6%로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 불편 해소도 70.9%로 높은 편이었다. ‘새로운 일 시작 준비(이직, 창업, 취업)’를 위해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17.8%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글햇살버스’, 저소득층 성인 및 노인(65세 이상) 대상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30세 이상 성인 대상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AID 커리어 점프패스) 등을 더욱 적극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도 디지털 기기·기술에 친숙하지 못한 성인들이 소외되지 않고 일상생활을 살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