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8.0℃
  • 구름많음강릉 32.8℃
  • 구름많음서울 30.1℃
  • 흐림대전 28.4℃
  • 흐림대구 29.1℃
  • 흐림울산 26.2℃
  • 구름많음광주 28.0℃
  • 흐림부산 25.5℃
  • 흐림고창 28.7℃
  • 흐림제주 23.4℃
  • 구름많음강화 24.4℃
  • 흐림보은 27.0℃
  • 흐림금산 27.1℃
  • 흐림강진군 25.5℃
  • 흐림경주시 28.0℃
  • 흐림거제 25.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인터뷰

“시·공간 제약 없는 국어 교육 플랫폼 만들고파”

5년째 국어 블로그 운영
박전현 대구상원고 교사




교통사고로 2년 만에 교단 섰지만
달라진 학교 환경에 어려움 느껴
학생들과 소통 위해 블로그 개설

동영상 강의와 해설 자료 제공
누적 방문자 수 500만 명 돌파
“공부하고픈 아이들 위한 공간”


‘선생님이 올려주신 자료 덕분에 공부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교사가 되는 게 꿈인데 선생님처럼 교실 밖에서 교육을 실천해보고 싶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기말고사 하루 전에 작품이 이해 안 돼서 블로그 글을 찾아봤더니 국어 내신 1등급을 받았어요. 이번 9월 모의고사에서도 국어 100점을 받았답니다. 늘 친절하고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박전현 대구상원고 교사의 블로그 ‘국어 교사의 국어와 체험학습 여행(blog.naver.com/9594jh)’에는 학생들의 감사 메시지가 끊이지 않는다. 공부하다 모르는 게 있을 때 박 교사의 블로그를 활용하는 학생이 대부분이다.

그의 블로그는 국어 학습의 보물 창고다. 직접 제작한 동영상 강의와 해설 자료, 파워포인트(PPT) 자료까지 제공해 사교육 없이도 국어 실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교실에서 이뤄지던 국어 수업을 온라인으로 옮겨온 것이다. 덕분에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자자하다. 블로그를 운영하기 시작한 2012년 2월부터 지난 8월 말까지 총 방문자 수는 500만 명을 돌파했고 지난달 조회 수만 20만 건을 넘어섰다.

박 교사는 “지난달 조회 수가 많았던 상위 10개 게시물 가운데 9개가 수업 자료였다”며 “통계 자료를 분석해보면 방문자의 50% 이상이 1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가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블로그를 만든 건 4년 전이다. 교통사고를 당해 22개월의 투병 생활을 마치고 다시 교단으로 돌아왔을 때였다. 2년의 공백이었지만 그 사이 학교 환경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적응에 어려움을 겪던 박 교사는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그러다 떠올린 게 블로그였다.

박 교사는 “사고가 나기 전에도 홈페이지와 카페 등을 통해 학습 자료를 공유하고 있었다”면서 “눈높이에 맞는 수업 자료를 나누는 것이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하루에 콘텐츠 한 건을 업로드 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 학교 업무를 처리하면서 시간을 쪼개 학습 자료를 만든다. 때문에 매일 저녁 8시를 훌쩍 넘긴 후에야 퇴근길에 오르고 퇴근 후에도 콘텐츠를 만드는 데 매달린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힘든 건 시간이 부족하다는 거예요. 건강이 예전 같지 않다는 것도요. 50대 후반이 되니까 노안이 오더군요.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에요. 그래도 이 일을 그만 둘 수는 없어요. 블로그를 활용해 공부하는 아이들이 있기 때문이죠.”

박 교사는 “학생들이 힘의 원천”이라고 했다. 블로그에 올라오는 응원 댓글을 볼 때, 성장한 제자를 만났을 때, 50대 후반의 늦깎이 고등학생이 보낸 손 편지를 받았을 때,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사람들이 몸 챙기라며 먹을거리를 보내줄 때… 가상공간이지만 정이 흐른다는 걸 깨닫는다. 보람을 느끼는 순간이기도 하다.

그의 목표는 오프라인(교실)과 온라인(블로그)을 아우르는 ‘국어교육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다. 박 교사는 “수업 장소를 교실만으로 한정할 수 없는 세상”이라며 “시간·공간적인 제약 없이 플랫폼을 바탕으로 융합 수업을 시도해보고 싶다”고 전했다.

“제 블로그가 ‘공부하고 싶은 아이들이 마음껏 활용할 수 있는 곳’ ‘알고 싶었던 것들이 있는 곳’으로 기억됐으면 합니다. 앞으로도 조건 없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나갈 생각입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