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 생활을 하다보면 교수님들은 종종 에듀넷에 있는 우수 수업 사례를 보고 감상문을 적어오라는 숙제를 내주곤 한다. 각 교육청에서는 우수 수업을 선정하고 그 수업을 편집하여 에듀넷에 올린다. 그리고 교대 학생들은 그 수업들을 보고 모범 수업을 한 선생님들의 우수한 수업 기술을 보고 난 감탄을 A4용지에 정갈히 적어 교수님께 제출한다.
실지 우수 수업 사례를 보고있자면 참으로 현란하다. 무엇인가가 휙휙 날아다니고 깜짝깜짝 놀랄만한 것들이 튀어나온다. 무척이나 감각적이다. 그 수업을 받는 아이들은 '수업이 참 재미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연구 수업하시는 선생님들은 1시간 수업을 위해 어떻게 저 많은 컴퓨터 자료를 준비하고, 어떻게 저 많은 놀이들을 준비하는지 참으로 경이롭기까지 하다. 아이디어가 톡톡 튀는 것이 신기하기도 하고 실지 저런 수업을 들은 경험이 없는 나로서는 무언가 아쉽기도 하고 화면 속에 앉아있는 아이들이 부럽기도 하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수업을 하고 있는 선생님들이 참 애처롭게 느껴진다.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할 때 굉장히 집중력도 높고 집중하는 시간도 길다. 그 반면 흥미가 없는 일에 대해서는 집중하는 시간이 짧다. 학교에서의 수업은 대개 교사가 일방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현실이다. 교육 과정 자체가 일괄적이기에 관심이 없는 내용이라도 책상에 앉아 있어야 한다. 그래서 아이들이 관심 없는 분야에 관심을 끌기 위해 선생님들의 온갖 노력이 동원되어야 한다.
교대 수업 시간에서는 구성주의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지만 그것을 학교 현장에서는 어떻게 풀어 나가야 할지는 잘 모르겠다. 이렇게 감각적인 수업이 아동들의 지식을 구성케 하는 방법인지 의문이 든다. 3학년이 된 요즘 이상의 현실에의 접목이란 것에 자꾸 괴리감이 생긴다. 어느 교수님은 '결국은 교사의 역량 문제'라고 했다. 나를 가꾸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