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문항을 꼼꼼히 살펴보면 교총이 이런 결과를 교묘하게 유도했다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 설문에는 '교원 평가는 교육의 특성에 맞지 않으므로 도입돼서는 안 된다'는 문항(6번)이 있다. 교원평가제도 도입 자체를 막아야 한다는 의지가 반영된 질문이다. '교원 평가는 장차 구조조정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막아야 한다'는 질문(9번)은 더 노골적이다. 아예 교원 평가가 교원의 신분 약화로 이어진다는 듯한 인상을 강하게 주는 질문이다."
교원평가와 관련하여 진행되었던 한국교총의 설문 문항을 가지고 꼬집은 것이다. 물론 독자에 따라서는 중앙일보 내용에 공감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상이 교원이었고 또한 이 설문을 조사한 목적은 당연히 교원평가제도 도입이 옳지 않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것이었다는 생각이다.
중앙일보에서 지적한 "교묘하게 유도했다는 의혹"에는 공감할 수 없다. 설령 결과를 유도한 흔적이 있을지는 몰라도, 교묘하게 유도했다는 표현은 좀 과장된 표현이라 생각된다. 문항(6번)의 경우 교원평가가 교육의 특성에 맞느냐 안맞느냐을 우선질문했고, 그것의 도입이 옳으냐 옳지 않느냐의 문제를 묻는 형식이었기 때문에 답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대체로 특성에 맞지 않으므로 도입이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교원들만이 응답한 결과일 뿐이다.
또한 9번문항 역시 교원들 사이에 첨예한 이슈가 구조조정을 할 것이냐, 안할 것이냐로 보는 것이다. 현재는 교육부에서 절대 그런일이 없다고 하고 있지만 향후에 가능성은 언제나 열려있기 때문에 교원들이 이 문항에 대하여 막아야 한다고 본 것이다. 문항이 그렇지 않더라도 어떤 형태로든지 향후에 교원평가는 신분이나 보수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을 교원이라면 누구나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형태로 질문을 했어도 그 결과는 큰 차이가 없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기사의 말미에 이런 내용이 있다. "교총 측은 이런 지적에 대해 "설문 문항이 편파적이고 응답자의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군색한 변명을 붙이는 것을 잊지 않았다. "설문 지면이 한정돼 두 가지 질문을 하나로 묶다 보니 생긴 문제"라는 것이다.
물론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식의 변명은 도리어 변명에 꼬리를 잡힐 가능성이 높다. 설문문항에 문제는 있었지만, 편파적이다라는 표현까지 사용할 필요가 있었느냐 하는 것이다. 지면문제가 아니고 두 가지의 질문을 묶었기 때문이지만, 다른 형태로 문항을 바꿔도 결과는 마찬가지라는 것을 강조했어야 옳다고 본다.
수업평가만을 한다고 하는데, 수차례 지적하지만 우리나라 교원은 수업만 열심히 할 수 있는 여건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수업평가를 하려고 한다면 법정 수업시수 확보 및 법정 교원수 확보, 잡무가 없는 학교가 되었을때만 가능한것이다. 다른 업무에 더 매달리는 시점에서 수업을 평가한다는 것은 교원에게 또다른 부담감만 가중시킬 뿐 아니라 능력있는 교원이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검증되지 않은 내용을 언론에서 문제삼아 꼬집는 것도 문제지만, 교사들을 '철밥통'에 비유하는 것은 더더욱 옳지 않다.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활동하고 노력하는 곳이 어디 교원단체 뿐인가? 왜 교원들만 가지고 이러쿵 저러쿵 하는지 이해가 안간다. 왜 교원들만 철밥통이라고 하는가?
다른 부분에서도 이미 동료평가 등의 다면평가제가 문제가 속속 드러나고 있는데, 왜 교원평가는 자꾸 도입하려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여건 성숙이 되지 않은 시점에서 교원평가의 도입은 결코 교육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여건성숙을 외치는 교원들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고 지금이라도 교원평가 제도는 재고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