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최근 교원평가 문제와 관련하여 부적격교원 처리방안을 마련중이라고 한다. 부적격교원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애매한 시점에서 또다른 문제와 반발을 불러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부적격 교원이 사회적으로 이슈화가 되고 있지만, 주변에 교사들을 보면 과연 누구를 부적격 교원으로 보고 있는 것인지 의아스러울 때가 많다.
최근에 우리 학교 체육선생님 한 분이 운동을 하다가 발목의 인대가 늘어나는 부상을 당했다. 발목에 가벼운 깁스까지 했지만 그 선생님은 목발에 의지한 채 학교에 계속 출근을 하여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또 주변에 어느 선생님은 혈압이 높아서 병원에서 정밀 진단을 받아야 할 형편이라고 한다. 그런데도 방학 때 병원을 찾기로 하고 역시 계속 출근하여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또다른 선생님은 발목 골절상을 당해 병가를 1개월여 냈으나 완치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도 발목보호대를 하고 겨우 걸을 수 있을 정도인데, 학교에 출근하고 있다고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일단 병가를 내어 시간강사 등을 활용하게 되면 학생들에게 상당한 피해가 가기 때문이다. 같은 교사가 1년동안 계획된 수업활동을 해야 하는데, 시간강사로 대체하면 학생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교의 업무도 연속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몸을 움직일수만 있으면 출근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학생들을 생각하는 교사들이 부지기수인데, 부적격교원 타령하고 있는 교육부의 자세는 옳은 것이 아니라고 본다. 그보다 교원들의 복지향상, 근무여건 향상을 통해 학교에서 부상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잠재울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더 급한 일이 아닌가 싶다. 이를 위한 교원의 수업시수 경감 등은 필수요건이라고 본다.
그렇게 모든 여건을 갖춘 후에나 논의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부적격 교원 퇴출'인 것이다. 현재와 같이 여건은 제대로 갖추지 않고 부적격 운운하는 것은 교육의 황폐화만 가속시키는 것이다.
대부분 열심히 사명감을 갖고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들을 위한 방안부터 내놓는 것이 더 우선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