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조회를 마치고 학교 홈페이지를 열어보았다. 이곳저곳을 둘러보다가 자유게시판에서 학년 초에 전학 온 해정이의 글을 보았다. 글 제목은 “좋은 학교”였다. 짧은 글이었지만 진솔한 마음이 담긴 내용이었다. 지금 다니는 학교는 왕따가 없는 학교 친구들이 많지는 않지만 잘 대해준다는 내용으로 ○○학교가 좋다는 것이다.
해정이는 전에 다니던 학교에서 적응을 하지 못한 소위 문제아였다. 한쪽다리가 불편하여 걸음이 부자연스러운데다가 특수학급에 편성되어 친구도 없고 학교생활이 싫어서 집을 나가면 거리를 방황하다가 친구들 집에서 잠을 자고 집에도 들어오지 않고 여러 날 학교를 나오지 않는 아이였다. 부모는 애간장을 태우며 걱정을 하던 차에 학생 수가 적은 이웃학교로 전학을 보낸 것이다.
담임선생님의 특별한 관심과 사랑으로 보살펴준 덕분과 같은 반 어린이들도 해정이를 따뜻한 마음으로 대하고 함께 어울려 놀아주었다. 몇 달 동안 공부하면서 해정이는 마음의 안정을 찾았고 얼굴표정도 불안하고 어두운 표정에서 점차 밝아지기 시작하였다. 수학여행도 다녀오고 현장학습도 몇 차례 다녀왔으며 신나는 운동회도 하였다. 교내행사에서 좋은 상도 받았다.
학교생활에 재미를 느낀 것 같다. 결석은 하지 않았고 집에 돌아가서도 안정된 가정생활은 물론 책상에 앉아서 숙제하는 모습을 보고 놀라운 변화에 부모님들은 교육의 효과를 눈으로 직접 실감하면서 확인하기에 이르렀다.
전학을 잘 시켰다는 생각을 한 부모는 학교행사에도 적극참여하며 딸의 변화를 보고 기특해 하였다. 선생님과 교직원들도 해정이를 보면 한마디씩 칭찬을 해주곤 하였다. 이제 겨울방학을 한 달 앞두고 학교홈페이지에 ‘좋은 학교’라는 글을 쓰는 용기를 갖게 된 것은 해정이의 닫힌 마음이 활짝 열렸다는데서 교육의 절반은 성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서당이 지금도 운영되고 있는 청학동에 있는 초등학교엔 도시지역에서 학교적응을 잘 못하는 유학생들이 많이 모여들어 폐교위기에 있던 학교가 활력을 되찾았다는 뉴스를 보고 놀랐다. 도시로 학생이 몰리고 큰 학교로 학생이 몰리던 고정관념을 깨고 자연 속에 있는 작은 학교로 유학을 와 인근에 있는 서당에서 한문과 예절교육을 받도록 용단을 내린 부모님들의 결심에 찬사를 보내는 바이다. 어린 시절 올바른 인성을 길러주려는 부모의 선경지명은 훗날 자녀들로부터 존경심과 함께 고마운 인사를 받을 것이라고 믿는다.
학교는 도시에 있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학교규모가 크다고 좋은 것만도 아니다. 자연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학교가 더 좋은 학교가 될 수 있다. 올바른 인성을 자연 속에서 자라면서 체험으로 배우는 것은 인생의 바탕을 튼튼하게 키우는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생각한다.
농산어촌에는 학생 수가 줄어들어 교실도 남아돌고 교육기자재도 남아돌고 있다. 학생 수보다 너무 넓은 운동장도 아이들을 기다리고 있다. 6년간을 시골에 유학 보낼 수가 없다면 단 1년 만이라도 자연 속에 자리 잡은 시골의 작은 학교에서 공부시키려는 부모가 늘어났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