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년말 종업식을 앞두고 교무실은 분주하다. 새 학년 업무분담에서부터 아이들과 마무리학습정리, 그리고 가장 중요한 생활기록부정리를 하느라 정신이 없다. 생활기록부 마무리작업을 하고 다른 일을 하고 아이들과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데 생활기록부 담당 선생님이 부른다.
“생활기록부에 누락된 부분 확인하고 넣어주세요.” “등본상의 기록과 같은데요.” “아빠가 살아계시면 아빠 이름하고 생년월일 넣어야 해요. 돌아가셨으면 ‘사망’이라고 쓰고요. 우리 아이들은 너무 많이 빠졌어요.”
담당 선생님의 말에 의하면 결손 가정이 많아선지 생활기록부에 아빠 성함란이나 엄마 성함란에 이름과 생년월이 빠진 아이들이 한 반에 여섯 일곱 명은 된다고 한다. 그러면서 부모가 살아계시면 넣어주는 게 아이들에게 도움이 된다며 확인해서 기록해달라는 부탁이다.
우리 반에는 네 분의 이름이 빠져있다. 그 중 두 분은 세상을 떠났고, 두 분은 이혼. 두 아이에게 배경설명을 해주고 아빠 성함과 생년월일을 묻자 표정이 어두워진다. 그러면서 마지못해 알려주며 꼭 넣어야 하냐며 반문한다.
아이들과 이야기를 끝내고 생활기록부 마무리 작업을 막 마치자 전화벨이 울린다. 그 중 한 아이의 엄마다. 그러면서 조심스럽게 이야기를 꺼낸다.
아이가 아빠 이름을 선생님이 물어보았다며 울면서 전화를 했다고 한다. 무슨 영문인지 몰라 까닭을 물으니 자초지종 이야기를 해준다.
남편과 헤어진 지 7년 된다고 한다. 그러면서 딸 셋인데 아이들이 아빠란 이름만 들어도 경기를 하듯 놀라며 불안해한다고 한다.
“아이들이 집 주변에서 차 소리만 들어도 깜짝깜짝 놀라고 그래요. 혹 지들 아빠가 오는가 싶어서요.”
왜 그런가 싶었는데 지금까지 아이들과 아빠와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며 우리 반 아이 이야기를 꺼낸다.
“혹시 ○○ 이마에 흉터 있는 거 아세요?” “네, 흉터가 있더라고요. 그런데 왜요?” “그 흉터 아빠한테 맞아서 그런 거예요. 초등학교 때 그랬지요.” “몰랐네요. 그런데 아이가 너무 밝아서 전혀 몰랐어요.” “아이들이 평상시는 모두 밝아요. 그런데 아빠란 이름만 들으면 아이들이 엄청 불안해하고 안절부절 못해요. 아빠 땜엔 신경정신과도 여러 차례 갔어요.”
그리곤 지금 대학에 다니는 큰 딸 이야기를 해준다. 큰 딸은 대학을 졸업하면 성까지 바꾸려고 하고 있단다. 어릴 때부터 폭력에 숱하게 시달려온 아이에게 아빠란 존재는 의지하고 그리워하는 존재가 아니라 머릿속에서 영원히 지워버리고 싶은 존재인 것 같았다.
아이 어머니와 이야기를 나누며 난 나도 모르게 우울해졌다. 그리곤 가슴이 답답해왔다. 아이 어머니에게 뭐라고 할 말이 없었다. 그저 멍하니 그 어머니의 말을 들으며 우리 반 아이의 얼굴과 3학년인 아이 언니의 얼굴이 떠올랐다. 평상시 너무 밝고 쾌활한 얼굴을 하고 늘 웃고 있는 아이들인데 그런 말 못할 아픔이 있을 줄은 전혀 생각을 못했다.
“선생님, 그러니 아이들 생각대로 해주시면 좋겠어요. 죄송해요 이런 일로 전화 드려서.” “아, 아니에요. 그렇게 하겠습니다.”“고맙습니다. 우리 아이들 많이 사랑해주세요.”
아이 어머니와 전화를 끊고 한참을 멍하니 앉아 있었다. 그러면서 아이들에게 아버지란 어떤 존재인가, 아니 아버지에게 자식들은 어떤 존재인가 하는 의문이 머릿속을 돌고 돌았다. 엉킨 실타래처럼 아무런 답이 안 나왔다.
예전 아이들에게 아버지에 대한 글을 써보라고 했을 때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아버지는 ‘자식을 위해 희생하는 사람, 늘 애쓰고 고생하는 사람, 새벽에 일터로 향하는 아버지를 보고 가엾게 생각되어지는 사람’ 뭐 이런 거였다. 그런데 아버지란 존재가 어떤 아이들에겐 공포와 두려움, 이름조차 떠올리고 싶지 않은 존재로서 다가온다며 그건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그런 걸 생각하니 나 또한 아이들에게 상처를 준 것은 아닌가 싶다. 아버지 어머니의 사랑 속에서 태어난 아이들. 아기였을 때 아빠 엄마 이름만 불러도 행복해했던 아이들. 그런데 그 아이들은 어느 때부터인지 엄마라는 이름, 때론 아빠라는 이름을 부르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공포와 불안의 대상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그런 아이들에게 어머니나 아버지란 대상을 가지고 글로 써보라는 것은 또 다른 아픔을 주는 것이 아닌가.
생활기록부에서 아이들 아빠의 이름을 지우는데 ‘우리 아이들 많이 사랑해주세요.’ 라고 부탁하던 반 아이의 어머니의 목소리가 내내 귓가를 떠나지 않는다. ‘나는 정말 아이들을 진심으로 많이 사랑해주었는가?’ 하는 반문도 든다.
종업식 날 아이들과 우리 반 인사말 ‘사랑합니다’를 주고받으며 그 아이를 바라보다 눈을 마주치니 싱긋 웃는다. 아이의 웃음을 보며 저 웃음 뒤에 얼마나 많은 아픔이 있을까 생각하니 마음이 아프다. 그리고 얼마나 많은 아이들이 겉에 드러난 웃음 뒤에 많은 아픔을 간직하고 있을까 생각하니 마음이 무겁다. 모쪼록 저 아이들의 웃음이 진짜 행복한 웃음이었으면 하는 마음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