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차리지 않으면 4∼6년 뒤에 혼란 온다. 이는 삼성전자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의 문제이다.” (이건희 삼성 회장) “위기다, 파탄이다 하니까 경제가 더 나빠진다. 5% 성장률에 경제위기론이 웬 말이냐?”(노 대통령과 측근들)
과연 누구 말이 맞을까? 아니 누구 말을 믿어야 개인과 국익에 도움이 되는 걸까? 경제 위기는 기업인과 대통령 중 누가 더 잘 알까? 여러 가지 생각이 떠오른다.
여기서 새삼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일본을 다녀 온 두 통신사의 상반된 주장이 머리를 스친다. 한 명은 일본이 조선을 쳐들어 온다고 하고 한 명은 아니라고 하고. 이럴 땐 누구 말을 믿어야 하나? 위기론과 평화론 중 택일을 해야 한다. 그러나 조선은 평화론을 믿었다. 아니 그렇게 되길 바랐는지도 모른다. 그 결과는 어떻게 되었나? 일본의 침략을 받고 말았던 것이다.
미래는 항상 불확실하다. 어떻게 상황이 변할지 모른다. 그래서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현자(賢者)는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한다. 현재의 편안함에 만족하지 않고 다가올 위기를 걱정하고 준비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어리석은 자는 '설마 나에게 그런 일이 있을라고?'하면서 미래를 대비하지 않는다. 앞을 내다볼 줄 모른다. 이것이 그대로 국가에 적용된다면 어리석은 지도자는 혼자만 망하는 것이 아니라 나라 전체를 수렁에 빠뜨리고 국민 전체를 나락의 늪에 빠뜨리는 것이다.
이럴 땐 제3자의 말에 주목하는 것도 괜찮다고 본다. 전직 경제관료나 민간연구소, 심지어 한국은행도 이구동성으로 앞서가는 일본과 뒤쫓아오는 중국의 협공을 받는 우리나라 ‘샌드위치 경제’를 우려하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지(紙)는 ‘서울의 몽유병’이라는 한국경제 특집에서 “아시아의 수출챔피언이었던 한국이 길을 잃을 처지”라고 분석했다.
툭 까놓고 이야기 해보자. 그래 경제에 대해 누가 더 잘 아는가? 누가 경제 현실을 피부로 절절히 느끼고 있는가 말이다. 물론 국가 전체에 위기가 오지 않는다면 그보다 더 좋은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위기에 대비하지 않고 천하태평으로 있다가 당해도 된단 말인가? 아니면 위기에 미리 대처해 장래 국가 차원의 생존 전략을 성공시켜야 하겠는가? 이는 불문가지라고 본다.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을 무식하게도 '모르는 체' '눈 가리고 아웅'하는 독선과 오만, 오기로 뭉친 참여정부의 행태를 더 이상 보아주기 어려운 것이다. 좌파 이념의 경제정책, 철밥통 노조의 기세등등함, 반(反)기업 정서의 확산, 이공계와 과학기술투자에 대한 소홀, 코드 중심의 비효율적 인재공급 시스템, 갈등해소 메커니즘의 부재 등 열악한 경제사회적 인프라가 기업을, 국민들을 더욱 힘들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교육도 예외가 아니다. "꿩 잡는 것이 매"인데 매(교사)가 꿩(학생)을 잡으려 하지 않는다. 아니 잡지 말라고 한다. 꿩을 잡다간 큰 코 다친다. 누가 매를 이렇게 나약하게 만들었을까? 정부와 국민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꿩을 잡아도 잘했다는 사람은 없다. 오히려 꿩을 잡다간 매가 올가미가 씌워져 꼼짝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는 교육현장이다.
교육백년지대계는 커녕 몇 년 앞도 내다보지 못하고 있다. 국가 발전의 동력인 교육이 홀대를 받고 있다. 최고 지도자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는다. 교육을 맡은 선생님들의 기(氣)를 죽이고 있다. 국가는 그럭저럭 시간 때우고 보수를 받으라고 암묵적으로 강요한다. 이래서 무슨 국가의 미래가 있겠는가? 어쩌자고 나라꼴을 이 모양으로 만드는가?
경제나 교육이나 미래를 내다보고 거기에 대비해야 하는 것이다. 불확실한 미래를 아무런 근거도 없이 밝게만 보고 손 놓고 있어서는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 미래에 다가올 위기를 헤쳐나갈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것이다. 행여나 불확실성에 의존하는 '설마주의자'가 되어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설마주의자는 무능력자에 다름 아니다.
우리 속담에 '설마가 사람 잡는다'는 말이 있다. "설마, 풍신수길(豊臣秀吉)이 조선을 쳐들어 올려고?" 역사는 증명하고 있다. 설마가 사람을 잡은 사실을. 역사의 교훈을 배워야 한다. '현장의 경고음'을 '호들갑'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 지금 이때 학교에서는 현자(賢者)의 판단력과 처신을 동량(棟樑)에게 교육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