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 여년의 교직생활 속에서 나도 모르게 교육자 특유의 이미지가 온몸에 체화되어서 그러는지,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굳이 이쪽의 신분을 밝히지 않아도 저쪽에서 먼저 내게 “학교에 계시죠?” 아니면 “선생님이시죠?”하고 물어올 때면, 직업이 곧 그 사람이고, 사람의 한 생애 어디서 무슨 밥을 먹고 사느냐 하는 것이 참으로 중차대한 문제라는 것을 절감하곤 한다. 학교에 있다는 것이 개인적 일처리를 하는데 불편할 때가 있어 때로 선생님 아닌 척을 해보려 해도 오랜 교직생활에서 굳어진 말투, 제스처, 차림새를 어찌해 볼 도리가 없다.
흔히 ‘선생님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 사람들과 비교해서 왠지 깐깐하고, 답답할 정도로 우직하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나 역시 그런 말을 수도 없이 들어왔다. 불의 앞에서 눈 딱 감고 대충 대충 살았더라면, 나중에 탄로 나고 말지언정 남들 앞에서 배짱과 호기 부리며 대충 대충 살았더라면, 개인의 명철보신 위해서 간과 쓸개 하나쯤 빼놓고 살 줄 알았더라면 지금보다 훨씬 더 높은 사회적 성취와 경제적 부를 축적했을지 모른다. 하지만 어쩔 것인가. 그리 살아서는 단 한순간도 양심의 채찍이 스스로를 용서하지 않는, 마음 여린 한 사람의 교육자인 것을.
평생을 보고 배운 것이 가르치는 것과 관련된 것밖에 없고, 생활의 반경이 고작 집과 학교를 끼고 도는 일밖에 없는 탓에 세상 물정에 어둡게 마련이고, 그래 크게 돈도 못 벌고 가난을 옆구리에 차고 살지언정, 남의 스승 된 사람으로서 어찌 옳은 것을 그르다하고 그른 것을 옳다 할 것인가. 잘못된 아이를 볼 것 같으면 제 자식이 잘못된 양 아파하며 회초리 하나라도 들어야 마음이 편하고, 운동장에 유리조각 하나라도 눈에 띄면 아이들 다칠까 걱정이 앞서는 것이 제대로 된 선생님의 마음 아니겠는가. 만약 이해득실 저울질하고 편한 길 쫓아다니기 바빴더라면 뒤통수에 겨누어졌을 수많은 제자들의 손가락질 어찌 피할 수 있었겠는가.
교육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누가 뭐래도 그것은 '사람을 사람답게 키우는 일'에 다름 아니다. 사람의 탈만 써서 사람이 아님은, 바른 교육을 통해서만 사람다운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교육의 존재 이유와 맞물려 있다고 할 때,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것들은 교과서 속의 박제화 된 지식나부랭이나 세상사는 얄팍한 요령과 기술이 아니라 인간됨의 덕성과 예의, 더불어 사는 지혜일 것이다.
덕성과 예의는 가정에서는 부모로부터 학교에서는 선생님들로부터 직접 보고 배우는 귀감의 교육이 최상이며, 삶의 지혜 또한 단편적이고 기계적인 주입이 아닌 사람살이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스스로의 터득케 함이 으뜸일 것이다. 아, 그러고 보면 학교에서 선생님의 말 한 마디, 처신 하나하나가 얼마나 태산 같고 그 업의 막중함이 비길 데 없는 것인지!
언제부터인지 우리 교단에 선생님 특유의 전통적 이미지인 ‘깐깐함’, ‘우직함’을 자랑스럽게 여기던 풍토가 사라져가고 있다. 허세와 허명을 좇는 세상의 시류에 압도된 탓인지 어떤 이는 권모와 술수를 장기로 하는 정치인을 흉내 내는가 하면 어떤 이는 장사꾼 뺨치는 셈법으로 가르치는 일보다 돈 버는 일에 관심을 더 두기고 한다. 사제동행하면서 묵묵히 사도의 길을 가는 무명 교사를 우습게 여기고, 요령껏 줄을 타고 돌면서 빠른 승진을 도모하는 사람을 유능하다고 평하는, 그야말로 본말전도의 가치관이 팽배해져 있는 것이다.
깐깐함과 우직함만이 선생님 고유의 특성일 수도 없고 선생님들 모두가 꼭 그래야한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시대가 변했으니 이보다 더 다양한 특성들이 교육 현장의 상황에 맞게끔 변모되어 드러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선생님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행동 특성이나 이미지가 어떤 것이든지 간에, 그것이 아이들의 행복한 인생을 위한 바른 성장과 인격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가 죽었다느니, 스승이 없다느니 하는 말들이 수많은 사람들의 입에서 개탄의 한숨과 함께 자연스레 내뱉어지는 오늘의 상황이 어쩌면 우리 선생님들이 ‘선생님다움’을 잃어가고 있는 데서 연유한다고 볼 때 과연 무엇이 우리를 선생님답게 하는 것인지 모두가 오래오래 고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