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31.3℃
  • 구름많음강릉 30.0℃
  • 맑음서울 31.5℃
  • 맑음대전 30.2℃
  • 구름조금대구 30.4℃
  • 구름조금울산 26.9℃
  • 구름조금광주 30.1℃
  • 구름조금부산 25.6℃
  • 구름조금고창 29.2℃
  • 흐림제주 26.1℃
  • 맑음강화 28.1℃
  • 맑음보은 28.7℃
  • 맑음금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8.1℃
  • 구름조금경주시 32.1℃
  • 구름많음거제 27.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포토뉴스

아! 무궁화

 
 


아침에 경남 함안군 법수면의 길가를 따라 심어진 나라꽃 무궁화를 보았습니다. 아침 이슬을 머금고 푸른 들판 사이의 길가에 핀 무궁화를 감격스럽게 바라보았습니다. 잘 가꾸어진 무궁화 한 나무 마다 몇 백송이의 크고 아름다운 꽃이 피어 보는 이를 황홀하게 만들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꽃을 이야기하라면 무궁화를 말합니다. 아니 무궁화 예찬론자입니다. 무궁화 이야기만 나오면 우리꽃이 얼마나 멋진 꽃인지 내내 열을 내어 설명합니다.

이런 제 마음과 달리 요즘은 무궁화를 보기가 어렵습니다. 길가 심어진 꽃을 본다고 해도 가꾸지 않아 덩굴이 타고 올라가서 꽃조차 보이지 않은 나무가 많고요. 얼마나 속이 상한지 모르겠습니다. 무궁화는 가꾸기가 어렵지 않은 꽃으로 조금만 돌보아 주면 초여름 부터 가을까지 매일 아름다운 꽃을 감상할 수 있으니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흰색 단심 계열의 무궁화를 좋아합니다. 깔끔하고 단정한 모습이 마치 흰 모시적심을 입고 찻물을 따르는 소녀같습니다. 분홍의 무궁화꽃은 사랑스러운 새댁의 연붉은 볼처럼 해사하고 곱습니다.




무궁화를 사랑할 수밖에 없는 아침의 한국의 나라꽃답게 아침을 사랑하는 꽃이기 때문입니다. 아침에 무수히 보석처럼 피어난 그 꽃의 기운은 아침의 나라 한국과 참 잘 어울립니다. 그리고 저녁이면 도로로 말려서 다시 봉오리로 돌아가 떨어지는 단정한 꽃 무궁화는 어지럽지 않은 뒷모습 또한 어여쁜 꽃입니다.




무궁화의 꽃말은 일편단심입니다.
전설을 살펴보면 옛날 북부 지방에 있는 어느 한 산간마을에 글 잘 쓰고 노래를 잘하는 아주 예쁘게 생긴 여자가 살고 있었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이 여자의 재주를 칭송했고, 귀여워 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이여자의 남편은 앞을 보지 못하는 장님이었습니다. 여자는 남편을 매우 사랑하였습니다. 언제나 지극정성으로 앞을 보지 못하는 남편을 돌보았습니다. 제아무리 돈 많고 권세 있는 사람들이 여자를 유혹하여도 조금도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 마을을 다스리던 성주가 그녀의 재주와 미모에 반해 그녀를 유혹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여전히 한결같은 마음으로 남편을 돌볼 뿐이었습니다. 애를 태우던 성주는 마침내 부하를 보내 강제로 그녀를 잡아들이고 말았습니다. 그리고는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그녀의 마음을 돌리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끝까지 관리의 말을 듣지 않았습니다. 성주는 화가 나서 단숨에 칼로 그녀의 목을 잘라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녀가 죽은 뒤 관리는 그녀의 절개에 감탄하여 그녀의 시체를 남편이 살고 있는 집안 뜰 앞에 묻어 주었습니다. 그 후 그 무덤에서 꽃이 피어났는데 이 꽃나무는 자라고 자라서 집을 온통 둘러쌌습니다. 마치 장님인 남편을 감싸 주려는 듯이 울타리가 되었습니다. 동네사람들은 이 꽃을 ‘울타리꽃’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울타리 꽃은 무궁화의 또 다른 이름입니다.




무궁화의 또다른 전설은
고려 16대 예종왕 때 일어난 일입니다. 예종 임금은 참으로 사랑하는 신하가 셋 있었습니다. 세 신하를 똑같이 아끼어 벼슬도 똑같이 참판 벼슬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신하들은 그렇지가 못하였습니다. 어떻게 해서든지 예종 임금에게 더 잘 보이려고 하였습니다. 더 잘 보이려고 하니, 서로 시기하고 헐뜯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세사람 가운데 한 사람 구 참판만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마음이 비단결 같은 구 참판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할 때면,"쓸데없는 소리 마오. 그 친구를 욕하면 내 얼굴에 침뱉기요." 하고, 자리를 뜨곤 하였습니다. 이러는 사이에 정 참판과 박 참판은 둘이 만나면 구 참판 이야기로 하루 해를 보내는 것이었습니다. 정참판과 박참판은 구참판을 궁궐에서 쫓아내기로 서로 짠 것입니다. 없는 죄를 뒤집어씌웠습니다.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 예종 임금은 그것을 사실로 믿었습니다. 정참판과 박참판의 꾐에 넘어간 것입니다.

"네 마땅히 사형으로 다스릴 것이나, 경상도 땅으로 귀양을 보내노라. 종 하나를 붙여서....."

임금님은 말끝을 맺지 못하였습니다. 박참판과 정참판의 흉계인 줄을 뒤늦게 알았으나, 왕은 두 사람의 말을 듣지 않으면 안 되었습니다.
" 전하!" 구참판은 엎드려 울었습니다.
한 번 떨어진 명령은 어쩔 수 없는 것. 그날로 구참판은 귀양지에 끌려갔습니다. 귀양지에 도착한 구참판은 개성쪽으로 무릎을 꿇고 앉아 임금님 생각만 하였습니다. '나는 아무 죄고 없는 몸이다. 죄인은 정참판과 박참판이다' 혼자서 이렇게 생각하면서 구참판은 외롭게 살았습니다.

역적으로 몰렸으니 구참판의 집안도 전부 망해 버렸습니다. 부인은 종이 되어 끌려갔고, 아들 딸들은 어떻게 되었는지 소식조차 모릅니다. 그렇지만, 구참판은 임금님을 원망하지 않았습니다. 임금님에 대한 충성심은 날로 더해만 갔습니다.
"전하, 만수무강하소서....."임금님을 향한 기도는 계속되었습니다.
"참판님, 무엇을 좀 잡수셔야죠? 이렇게 앉아서 기도만 한다고 누가 알아주기라도 한단 말입니까? 네!" 먹쇠놈이 울면서 간청했지만, 구참판은 눈 하나 까딱하지 않았습니다.
"좀 드시와요? 이렇게 굶으시다가는 제명을 못사십니다. 제명을......" 벌써 며칠째 굶고 있는 구참판입니다.

차라리 굶어 죽고 싶은 구참판. 마침내 가랑비가 내리던 밤, 구참판은 숨을 거두었습니다.

종 먹쇠는 양지바른 곳에 구참판을 묻어주었습니다. 다음해 봄. 구참판의 묘 앞에는 꽃이 피었습니다. 그 꽃이 바로 우리나라의 나라꽃, 무궁화입니다.
임금님을 사랑하던 마음이 빨갛게 달아서, 무궁화꽃 속은 빨간빛이 되고, 구참판의 죄없음을 여러 사람에게 알리기 위해 꽃잎은 하얀빛, 보랏빛등으로 피어났습니다.




길가에 차를 세우고 무궁화꽃을 찍고 있으니, 일찍 논을 보러 나오신 촌로 두 분이 무엇을 찍느냐고 물어보십니다. 그래서 무궁화가 참 예쁘게 가꾸어져서 찍는다고 말씁 드리니, 아주 흡족한 얼굴로 그러면 우리도 한번 찍어달라고 말씀 하셔서 한 컷을 찍었습니다. 그리고 여기 무궁화는 잘 가꾸어놓았으니 많이 홍보를 해달라고 하십니다. 흐뭇한 표정으로 나라꽃 무궁화를 바라보십니다.


매일 아침 세수한 듯 매일 새롭게 다시 피는 꽃, 무궁화!

피고지고 또 피어 그 수없는 꽃이 즐거움을 주는 꽃, 무궁화!

태양과 운명을 같이하듯 아침을 상징하는 꽃 무궁화!

어여쁜 일편단심의 꽃 무궁화!

길가 마다 집울타리 마다 무궁화가 피어나기를 기원해봅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