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에 의한 '참여정부' 초대 교육부총리 인선이 초읽기에 들어간 현재 갖가지 추측과 예정설이 일선 교육계를 달구고 있다.
특히 '임기와 소신이 보장된' 새정부 첫 교육부총리의 정책의지가 향후 우리교육의 주요 분기점이 되리란 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인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당초 거론되던 후보자들 외에 새로운 후보군이 자천타천으로 거명되면서 안개속 추측만 무성하게 떠돌고 있는 모습이다.
인선 발표시점 역시 이번 주중 가시화되리란 설과 25일의 대통령 취임식 이후에나 조각내용이 발표되리란 설이 함께 회자되고 있다. 당선자 최측근 조각작업팀이 교육부총리 후보자를 2∼3명 선으로 압축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노 당선자나 측근인사, 인수위 관계자 등이 지금까지 밝힌 '교육부총리 인선 기준'을 살펴보면 전문성보다 개혁성에 무게를 더 두는 듯하다. 또한 전통적으로 이뤄져온 대학교수 임명도 철칙이 아니란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이밖에 현역의원 배제 등도 '인선기준'으로 제시되었었다.
최근 언론에 의해 예상후보 1순위로 급부상한 사람은 거창 샛별중 전성은 교장. 전 교장의 교육개혁 실천과정에 노 당선자가 크게 호감을 갖고 있어 벌써 본인의 동의과정을 거쳤다는 설까지 떠돌고 있다. 전 교장이 낙점되면 초중등교육계에서 교육수장을 맡는 '초유의 인사'가 이뤄지는 셈이다.
그러나 지방 대안학교 교장으로서의 경륜으로는 교육부총리의 막중한 업무를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의 소리도 만만치 않다. 당초 낙점1순위로 거명되었던 이재정 의원(민주)에 대한 관심도 여전히 유효하다. 성공회대 총장과 국회 교육위원-간사 역임 등을 통해 전문성을 쌓았고 무엇보다 노 당선자에 대한 충성도나 공헌도로 볼 때 여전히 후보자 1순위로 손색이 없다는 이야기다.
최근 당선자 측근으로부터 다른 역할을 맡아달라는 권유를 받고 있다는 설이 떠돌면서 이 의원 낙점설이 다소간 희석되고 있는 분위기다. 이 의원 스스로도 처음과 달리 함구하고 있다고 한다. 예상 후보군이었던 박석무 전 의원 역시 당선자 측근으로부터 참신성이 결여되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김신복 차관은 전문성에서 최상위 평가를 받는 한편 호남 출신 대표주자란 프리미엄이 있으나 개혁성과 참신성에서 밀려 후보군에서 멀어지고있다는 분석이다. 이수호 전 전교조 위원장 역시 조직적인 여론몰이를 통해 후보군에 진입하고 있다.
박찬석 경북대 총장 역시 영남권 교육계를 대표한다는 상싱성을 내세우고 있으나 지나친 정치성향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노 당선자의 인력풀이 얇고, 최근 이뤄지고 있는 청와대 인선 전례를 살펴볼 때, 의외의 인사가 낙점되리란 예측을 하기도 한다.
일선 교육계는 지난 '문민정부'나 '국민의 정부'에서 지나치게 개혁성과 참신성만 강조한 인사 결과 심각한 정책추진의 오류를 범했던 점을 지적하며 합리성과 균형감각을 갖춘, 특히 극단적인 갈등양상을 빚고 있는 일선 교육계 정서를 아우를 수 있는 포용력 큰 인사를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단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입법부, 대타부처와 대응할 수 있는 정치력과 교육부 관료주의를 제압할 수 있는 행정력 역시 교육부총리가 잦춰야 할 자격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