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따'라는 게 있다. 따돌림이 아닌 것 같으면서도 은근히 따돌림을 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런 은따는 평상시 절친하게 지내던 또래집단에서 주로 생긴다. 적당히 친하거나 알고 지내는 경우엔 은따가 별로 없다.
늘 함께 뭉쳐 다니다가 사소한 문제로 틀어지면 그중의 하나나 둘이 무리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탈한 아이들은 스스로 소외감에 빠져든다. 친구가 없어서가 아니다. 다른 친구들하고 이야기도 하고 밥도 같이 먹는다. 그런데 예전의 즐거운 추억(?)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그리워 한다. 다른 친구들하곤 예전의 친밀한 관계를 갖지 못한다. 상실감을 채워줄 무언가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예전의 친구들과 함께 하고픈 마음이 간절하다. 그 무리에 끼고 싶어한다. 허나 무리에선 거부한다. 사무적인 이야긴 하지만 사적인 이야긴 하지 않는다. 휴일에 놀 때도 빼버린다. 그러면 그 친구는 따돌림을 당하고 있다는 생각에 학교가 싫어지고 귀찮아진다. 괴로워한다.
그런데 그 은따의 세계를 들여다보면 복잡하다. 친구들과의 관계가 얽히고 얽혀서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은따를 당하고 있다는 아이는 그 이전에 그 무리 중의 좀 약한 아이를 괴롭히거나 뒤에서 그들 말로 뒷담을 깐 경우가 많다. 연서(가명)도 그런 경우다.
연서는 1학년 때부터 친하게 지낸 친구 7명이 있었다. 늘 붙어 다녔고 잠을 자기도 했다. 공부는 잘 하는 편은 아니지만 연서 부모는 친구들과 잘 어울리는 딸과 그의 친구들을 무척 잘 대해 주었다. 그런데 1학년이 끝나갈 무렵에 연서와 친구들은 하나의 사건으로 멀어지게 되었다. 무리 중에서 말이 없는 지우(가명)를 연서가 메신저를 통해서 욕을 하거나 다른 친구들에게 뒷담을 깠다고 한다. 이에 힘든 지우가 친구들에게 울면서 이야길 했다. 그 뒤로 연서는 친구를 괴롭혔다는 이유로 무리에서 떨어져 나왔다. 그런데 연서는 그것을 견디기 힘들어했다.
2학년에 올라와서 연서는 친구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 애를 썼지만 친구들은 냉랭했다. 그렇다고 연서에게 못살게 굴거나 눈치를 주지도 않았다. 그냥 예전과 같이 이야기하고 밥을 먹고 놀고 하는 관계가 끊어진 것이다. 이로 인해 연서는 무척 힘들어했다. 그렇게 혼자 힘들어 하다 하루는 울먹이며 상담을 하러 왔다. 연서의 가장 큰 염려는 혹시 친구들이 자신을 해꼬지는 하지 않을까였다. 지금은 잘 해결돼 해꼬지의 염려는 없어졌다. 그 친구들과 예전만큼은 아니더라도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밥도 같이 먹는다.
이렇게 되기까지 연서와 다른 친구들에게 해준 건 오해풀기였다. 먼저 개별 면담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함께 이야길 나눌 자리를 만들어주었다. 개별 면담을 할 때 어느 한 쪽 편을 들거나 한 쪽만을 혼내면 안 된다. 잘못하면 서로 간의 감정의 골만 깊어지고 고자질했다고 관계가 악화되기 때문이다.
한 시간여의 만남의 결과 서로간의 오해는 풀렸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관계가 정상적으로 돌아간 건 아니다. 그들 사이엔 시간이란 게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때 연서는 울었고 다른 친구들은 연서의 손을 잡고 위로를 해주었지만 분명하게 이렇게 말했다.
“시간을 좀 더 주세요. 오해가 풀렸다고 해서 바로 예전처럼 돌아가긴 힘들잖아요.”
욕심 같아선 바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갔으면 하지만 아이들에게 시간을 주기로 했다. 상처가 아물기 위해선 시간이라는 약이 필요함을 아이들은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 이후로 아이들은 함께 어울리기도 하고 곧 있을 체육대회 준비도 같이 의논했다. 연서의 마음도 한결 편한지 얼굴 표정도 밝아졌다. 하지만 그들 사이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함을 알고 있다. 그리고 포기도 있어야 한다. 특히 연서가 그랬다. 연서는 예전 친구들에 대한 지나친 집착을 가지고 있었다. 그 집착이 자신을 더 힘들게 했다. 그래서 이야길 나눌 때 자주 한 말이 좀 버리고 새로운 친구들에게 관심을 가지라는 말이었다.
그렇게 이야기를 나누는 사이 어느 날 연서는 이렇게 말했다.
‘저 많이 버렸어요. 이제 좀 편해요.’
요즘은 조금 들어갔지만 한때 왕따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부각되기도 했다. 그러나 은따는 그렇지 못하다. 왕따가 두 사람 이상이 집단을 이루어 특정인을 소외시켜 반복적으로 인격적으로 무시하거나 음해하는 언어나 신체적인 일체의 행위라면 은따는 함께 어울리다가 마음이 틀어진 또래집단에서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은따는 직접적인 음해가 없는 것도 왕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왕따와 은따 외에 전교생에게 따돌림을 당하는 전따라는 것도 있다. 이러한 ‘따’는 일종의 사회적인 매장이다.
특히 학창 시절의 따는 사회에 나가서도 그대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때론 따를 당한 사람은 그 비슷한 경우를 당하기만 해도 과거의 아픔이 되살아나 힘들어한다. 연서라는 아이도 초등학교 시절의 왕따 경험이 있었는데 아직 그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문제는 누군가를 따를 시킨 아이들은 그 심각성이나 문제를 별로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원인을 자신이 아닌 상대에게 돌리기도 한다. 그래서 ‘따’의 원인도 단순히 나와 달라서, 그냥 싫어서, 특별해서, 잘난 체해서 등 단순하고 다양하다.
허면 왜 아이들은 나와 다르고 그냥 싫다는 이유로 타인을 외톨이로 만드는 것일까. 어쩌면 이는 상대에 대한 배려나 개성을 인정하지 않는 우리 교육과도 연관이 있지 않을까 싶다. 함께 잘 살고 함께 행복하고 웃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밟고 가야 살아가도록 배운 교육의 모습이 ‘따’라는 모습으로 다가온 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