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의 선진편에 이런 말이 나온다. “子曰(자왈) 論篤(논독)을 是與(시여)면 君子者乎(군자자호)아 色莊者乎(색장자호)아”라는 말이다. 이 말의 뜻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다만 언론이 독실하다 하여 그 인물도 독실한 사람으로 허락해 버리면, 그 사람이 마음과 말이 일치하는 군자인가, 그렇지 않으면 말만 독실하고 마음은 허랑한 사람인가를 모를 일이 아닌가?’라는 뜻이다.
공자께서는 말을 잘하면서 행동에 옮기지 않는 사람을 못마땅하게 여겨서 말만 잘하는 사람이 되지 말고 말과 행동이 일치되는 사람이 되도록 가르치신 말씀이다. 論篤(논독)이란 말이 도리에 맞고 충실함을 말한다. 論篤人(논독인)은 군자가 아니라고 하신 것이다. 말은 그럴 듯하게 잘하는데 행동이 따르지 않으니 군자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군자는 말과 행동이 하나가 되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色莊者(색장자)는 외부에 나타난 언어동작을 말한다. 외면만이 장중함을 말한다. 겉으로 볼 때는 말도 잘하고 생긴 것도 잘 생겼고 무게가 있어 보이니 군자답게 보일지 모르나 색장자는 겉과 속이 다른 자이다. 말과 행동이 일치되지 않는 자이다. 겉으로는 장엄하고 장중하지만 안으로는 그 반대다. 그러니 색장자는 군자의 반대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보통 사람들은 색장자를 좋아한다. 색장자가 인기를 얻는데 좋기 때문이다. 힘도 들이지 않아도 되고 노력이 따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행동이 따르지 않아도 대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니 배우는 이들도 자기도 모르게 색장자가 되는 것으로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공자께서는 겉만 치중하는 색장자를 싫어하셨다. 말만 잘하는 논독인도 좋아하지 않으셨다. 겉으로 멋만 부리는 이를 좋아하지 않으셨다. 말과 외모만로는 군자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말과 행동이 하나가 되어야 군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말과 행동이 하나되는 이를 공자께서는 좋아하셨다.
말만 논리적이라고 군자가 아닌 것이다. 말만 믿음직스럽다고 군자가 아닌 것이다. 말보다는 행함이 있는 자가 군자인 것이다. 말이 적어도 행동이 앞서면 군자인 것이다. 외모는 그저그래도 속사람이 알차면 그 사람은 군자인 것이다.
배우는 이들은 말만 잘하는 論篤人(논독인)이 되어서는 안 된다. 배우는 이들은 외모만 그럴 듯하게 꾸미고 위엄있어 보이는 色莊人(색장인)인이 되어서도 안 된다. 이런 이들은 군자가 될 수가 없다. 오히려 소인이라 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이들을 공자께서는 원치 않으셨다.
공자께서는 비록 겉은 약해 보이지만 속이 강한 이들을 원하셨다. 공자께서는 비록 말은 잘못하지만 행동은 바른 이를 원하셨다. 공자께서는 겉은 보잘것없어 보이지만 속은 알찬 이를 원하셨다. 말은 논리적이 못하고 말수가 적어도 행동이 뒤따르면 그런 이를 좋아하신 것이다.
배우는 이들은 겉을 중시해서는 안 된다. 외모에 중시해서는 안 된다. 모양을 내는데 중시해서는 안 된다. 머리에 관심을 많이 가져서도 안 된다. 옷을 입는데 신경만 써도 안 된다. 좋은 신발을 신는데 관심을 가져서도 안 된다. 그런 것을 공자께서는 싫어하셨다. 요즘 선생님들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멋만 부리는 이들을 좋아할 리가 있겠는가? 배우는 이들은 속을 중시해야 한다. 고운 마음을 가져야 한다. 아름다운 말을 하여야 한다. 예쁜 생각을 해야 한다. 아름다운 행동을 해야 한다. 그런 이들을 공자께서는 좋아하신다. 오늘의 선생님께서도 좋아하시는 것이다. 그런 이를 군자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말만 논리적으로 잘하는 論篤人(논독인)을 부러워하지 말고 외모만 꾸미는 色莊者(색장자)를 부러워하지 말고 오직 말과 행동이 하나가 되는 군자를 부러워해야 한다.
혹시 내가 말만 앞세우고 행동이 따르지 않는 이라 생각이 되면 이번 기회를 통해 말과 행동이 함께 가도록 노력해야 한다. 말은 무성한데 행동이 없는 것은 잎은 무성한데 열매가 없는 나무와 같은 것이다. 농부는 열매 없는 나무보다 열매 있는 나무를 원하듯이 선생님은 말과 겉만 멀쩡한 인물보다 말과 행동이 하나 되는 알찬 인물을 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