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개학을 앞두고 신학기에 들어갈 수업료, 교과서대금, 급식비, 교복비 등 경제적 부담으로 학부모의 고민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중에서도 학부모에게 가장 큰 부담으로 다가온 것은 예년보다 턱없이 비싼 교복 값이다.
신학기 입학하는 자녀를 둔 학부모의 경우, 자녀에게 새로운 교복을 사주고 싶은 마음은 모두 같으리라 본다. 그러나 일반 성인 정장 값과 맞먹는 비싼 교복을 사준다는 것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유명 연예인을 앞세워 광고를 찍은 유명업체의 교복 값이 무려 30만 원을 넘는 예도 있다. 그러다 보니 학생들 또한 교복을 선택하는 데 있어 브랜드와 스타일을 따진다고 한다.
금요일 아침. 본교로 입학이 확정된 이웃에 사는 한 어머니로부터 전화가 걸러왔다. 전화에서 그 어머니는 중고 교복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물었다. 며칠째 교복을 사기 위해 여러 교복점을 둘러보았으나 교복 값이 워낙 비싸 살 엄두가 나지 않아 그냥 돌아왔다고 하였다. 더군다나 올해 두 자녀가 각각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입학하기에 가계 부담이 장난이 아니라며 걱정하였다.
조금이나마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큰딸의 양해를 얻어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교복을 처음 입는 동생에게 새로운 교복을 사주기로 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중고 교복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물었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알아봐 주기로 하고 전화를 끊었으나 왠지 씁쓸한 생각이 들었다.
사실 학생의 자율 복장 허용에 따른 교외 생활지도의 어려움과 탈선행위 나아가 학부모의 가계 부담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다시 등장한 것이 교복이다. 그런데 처음 취지와는 달리 청소년의 학원폭력은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으며 매년 치솟는 교복 값에 학부모는 허리띠를 더욱 졸라매는 실정이다.
이 모든 것은 교복 업체의 횡포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따라서 교복 업체는 교복 원가를 학부모들에게 공개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 또한 교복 업체를 선정하는데 신중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본다. 자칫 잘못하면 학교가 마치 교복 업체와 결탁하여 교복 값을 조정하는 것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 따라서 학교는 나름대로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라도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입시가 끝난 3학년을 대상으로 ‘교복 물려주기’ 운동에 대한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고 난 뒤 가정통신문을 통해 학부모의 양해를 택해 집에 옷장 깊숙이 넣어둔 동복, 하복, 체육복 등을 가져오게 하여 후배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여 여기에서 거둔 수익 전액을 장학금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교의 경우, 이 운동을 처음 시작할 때에는 헌 교복을 찾는 학부모가 적어 남아도는 교복을 처리하는데 고심이 많았다. 그런데 올해에는 고입 전형이 끝남과 동시에 모든 교복이 판매되어 처음과 대조를 이루었다. 아마도 이건, 예년에 비해 교복 값이 많이 상승한 탓이라고 본다.
그리고 아파트 단지 내 부녀회에서도 중학교와 고등학교 동 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끼리 ‘교복 물려주기’ 운동을 펼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른 사람이 입었던 헌 교복이기에 다소 불쾌감을 느낄 수는 있지만, 잘 손질하면 새 교복 못지않다는 사실을 자녀에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부 차원에서도 교복업체의 교복 값 담합 유무를 철저히 조사하여 교복업체의 횡포를 근절해야 할 것이며 학교와 학부모, 나아가 시민단체 또한 교복 공동구매를 활성화하여 교복업체가 더 이상 학생들을 담보로 장사를 못하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