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조그만 관심이라도 있는 사람은 평론가가 되어 한 마디씩 할 정도로 교육문제가 세간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이는 그만큼 교육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공교육에서 가장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이 일상적인 교사의 수업이 아닐 수 없다. 그러기에 선생님은 '수업전문가'라 불러도 틀림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지역에따라 편차는 있지만, 이 수업의 기강이 무너지는 냄새가 언제부터 나기 시작했다. 거기에 인권조례 바람이 불어 그렇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심하게는 수업중에도 교사를 조롱하고, 비아냥거리기도 하여 가끔 언론에 보도되는 것을 보면 이제 상당히 심각한 수준에 있다 하여도 과언은 아닐 것 같다.
그러나 교사들의 전공과 성격이 다르고 아이들을 다루는 방식이 제각기 달라 단순화 시키는 일이 어럽지만 교실이 기강이 서려면 어느 정도 기준은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다음 내용은 NEA의 ‘I Can Do It' 학급경영 연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캘리포니아 교원단체에 의해 개발된 항목으로서 교실의 기강을 잡는 방법이다. 만일 교사라면 스스로를 점검해 보면서 교사간의 공유를 통하여 교실이 기강이 잡힌 교실이 되길 소망하면서 소개하고자 한다.
- 수업 시작 전 학생들을 주의 집중시킨다. - 떠드는 것을 무시하고 이야기하기보다 주목할 때까지 기다린다. - 학생들이 되도록 빠른 시간 내 과제를 행하도록 한다. - 분명하고 구체적인 지시를 준다. - 과제 수행에 시간을 정한다. - 학생들이 공부하는 동안 살펴본다. - 수업시간에 사적인 대화를 자제한다. - 친절하고 정중하기 위해 노력한다. - 교실에서 조용히 이야기한다. - 학생들에게 기대 행동을 상기시키기 위해 다양한 신호를 쓴다. - 내 신호를 학생들에게 알려준다. - 학생들의 동기부여를 위해 교실 환경을 정비한다. - 교실의 정리정돈이 학생의 주의를 집중시키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여긴다. - 내 옷차림, 목소리, 움직임이 아이들에게 미칠 영향을 알고 있다. - 태만한 학생을 조용히 바로잡기 위해 학생의 이름을 이용한다. - 잘 지도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방법을 이용한다. - 학생들이 모범적인 행동을 하도록 긍정적인 기대를 전달한다. - 학생들을 가르칠 때 분명하고 구체적인 규칙을 가지고 있다. - 학생들에게 위협이나 애걸을 하지 않는다. - 규칙을 실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 기대하는 것을 알리기 위해 ‘나-메시지(I-messages)'를 자신 있게 이용한다. - 내 느낌을 전달하기 위해 ‘나-메시지’를 인간적으로 이용한다. - 구체적이고 인격적인 칭찬을 통해 내가 좋아하는 행동에 반응을 보인다. - 비언어적·사회적 활동 강화책을 사용한다. - 한 번 “안 돼!”라고 말한 것은 단호하게 거절하거나 자른다.
(각 문항에 최고 4점 최하 1점의 점수를 매긴 후 총합이 90이상=우수, 80~88은=양호, 70~78=보통, 70미만=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