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9일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지 566돌이 되는 날이다. 이 날을 기념하기 5일부터 11일까지 ‘한글 주간’ 행사가 열린다. ‘한글 주간’은 2008년부터 한글날을 앞뒤로 한글날을 기념하는 것이다. 올해 ‘한글 주간’에는 ‘한글, 함께 누리다’를 주제로 다양한 행사를 펼친다. 경복궁 수정전 앞마당에서 열리는 ‘톡톡 한글, 누림 세상’ 기획전을 비롯해 많은 행사가 준비돼 있다. 게다가 ‘한글 주간’ 바로 뒤인 12일에는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조선어학회 수난 70돌 기념행사’가 계획되어 있다.
한글날은 일제 강점기에 시작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국어 운동을 통해 민족 사상을 고취하고자 ‘조선어연구회(한글학회의 전신)’를 창립하였다. 그리고 민족 문화의 근간이 되는 ‘훈민정음’ 반포 기념일을 추정하기 시작했다. 해서 세종실록의 기록에 의거 1926년 11월 4일(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선포했다. 1928년에는 한글의 명칭이 보편화되어 쓰이기 시작하면서 ‘한글날’로 고쳤다. 그러나 한글날을 음력으로 하니 불편이 했다. 이에 음력 9월 29일을 양력으로 셈하여 10월 29일로 정했다. 이를 1582년 이전에 율리우스력으로 계산한 10월 28일을 한글날을 정했다. 그래서 1934년부터는 양력 10월 28일에 한글날 잔치를 치르게 되었다.
그러다가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고 반포일을 정확히 알았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되자 한글 학회는 9월 상한의 끝날 인 9월 10일에 훈민정음 반포를 했다는 추정을 하고, 이를 양력으로 환산한 10월 9일을 한글날로 확정했다.
1946년 10월 9일 한글 반포 500돌을 맞이하여 정부에서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정했다. 광복과 함께 한글날은 더욱 빛을 보게 되었다. 1946은 훈민정음 반포 500돌을 맞이하여 한글날을 공휴일로 정하고, 덕수궁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그런데, 1990년 총무처(지금은 행정안전부)에서 법정 공휴일 축소 문제와 관련하여, 한글날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당시 정부는 공휴일이 너무 많아 노동자들의 생산성이 떨어져 경제 발전에 장애가 많다는 이유로 한글날과 국군의 날을 공휴일에서 제외했다.
다행히 2005년 12월 29일 개정된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해 한글날은 국가 기념일에서 국경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한글날은 휴일이 아닌 관계로 국경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인터넷에서도 국경일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법률로써 지정한 날로,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및 개천절 등의 4대 국경일이 있다고 안내하고 있다. 한글날이 아예 언급이 되지 않고 있다. 올해 4월 조사(리서치앤리서치)에 따르면 10월 9일이 한글날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64.1%에 불과했다. 2009년의 88%에 비해 현격히 줄었다. 그나마 20대는 32.7%로 셋 중 한 명꼴도 안 된다.
오늘날 지구상에는 각 나라가 여러 종류의 글자를 쓰고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고유한 말과 글자를 가지고 있는 나라는 드물다. 한글은 만든 목적이 뚜렷하고 만든 사람이 분명한 글자다. 한글은 인체의 발음기관과 우주 구성의 3대 요소인 삼재(三才: 하늘, 땅, 사람)를 본떠서 만들어졌다. 상형(象形)을 기본으로 한 한글의 제자(制字) 원리는 현대 언어학 또는 문자학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매우 과학적이며 독창적이라 할 수 있다. 한글의 위상은 세계에서도 인정했다. 유네스코가 훈민정음 해례본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인정하고 매년 각국 문맹퇴치 공로자에게 ‘세종대왕 문해상(King Sejong Literacy Prize)’을 시상하고 있다. 2007년에는 세계 아홉 번째 국제 공개어로 한국어를 채택했다. 하지만 아직도 해외 주요 사이트에는 잘못된 내용이 있다. 국회의원이 국정감사에서 지적한 것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 사이트에 ‘한국어는 일본어 및 몽골어와 관계가 있다.’라고 표기하고 있다고 한다. 백과사전(네이션스인사이클로피디아)에는 ‘중국문자를 모방하면서 한글은 문자들이 결합되어 음절이 된다. 한국 정부는 일본이나 다른 언어로부터 차용된 한글의 순화를 위해 다양한 문자 미화 사업을 실행해 왔다. 그러나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절반 이상은 중국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적고 있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심각한 오류다.
국회에서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문제에 대해 입을 모으고 있다. 여야 모두 발의한 상태이기 때문에 머지않아 공휴일로 지정될 전망이다. 문제는 공휴일이 아니다. 공휴일 지정과 함께 한글날 관련하여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한글의 가치를 알리는 행사가 있어야 한다. 아울러 국가적 차원의 국외 홍보 행사도 병행해야 한다. 21세기의 강국은 이제 힘이 아니다. 문화자본이 풍부한 국가가 경제 강국으로 자리하게 된다. 한글은 우리나라가 문화 국가로 성장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면서 강력한 자산이다. 최근 시대의 변화와 정부 차원의 영어 우대 정책이 자주 등장하면서 국어에 대한 위기가 오는 느낌이다. 당장 급하다고 외래어에 치중하면서 한글의 중요성을 깨우치지 못한다면 불행한 일이다.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노력하는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