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많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5.9℃
  • 맑음서울 12.8℃
  • 맑음대전 14.0℃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5.6℃
  • 맑음광주 13.5℃
  • 맑음부산 14.0℃
  • 맑음고창 11.8℃
  • 맑음제주 15.9℃
  • 맑음강화 9.4℃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2.8℃
  • 맑음강진군 14.6℃
  • 맑음경주시 16.2℃
  • 맑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교원이 봉이냐" 분노 폭발

"못 믿을 교육부, 현실 모르는 인권위"
나이스 대 혼돈…"모두 폐지하자"주장도


교무·학사, 보건, 입·진학 항목을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서 제외하고 CS(학교종합행정시스템)에 입력하라는 12일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 결정으로 학교는 때아닌 '나이스 대 혼돈'에 빠졌고, 정부에 대한 교원들의 불신감은 폭발 직전에 이르렀다.

교단은 나이스 업무를 거부한 일부 전교조 교사들과 정부의 방침대로 나이스 업무를 수행한 교원들로 갈라져, 서 교장 자살로 촉발된 갈등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고, 각종 인터넷 게시판에는 교육부와 인권위를 성토하는 교원들로 붐비는 와중에 인권위의 결정에 반대하는 정보 담당 교사들의 인터넷 카페까지 결성돼 조직적인 반발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2월 내내 죽을둥살둥 간신히 이관 작업 끝내고, 진급 및 졸업처리 다하고 조금 손에 익었다고 생각하는 순간 또 다른 절망이 기다리고 있다"(김동일 교사)는 글에서 현장교원들의 허탈감을 가감 없이 읽을 수 있다.

막대한 국가 예산과 교육력을 낭비하고, 교장·교감을 우습게 만든 책임자를 문책해야한다는 여론도 높다.

경기도의 이 모 장학관은 "그 동안 나이스에 소요된 522억 원과 CS로 돌아갈 경우 최대 2조원에 달하는 예산은 누가 책임질 것이냐"고 반문했고, 서울의 박주식 교사는 "국가예산을 낭비한 교육부에 손해배상을 청구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서울을 제외한 거의 모든 학교가 나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다시 바꾼다면 아무도 교육부 정책을 신뢰하지 않을 것이다"(경기 조재완 교사), "앞으로 교육부가 하라고 하면 최소한 2∼3개월 여론을 봐가면서 하겠다"(대구 김한기 교사), "꼭 시행해야 한다고 강력히 추진한 교장의 권위는 추락하고 교원들로부터 지탄을 받을 것"(포항 신기완 교감)이라는 교원들의 항의는 정부에 대한 무너진 신뢰를 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인권위의 권고를 환영한 전교조와 교단혼란을 부추길 것이라는 교총의 우려는 NEIS로 갈라진 교단의 상징에 불과하다.

"이제는 전교조 교사들이 CS 업무를 담당하라"는 글에 대해 "당신들이야 또 시키면 하겠지. 고생 하슈"라는 빈정거림에서부터, "어떤 경우든 개인의 인권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정책은 제고되어야 하며, 인권위의 결정은 타당하다"는 찬성론에 대한 "NEIS 안해도 좋다. 그러나 CS는 안된다. CS 관리해본 선생님 중에서 CS 이용을 찬성하시는 분은 리플 달아봐라"는 충돌이 심상치 않다.

교원들 중에는 모두 폐기하고 수기장부로 가자는 극단적인 주장을 펼치는 사례도 만만찮다.

인권위 결정에 반대하는 교원들은 "NEIS가 보안문제로 안 된다면 CS는 더 취약하다. 유일한 대안은 수기장부뿐" "학교생활기록부 전산화작업 자체를 완전히 폐기하는 것이 국민의 인권을 보호하는 것이다"는 주장까지 내세우고 있다.

"인권위 때문에 나라가 망한다" "인권위는 전교조 하수인인가"라며 직설적인 성토도 마다않는 교원들은 "정보전문가 한 명 없는 인권위의 결정이 수십만 현장 교원들의 여론보다 더 중요하단 말인가"라며 소외감과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있고,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다음'에는 '전국교육정보담당자협의회'라는 이름으로 카페가 결성돼 개설 하루만에 100여명이 가입해 교육부의 인권위 권고안 수용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