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리석은 질문 하나를 던지고 싶다. 선생님들은 교장과 학생 사이에서 누구의 눈치를 더 보아야 할까? 생활하면서 누군가의 눈치를 살핀다는 것이, 사고나 행동에 있어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판단을 저해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더불어 살아가는 조직 내에서 관계를 맺는 상대에 대한 작은 관심과 배려의 발로일 수 있다는 점에서 무조건 나쁜 것만은 아니라면 학교사회에서의 ‘바람직한 눈치’는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한번쯤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어떤 교사가 자신의 교직성장에 필요한 인사고과를 잘 받기 위해 윗사람-교장·교감의 눈치를 살필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정도가 심해 교사로서 스스로가 감당해야 할 책무가 무엇이며, 어떤 길을 걸어가야 하는지에 대한 확고한 교육적 소신을 지니기보다 상사의 지시와 명령에 순응하며 그저 바람 부는 대로 제 한 몸 눕히고 일어서는 풀잎 같은 교사로 살아간다면 그를 진정한 교육자라 부르기는 어려울 것이다.
학교 공동체가 추구하는 교육목표를 명확히 인지하고 그 교육적 성과를 높이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는 과정에서 학교경영자의 뜻을 받들고 힘을 함께 모으는 일이야 학교조직의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마땅한 일이지만, 교육자 본연의 책무는 뒷전에 두고 상사의 눈치를 과도하게 의식하며 처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일은 참다운 교사의 본령에서 한참 멀어져 있는 것이다.
교사가 눈치를 보고 두려워해야 할 사람은 교장·교감이기보다는 자신의 가르침을 받는 학생들이여야 한다. 나이도 어리고 학식도 미비한 학생들을, 무엇으로 보나 우월적 지위에 있는 선생님이 두려워해야 한다니 말도 안 되는 소리라 할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진정한 교육자라면 자신의 가르침을 받는 학생을 의식하고 또 의식해야만 한다. 그들이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꿈꾸는지, 무엇에 힘들어하고 무엇을 아파하는지를 알아야 바른 교육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을 가장 쉽게 정의해서 미성숙한 아이들에게 모범전형으로서의 교사가 도덕적·인격적 본(本)을 보이는 일이라고 한다면, 마땅히 교사는 학생들의 눈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두려워해야 하고 아이들 앞에 부끄럼 없는 스승으로서 전문적 학습의 연마를 계속함은 물론 스스로의 인간적 품격을 높이는 일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교육자로 봉직하는 동안, 아이들 앞에서 선생님이기에 함부로 말할 수 없고, 선생님이기에 아무렇게나 행동할 수 없으며, 선생님이기에 자신의 이기심을 버려야할 때가 얼마나 많은가. 선생님 노릇 힘들다는 말이 단순히 교과 지식을 전수하고 가르치는 일의 육체적 고단함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혼과 교감하며 인격을 형성하는 정신적 배움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사소한 언행도 결코 가벼이 할 수 없는 책임의 무게를 통감하는 것이다.
학교 현장이 참으로 뒤죽박죽, 도무지 질서를 찾을 수 없는 혼란의 아수라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오늘의 현실은 과연 무엇에서 연유하는 것일까? 법적·제도적 정비와 보완을 거듭해도 전혀 수그러들지 모르는 학교폭력은 가정과 부모의 무관심 속에 제멋대로 자란 아이들만의 잘못이며, 학원 선생님만큼도 대우를 받지 못하는 학교 교사들의 교권추락은 모든 가치를 경제력의 많고 적음으로 가늠하는 세태 속에서 선생님의 사회경제적 위치가 보잘 것 없기 때문일까? 잘못은 그저 아이들이나 학부모들 탓이고 비뚤어진 세상이 그리 만든 것인가.
학교폭력 가해자들의 심층을 들여다보면, 그들이 과거 가정이나 학교 등에서 물리적으로든, 심리적으로든 폭력의 피해자인 경우가 많다는 점에 주목하게 되는데, 누가 무엇이 그들을 자신들에게 폭력을 가한 억압적 환경에 대한 반발로서 또 다른 폭력을 꿈꾸게 했는지 따져 물어야 한다. 의도하지는 않았을지언정 공부를 시킨다는 미명하에 학교나 교사가 아이들을 여러 형태로 억압하고 무한경쟁으로 내몰고 있다는 점 또한 사실이라고 볼 때 우리 교육이 그동안 아이들에 대한 진정한 배려나 관심이 부족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교권의 추락 또한 마찬가지다. 우리가 좀 더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그들의 마음을 헤아리고 그들의 아픔을 어루만지며 그들과 함께하는 사제동행의 길을 걷는다면 굳이 애써 존경해 달라하지 않아도 저들은 진심어린 감사의 박수와 고마움을 가질 것이다.
제 것 가지고 제 맘대로 살기도 힘든 세상에 누군가의 눈치를 보며 사는 일은 어찌 보면 침 피곤하고 힘든 일이다. 하지만 눈치를 보는 일이 곁에 있는 누군가의 존재를 의식하고 좀 더 그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일이라면, 그래서 우리 사는 사회가 조금이라도 따뜻해지고 살맛나는 세상일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교육자적 소신도 줏대도 없이 목소리 높은 학생들의 무리한 요구에 질질 끌려가는 차원의 눈치가 아니라, 무엇이 진정으로 아이들을 위하는 길인지 늘 고민하며, 스스로를 성찰의 거울 앞에 세우는 그런 눈치가 많아진다면 분명 우리 교육은 희망찬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