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장에 신발이 있는 것이 정상인가, 텅 빈 것이 정상인가? 우리들의 학창시절, 신발장엔 신발이 가지런히 정리되어 있었다. 신발장엔 출석번호도 붙었다. 정해진 자리에 자신의 신발을 놓았다. 학교에서는 정리정돈 교육도 시켰다. 그게 당연한 일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신발장에 신발이 없다. 학생들은 교실에서 공부 중인데 신발장이 텅 비었다. 신발은 어디로 갔을까? 신발주머니에 담겨 책상옆에 매달려 있다. 왜? 밖에 있는 신발장에 두었다가는 신발을 잃어버리기 때문. 학교도 책임지지 않으니 본인이 간수하는 수밖에.
이런 일이 일어난 원인을 분석해 본다. 과거엔 신발값이 그렇게 비싸지 않았다. 잃어버리면 재수 없다고 생각하고 다시 구입했다. 그런데 지금은 신발 가격이 비싸다. 유명 메이커는 10만원 넘는 것도 있다. 잃어버리면 손실이 크다. 그러나보니 간수에 신경을 써야 한다.
학교에서 분실 사고가 나면 연쇄반응이 일어날 수도 있다. 잃어버린 사람은 다른 학생 것을 슬쩍한다. 그러면 도둑이 늘어난다. 학교는 불신사회가 된다. 그러나 양심이 살아있다면 남의 물건에 손대지 않는다. 기분은 나쁘지만 잃어버린 '나' 혼자로 문제를 끝내고 더 이상 확대시키지 않는다.
우리 학교, 신발장 문제를 해결하려고 머리도 써 보았다. 신발장에 개인 잠금장치를 마련해 신발은 신발장에 넣는 방법을 강구해 보았다. 소요비용은 1인당 1만6천원이 들어간다. 예산 확보 문제도 있지만 심사숙고하기 위해 보류 상태에 있다. 한 번 해 놓으면 다시 돌이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오늘 복도를 순회하다 보니 1학년 어느 반 신발장에 신발이 놓여져 있다. 새로운 장면이다. 학급 학생 모두 신발장에 놓은 것이 아니라 일부 학생만 놓았다. 신발장에 신발이 놓이니 보기에도 좋다. 교실에 갖고 들어가면 악취 등의 문제가 있다.
어찌된 일일까? 분실되어도 괜찮은 헌 신발인가? 아니다. 잃어버려도 본인이 책임진다는 뜻인가? 그건 모르겠다. 밖에 놓아도 분실 우려가 없는 우리 학교가 되었나? 그렇다면 서로를 믿을 수 있는, 안심할 수 있는, 평화로운 학교다. 그게 좋은 학교다.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양심을 실천하는 학교다.
필자는 이렇게 해석한다. '우리가 어느 정도 살만큼의 수준이 되었구나!' '째째하게 유명상표 신발 훔쳐가 신는 그런 시대가 지나가고 있구나!'를 느끼는 것이다. 양심도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훔쳐 간 신발, 과거엔 팔 수 있었는지 모르지만 지금은 사는 사람이 없다.
얼마 전 자동차검사장 화장실을 들른 적이 있다. 볼 일을 보는데 FM 음악이 흘러나온다. '참, 우리나라 살기 좋은 세상이 되었네! 화장실에서도 실시간으로 음악을 듣다니…." 자세히 보니 화장실 윗쪽에 오디오와 스피커가 놓여져 있다. 아마도 스피커 하나는 여성용 화장실에 있으리라. 방송 시설 공사보다 헌 오디오를 갖다 놓는 것이 비용이 싼 것일까?
요즘 오디오, 저렴한 것은 10만원 가격대다. 화장실에 있는 것을 가져갈 사람은 없다. 우리 사회는 그런 비도덕적인 사람들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신발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10만원'에 양심을 팔면 아니된다. 국민소득 증가와 함께 정신적 문화 성숙이 동반해야 하는 이유다. 학교 신발장에 학생 신발이 가지런히 정돈된 모습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