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입시전쟁이 끝났다. 올해도 고등학교 앞이나 농촌마을 입구를 지나다보면 ‘축 000 서울대학교 합격’이라고 쓰인 커다란 현수막을 어김없이 만날 수 있다. 이 같은 현수막을 내 건 뜻은 서울대학교 합격만으로도 하나의 ‘커다란 출세’가 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서울대학교에 합격한 자체만으로도 그 사람의 미래가 장밋빛처럼 아주 밝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러한 현수막을 내건 사람들의 기쁨을 모른 바는 아니다. 그러나 서울대학교의 합격 자체가 한 사람의 인생을 결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또 그래서도 안 된다. 따라서 서울대학교의 합격 자체를 다른 사람에게 자랑처럼 홍보해서는 안 된다.
한국인들의 서울대학교에 대한 집착과 선호는 뿌리 깊은 출세지향주의 때문이다. 신분사회였던 봉건사회에서는 학연과 혈연, 지연이 출세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지만, 근대화 이후의 사회는 개인의 능력이 더 중요해졌다. 그런데도 한국사회는 여전히 봉건사회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봉건사회는 자신의 능력과 관계없이 태어나면서 이미 운명이 결정되지만, 근대화 이후의 사회에서는 자신의 능력에 따라 얼마든지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데도 말이다.
서울대학교에 합격한 것은 분명 한 개인의 능력으로 이룬 것이어서 칭찬받을 일이지만, 그 사실을 굳이 현수막까지 걸어가며 요란하게 알릴 필요는 없다. 서울대학교의 합격은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방방곡곡에 이런 류(고시패스, 공인회계사 패스 등등)의 현수막이 난무하는 것은 분명 정상적인 사회가 아니다.
현재 한국 사회는 선진국 진입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우리나라가 중진국의 경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선진국에 맞는 국민들의 의식 수준이 절실히 필요하다. 현수막이 난무하는 사회는 선진국의 조건이 결코 아니다. 특히 지극히 개인의 문제를 사회문제로 환원시키는 것은 아주 저급한 의식이 그 밑바탕에 깔려있다. 우리가 현수막을 통해서 알아야할 것은 개인의 합격 소식이 아니라 공통체가 반드시 알아야할 주제들이다. 예를 들면 “홍길동, 개인재산 전액 사회 환원”, 또는 “홍길동,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의료봉사 펼치다” 등이다.
서울대학교의 합격여부나 고시패스는 우리들이 살고 있는 공동체의 삶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고등교육기관인 대학교는 삶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곳이지 돈과 권력을 추구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대학교를 마치 돈과 권력을 얻는 교육기관으로 착각하고 있다. 만약 한국사회가 이런 착각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지 못한다면 영원히 후진국으로 남을 것이다.
선진국은 개인과 공동체의 이익을 함께 고려할 줄 아는 국민만이 만들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국민들의 의식 수준이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 현수막 문화를 놓고보면 우리 국민들의 의식 수준은 아직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