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19.3℃
  • 구름많음강릉 21.1℃
  • 구름많음서울 19.3℃
  • 구름많음대전 22.5℃
  • 구름조금대구 20.3℃
  • 맑음울산 18.8℃
  • 구름많음광주 23.5℃
  • 구름많음부산 16.7℃
  • 구름많음고창 22.2℃
  • 흐림제주 24.6℃
  • 구름많음강화 17.6℃
  • 구름많음보은 21.4℃
  • 구름조금금산 23.2℃
  • 구름많음강진군 22.3℃
  • 구름조금경주시 22.7℃
  • 구름많음거제 1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미래에 종이책이 살아지는가

인간이 발명한 것 가운데 인류 역사 발전에 공헌한 것이 한둘이 아니다. 인쇄술이야말로 인간의 지성을 발전시키는데 큰 공헌을 한 것은 드물 것이다. 15세기 독일의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활판 인쇄술은 16세기 들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 독서의 대중화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당시 독자들이 모두 인쇄된 종이책을 환영한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책을 좋아하는 이들은 필경사들이 손으로 직접 쓴 책의 자연스러움에 비해 찍어낸 종이책이 너무 기계적이고 인간미가 없다며 멸시했다는 것이다. 인쇄한 종이책은 사람이 손으로 쓴 책보다 가격이 쌌지만 잘 팔리지 않았다. 인쇄업자들은 글자체에 일부러 결함을 만드는 등의 방법으로 보다 불완전하고 인간적인 책을 만들어내기도 했을 정도이다.

종이책에 비해 싸고 편리한 전자책(e-book)이 등장한 지 10여 년 가까이 지났다. 하지만 아직 많은 독자들이 종이책을 더 많이 보고 있다. “한 권의 책을 손에 들었을 때의 묵직함, 책장을 넘길 때의 사각거림 등 종이책을 읽을 때의 즐거움을 전자책은 줄 수 없다”는 이유다. 하지만 16세기 독자들의 깊은 애정은 시대의 변화를 거스르지 못한 것처럼 손으로 쓴 책은 인류사에서 거의 사라졌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한 세대 후 평범한 가정에 종이책이 몇 권이나 있을까을 생각해 본다. 아마 장식용을 제외하고는 한 권도 없을지도 모른다.

종이책의 죽음을 알리는 종이 이미 울렸다고 단언하는 사람도 있다. 그는 세계 최대 인터넷서점 아마존에서 전자책 단말기 ‘킨들(Kindle)’ 개발에 참여했던 제이슨 머코스키다. 이미 글로벌 도서 시장에서 전자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3%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2017년이 되면 전자책이 종이책 시장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자책 단말기 가격은 점차 내려가고, 구글은 전세계의 모든 책을 디지털화하는 작업에 착수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 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전자책 혁명은 독서와 글쓰기의 규칙을 바꿀 것이다. 독서의 미래상은 홀로그래픽(3차원 그림) 기술이 발달하면 독자가 책의 주인공이 돼 줄거리를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자책과 소셜 네트워크가 결합하면 작가와 독자, 혹은 같은 책을 읽고 있는 독자들끼리 토론을 하며 책을 읽는 것도 가능하다. IPTV처럼 매달 일정 사용료를 내고 무제한으로 책을 다운로드 받아 읽을 수 있는 서비스가 도래할 날도 멀지 않았다.

이렇게 새로운 시대의 독서법을 ‘리딩 2.0’이라 부른다면. 종이책을 기반으로 한 ‘리딩 1.0’이 책을 첫 장부터 끝 장까지 죽 읽어나가는 직선적이고 정적인 경험이다. ‘리딩 2.0’의 시대의 책읽기는 무궁무진한 세상을 넘나드는 초대형 어드벤처의 세계이다. 그 중심에는 ‘단 한 권의 책’이 있다. 모든 전자책들이 하이퍼링크 기술을 이용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거대한 책. 이 세계에서는 어떤 책을 읽기 시작하든 본문과 주석, 비평과 댓글을 통해 다른 책으로 이동할 수 있고 영화로, 게임으로 옮겨갔다 다시 돌아올 수도 있다. “평생 다 읽을 수 없고, 영원히 끝나지 않는” 이 책은 지금도 기술적으로는 실현 가능하다.

공상과학 영화 같은 이런 상상이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미디어의 역사와 전자책 기술의 발전과정을 차곡차곡 되짚으며 설득력 있게 풀어나가면서 문자 문화의 미래를 근심하는 이들이라면 제이슨 머코스키가 쓴 '무엇으로 읽을 것인가'를 꼭 한번 읽어볼 만 하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전자책으로 인해 더 많은 이들이 책을 읽고, 독서는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될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전자책은 독자를 ‘글 이상의 것’으로 안내하며, 이로 인해 독서는 더 이상 외로운 행위가 아닌 여럿이 소통하며 즐기는 오락으로 변모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자책 시대가 본격화하면 보관·유지에 많은 비용이 드는 도서관의 종이책 책꽂이는 줄어들 것이다. 대신 도서관들은 전자책을 저장한 드라이브를 확충하게 될 것이다. 사서는 고객에게 어떤 전자책을 읽어야 할지, 또는 어떤 전자 백과사전과 리소스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온라인으로 조언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자책이라고 해서 모든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서관은 일정 비용을 내고 일정 수량의 디지털 카피만을 구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여자가 책을 연체할 경우 연체요금을 내거나, 반납기간이 되면 전자책이 저절로 꺼져 반납되는 방식이 정착될 것이다.

전자책 융성은 도서관의 지속에 일종의 위협이다. 하지만 도서관이 해야 하는 중요한 기능이 있다. 만약 구글이나 애플 같은 회사가 파산해 자신들이 가진 모든 전자책을 소멸시키려 할 경우, 도서관은 전자책 콘텐트를 계속 유지함으로서 책의 재난과 종말을 막아야 한다는 것도 생각해 둘 일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