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3.3℃
  • 맑음강릉 0.2℃
  • 서울 -1.3℃
  • 대전 -1.4℃
  • 맑음대구 0.1℃
  • 맑음울산 0.5℃
  • 흐림광주 2.2℃
  • 맑음부산 2.6℃
  • 흐림고창 2.5℃
  • 흐림제주 6.9℃
  • 흐림강화 -1.9℃
  • 흐림보은 -1.6℃
  • 흐림금산 -1.4℃
  • 구름많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0.0℃
  • 맑음거제 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학교장의 덕목과 대통령의 덕목을 견주어 보니

외부에서 볼 때, 학교장은 '학교의 대통령'
학교의 생명, 소통하고 목표 공유

학교는 생활을 함께 하는 지역사회의 인재 양성과 더불어 그 지역의 문화센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렇지만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학교는 그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같은 학교에서 학교를 책임지는 학교장에게 우선시 되는 덕목은 어떤 것일까.

1952년 봄, 미국의 33대 대통령 해리 트루먼은 아이젠하워의 당선을 예감하며 이렇게 말한다. “ ‘이걸 해라! 저걸 해라!’ 하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거야. 가여운 아이크(아이젠하워의 애칭). 대통령 자리는 군사령관자리하고는 전혀 달라. 아이크는 곧 이 자리가 심한 좌절감을 가져다준다는 걸 알게 되겠지.”

트루먼의 예상대로 아이젠하워는 대통령이 된 뒤 그것을 알게 됐다. 저널리스트인 로버트 도노번은 아이젠하워의 임기 초반을 논평하는 글에서 이렇게 말했다. “견해차와 불화가 계속되자 대통령은 참다 못해 분통을 터뜨리곤 했다. 공화당을 잘 이끌어 보려고 애쓰는 일이 도대체 무슨 소용이 있는지 그는 알고 싶어 했다.”

‘프레지던트’는 회의를 주재한다는 ‘프리사이드’(preside)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나 이 개념이 우리말로 번역되면 ‘거느린다’는 통(統), 령(領)에 큰 대(大)까지 붙는다. 저자는 “대통령은 국민이 봉사를 요구할 수 있는 사무원일 뿐이다. 서로의 이익을 위해 일을 성사시키고 정책이 상대방에게 도움이 된다고 설득하는 이해 관계의 조정자”라고 단언한다.

'대통령의 권력'은 ‘대통령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 아래 ‘권력을 얻는 방법과 권력을 유지하는 방법 및 권력을 잃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1960년에 출간된 이 책은 트루먼에서 레이건까지 40여년의 정치사를 다뤘다.


트루먼의 한국전쟁, 케네디의 쿠바 위기, 존슨의 베트남전쟁, 레이건의 이란-콘트라 사건에 이르기까지 대통령의 권력이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행사되는 다양한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날카로운 비판이 이어진다.

하버드 케네디 스쿨의 설립자이자 초대학장이기도 한 '대통령의 권력' 저자는 트루먼에서 클린턴에 이르기까지 여러 대통령과 정치인, 행정부의 멘토 역할을 했다. 1960년 대통령 당선자인 존 F 케네디에게 재임 초기에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에 대한 20쪽짜리 노트를 건넨 것으로 대통령 조언자의 역할을 시작했고 40년 동안 피크만 사건, 쿠바 미사일 위기, 베트남전쟁 등 고비 때마다 주요 과제를 제시하고 조언을 해줬다.

저자는 대통령의 덕목으로 권위나 조직력이 아니라 설득력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의 이야기지만 한국 정치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추천사를 쓴 김병국 국립외교원 원장은 이렇게 말했다. “저자에 따르면 대통령은 자기 스스로 권력을 행사할 수 없다. 정부부처에서부터 국회와 언론에 이르는 수많은 스테이크홀더(stakeholder)가 대통령의 비전을 자기 자신의 꿈으로 받아들이고 그에게 힘을 보태주지 않는 한 절대 가능하지 않은 것이 국정 운영인 것이다. 정점에 선 것처럼 보이는 대통령이 실제로 정점에 서려면 무엇보다 소통의 대가가 되어야 한다고 저자가 주장하는 이유이다. 이는 한국정치가 주목해야 할 지적이다.”

학교 경영의 책임자인 학교장도 거의 이와 같은 처지에 놓이게 된다. 정부의 교육 정책이 부장까지는 잘 전달된다 하더라도 개개의 교사들은 일단 교실에 들어가면 어떻게 할 것인가는 전적으로 교사 자신이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교육정책이 제대로 집행되느냐는 오로지 교사 자신의 관심과 변화에 의존한다. 이련 연유로 실질적인 변화는 교사의 혁신적인 노력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학생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직접적인 대면을 많이 하는 사람은 교사이다. 교장이 직접 아이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그렇게 많지 않다. 밖에서 볼 때 학교장은 학교의 대통령에 속한다. 그러나 구성원이 자발성을 가지고 일하지 않는 한 교육 행위는 형식에 갖히게 되므로 실행이 되지 않아 학교는 생기를 잃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학교 분위기에 소통하고 목표를 함께 공유하지 않으면 학교는 침체를 면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학교장의 덕목은 권위나 조직력 보다는 교사의 변화를 이끌어 낼 설득력임을 깨닫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