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세계를 달군 2014 FIFA 월드컵 경기도 막을 내렸다. 1990 이탈리아 월드컵 이후, 24년 만에 정상에 오른 독일은 막강한 조직력과 탄탄한 전술, 현란한 공격으로 예술에 가까운 경기력을 선보였다. 우승팀 독일에는 메시나 네이마르, 호나우두 같은 세계적 스타가 없다. 하지만 장기투자와 순혈주의 탈피, 과학적 시스템 구축, 끊임없는 세대교체가 이를 대신했으며, 무엇보다 감독의 뛰어난 감독다운 역할을 수행한 결과 때문이었다.
요아힘 뢰프(이하 뢰프) 감독은 우승 직후 공식 인터뷰에서 “이번 성공은 이미 10년 전에 시작됐다. 지난 몇 년간 우리만의 경기 스타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혀 장기 투자가 우승의 원동력임을 분명히 했다. 뢰프 감독은 2004년 코치로 합류한 뒤 지금까지 대표팀에서 일해 왔다. 단기 승부에 일희일비하며 지도자를 희생양 삼아 수시로 바꿔온 한국 축구가 특히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다.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했던 차범근 해설위원의 설명에 의하면 독일을 브라질 월드컵 우승으로 이끈 뢰프 감독은 월드컵 우승팀 사령탑의 모습을 떠올릴 수 없을 만큼 초라했다. 그는 선수 시절의 대부분을 독일 츠바이테 리가(2부리그)와 드리테 리가(3부리그) 팀들을 전전하며 보냈을 정도이다. 1995년 3부 리그 팀 프라우엔펠트에서 은퇴할 때까지 17년 동안 1~2년 주기로 10개 팀을 옮겨 다닌 것이다.
은퇴 후 스위스의 빈터 투어에서 유소년 감독으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뢰프는 이후 코치와 감독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무대를 경험했다. 하지만 지도자가 돼서도 그의 ‘떠돌이’ 축구 인생은 바뀌지 않았다. 뢰프는 2004년 위르겐 클린스만(이하 클리스만) 감독이 이끄는 독일 대표팀 수석코치로 발탁되기까지 11년 동안 무려 9개 팀을 맡으며 표류했다.
뢰프의 인생이 달라진 건 2004년 클린스만 독일 대표팀 감독을 만난 뒤부터이다. 클린스만은 감독과 코치의 업무를 나눠서 팀을 운영했다. 감독이 선수 선발과 대외 업무에 주력하고 수석코치는 전술과 작전을 담당했다. 여러 팀에서 다양한 선수들을 경험했던 뢰프는 선수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재능이 있었다. 클린스만 감독-뢰프 코치 체제의 ‘분업’ 성과는 2년 후 자국에서 열린 2006년 월드컵에서 독일이 3위에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뢰프는 실질적인 감독 역할을 하면서 능력을 재인정받게 됐다. 당시 독일 언론은 “다양한 수준의 리그에서 다양한 팀을 지도한 게 뢰프의 경쟁력”이라고 분석했다.
2006년 월드컵이 끝난 뒤 그는 클린스만으로부터 대표팀 지휘봉을 넘겨받았다. 그리고 뢰프는 더욱 치밀해졌다. 2008년 유럽축구선수권 당시 징계로 인해 8강 포르투갈전(3대 2승)에서 벤치에 앉지 못하게 되자 미리 경기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 7개를 만들어 코치들이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이때부터 그는 ‘전술의 천재’라는 별칭을 얻게 됐다.
한마디로 브라질 월드컵은 뢰프 감독의 10년 내공이 빛난 무대였다. 상대의 허를 찌르는 전술 · 전략으로 승승장구했다. 그가 최종 엔트리에 공격수로 미로슬라프 클로제 한 명만 발탁하자 상대 팀들은 클로제 대비책만 세웠다. 하지만 클로제는 알제리와의 16강전까지 한 번도 선발 출전하지 않았다. 대신 미드필더인 토마스 뮐러가 전방에 투입돼 4골이나 터뜨렸다. 뢰프는 우직함 때문에 고집이 세다는 비난도 받았다. 특히 브라질 월드컵을 앞두고는 자국 팬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당시 그의 재계약을 두고 독일 축구 전문지 키커가 설문조사를 한 결과, 75대25로 반대가 압도적으로 많았을 정도였다.
하지만 독일축구협회는 그를 믿었다. 뢰프는 자신이 발탁한 선수에게 무한 신뢰를 보냈다고 한다. 그는 결승전 종반 2분 전 베테랑 클로제를 빼고 조별 리그 한 경기만 뛴 괴체에게 "세상 사람들에게 네가 메시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해 보여라."라고 주문했다는 것이다. 괴체는 측면을 오가며 아르헨티나 수비진을 흔들어 놓더니 연장 후반 7분 결승골을 넣으며 감독의 선택에 보답했다. 이처럼 승리는 준비하는 자만이 얻을 수 있다. 우승의 결과를 보고 독일 일간지 디 벨트는 뢰프를 두고 ‘별 4개(독일의 네 번째 우승)를 요리한 특급 요리사’라고 치켜세웠다. 경기가 끝난 뒤 독일축구협회는 “뢰프 감독과 2016년까지 계약을 연장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러한 사실을 더듬어 보면서 이를 학교 교육에 적용하여 볼 수 있다. 학교 조직은 계선제로는 교장, 교감, 교사로 연결된다. 교장이 감독 역할을 수행한다면 교감은 학교에서 코치 역할을 한다. 뢰프같은 훌륭한 감독이 되기 위해서는 역시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장 혼자선 교육할 수 없다. 코치 역할을 하는 교감의 역할이 조화롭게 이뤄져야 한다. 이러한 분업이 충실하게 이뤄진다면 학교 교육력은 살아날 것이다.
학교는 학교 나름의 특성이 있으니 모두의 성공을 위한 문화가 필요하다. 학교는 구성원인 학생, 교사,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까지도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번 월드컵이 필자에게 남겨준 것은 독일의 우승이 아닌 나의 역할과 교감의 역할을 곰곰이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