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0℃
  • 흐림강릉 12.9℃
  • 서울 17.9℃
  • 구름조금대전 23.1℃
  • 구름조금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22.2℃
  • 구름많음광주 20.9℃
  • 흐림부산 17.9℃
  • 구름많음고창 20.5℃
  • 구름많음제주 17.6℃
  • 구름많음강화 15.6℃
  • 구름조금보은 20.5℃
  • 구름많음금산 22.9℃
  • 흐림강진군 18.7℃
  • 맑음경주시 23.5℃
  • 구름많음거제 17.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결혼하면 자녀 5명 낳을 게요"

어제 뉴스를 보니 출산 연령이 점점 높아간다는 소식이다. 출산연령이 평균 32세로 '노산시대'에 접어들었다는 것이다. 고연령 산모가 점점 증가하여 작년 신생아 수는 1970년 통계를 잡은 이래 역대 두 번째로 적다고 한다. 텔레비젼 화면에는 산모들 연령을 보여 주는데 20대 '젊은 산모'가 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 아침 아침 식사 후 아들이 깜짝 놀랄만한 이야기를 한다. "아빠, 나 결혼하면 자식 5명 가질 계획이예요." 아니, 이게 무슨 말인가? 요즘 결혼 적령기를 앞 둔 세대들 생각과는 전혀 다르다. 한 두 명도 아니고 다섯 명? 정말 의외다. 아들은 군대 다녀와서 복학한 대학 3학년생이다. 나이는 24세.

철 없는 소리라고 일축하고 말 것인가? 진지하게 대화를 나눌 것인가? 우리 부부는 후자를 택했다. 아들은 부연 설명을 한다. "인생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니 아무리 돈이 많아도 죽으면 그만이잖아? 부모로서 남길 수 있는 것은 자식인데 그래도 다섯 명은 남겨야 된다고 보는데."


아내는 아들과 딸 각각 4명의 8남매 중 셋째 딸이다. 필자는 아들과 딸 각각 3명의 6남매 중 막내 아들이다. 자식들이 우애가 좋고 성공한 모습을 보아서 일까? 다산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아들의 생각은 요즘의 현실과는 좀 동떨어진 생각이다. 아내와 필자, 우리 세대는 베이비 부머 세대다.

아내의 반응은 어떨까? "아들아, 나 자랄 때 얼마나 어렵게 자랐는지 알아? 쌀독에 쌀이 남아 있는 날이 별로 없었어. 버스 차비가 없어서 엄마는 아침부터 돈 꾸러 다니고." 아들의 반격이 이어진다. "자식 키울 만치 돈을 충분히 벌면 해결되잖아? 나는 그렇게 할 자신이 있어."


그렇다. 요즘 사람들이 출산을 꺼리는 이유는 자녀교육 때문이다. 자식 한 명 당 몇 억을 투자해야 한다. 박봉에 허덕이는 것은 당연하다. 자식이 많다면 더욱 힘들다. 먹고 살기야 하겠지만 훌륭하게 키우기는 어려운 것이다. 아내가 양보하여 세 명 정도 가질 것을 권유한다.

필자의 생각은 어떤가? 물론 독신보다는 결혼이 좋다. 종족보존의 기본욕구도 있고 하니 결혼하여 자식은 두 명 정도가 좋다고 본다. 자식이 복(福)인 시대도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자식이 짐이다. 어깨에 짐 하나 얹고 가는 것과 짐 다섯 개 얹고 가는 것, 어느 것을 택할 것인가? 물론 자식의 몫이다.

필자의 어린 시절인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필자의 부모는 이런 생각이셨다. 자식은 제 먹을 것은 갖고 태어난다고. 그래서 자식이 아무리 많아도 그것을 복으로 여기셨다. 그러나 이것도 가정경제가 뒷받침 될 때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 혼자 가정을 이끌어 나갈 때 너무 힘들어 하셨다. 자식이 인생에 있어 커다란 짐이 된 것이다.

자식을 낳아 키운다는 것. 돈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시간과 노력, 정성을 쏟아야 한다. 낳았다고 그들이 저절로 자라는 것이 아니다. 부모는 그들을 훌륭하게 키울 의무가 있다. 그렇지 않고 자식을 여러 명 낳는다면 책임을 방기하는 일이다. '제 힘 보고 씨름판 가라'는 말이 있다. 자식 키울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부모와 진지하게 대화를 나눈 우리 아들. 결혼하면 몇 명의 자식을 가질 것인가? 결혼 상대방으로 자식 키우는 것을 좋아하는 전업주부를 만난다고 하는데. 결혼하여 가정경제가 허락하면 거기에 맞추어 자식 수를 늘린다고 하는데. 돈 버는 것은 자신이 있다고 하는데. 우리 아들 어떻게 자라는지 지켜보아야겠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