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은 가정의 달이다. 달력을 보니 4일 어린이 날, 8일 어버이 날, 15일 스승의 날, 18일 성년의 날, 21일 부부의 날이 있다. 나라에서 정한 기념일의 의의를 살려 뜻 있게 보내면 좋으련만 요즘은 모두가 경제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세상이 그렇게 변했다. 마음만으로 통하는 사회가 아닌 것이 문제다.
우리 집에 가정의 달을 대입해 본다. 딸과 아들은 대학생이니 어린이 날과 성년의 날은 해당 사항이 없다. 어버이 날은 아내 쪽에만 해당된다. 필자의 부모님은 이미 돌아가셨지만 장인 장모님은 병석에 계신다. 자식은 효도하려 하나 부모는 기다려 주지 않는 것이다. 뒤늦게 후회해도 아무 소용이 없다. 살아 계실 때 자주 찾아 뵙고 정을 주고받아야 하는 것이다.
어버이 날을 몇 일 앞두고 아들의 인터뷰 요청이 있었다. 어떤 모임에 나가는데 부모님 인터뷰 한 것을 발표하라는 과제를 받았다는 것이다. 아들의 과제도 해결해 주고 자식과 대화를 나눌 좋은 기회라고 보았다. 언제 아들이 부모에게 접근하여 자발적으로 말을 걸까? 그 기회가 많지 않다.
사실 우리집 자식들, 부모와 대화를 많이 나누고 친한 것 같지만 그게 아니다. 아마도 중학생 때까지는 어느 정도 대화가 있었다. 그러나 고교 때부터는 일찍 등교하여 늦게 귀가하니 대화하려 해도 시간이 없다. 그 때부터 말이 가족이니 따로따로 생활하는 것이다. 식사 시간이 다르니 대화할 기회가 많지 않다.
대학생인 딸과 아들. 딸은 서울에서 자취하고 아들은 함께 생활하지만 대화시간이 별로 없다. 기껏해야 딸의 소식은 페이스북을 통해 듣는 정도다. 아들과는 하루 5분도 채 안 된다. 그냥 건성으로 주고 받는 말이 대부분이다. 자는 아들에게 “아빠, 출근한다” 귀가하는 아들에게 “저녁 먹었니?”가 대화의 전부다.
그런 아들이 인터뷰를 요청한 것이다. 아들과 가까워질 수 있는 얼마나 좋은 기회인가? 어버이 날 밤 9시 30분, 스마트 폰과 노트북을 갖고 거실로 나온다. 무려 질문이 20가지가 넘는다. 금방 끝날 줄 알았는데 무려 1시간 30분이 걸렸다. 아들과 이렇게 길게 인터뷰 해 보기는 처음이다.
기억나는 질문으로 인생철학, 가치관을 묻는 것이다. 어렸을 때 학업 성적도 묻고 인생살이의 어려움도 묻는다. 어렸을 때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고 홀어머니 아래서 어려운 가정생활 이야기를 할 때는 목이 메인다. 요즘 자식들 경제적 궁핍을 모른다. 자식이 부모에게 돈 달라고 하면 쉽게 내어주기 때문이다. 그게 진정한 자식교육은 아닌 것이다.
요즘 가정의 문제는 가족간에 서로가 잘 모른다는 것이다. 다만 서로가 잘 알고 있다고 착각 속에 살아가는 것이다. 아들은 아버지가 어느 대학을 나왔는지 어느 대학원을 나왔고 전공은 무엇인지 이번에 알게 되었다. 이것이 다 대화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아버지의 어렸을 적 꿈도 이제야 알게 되었으니 말이다.
올해 가정의 달, 딸과 아들은 친할머니와 친할아버지 수목장을 찾았다. 한 치 건너 두 치라는 말이 있다. 자식들은 부모까지만 알지 조부모까지는 모른다. 아마도 조부모 성함까지 아는 손자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말이 핏줄이요 가족이지 알려고 하지 않는다. 대화 부족에서 나온 현상이다.
가정의 달 5월, 가족이 가까워지는 방법 하나. 일부러라도 가족 모임을 만들어 동참하게 하는 것이다. 어버이 은혜에 감사하라고 하지 말고 부모님과 진지한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부모는 자신의 입장만 강요하지 말고 자식의 입장이 되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기념일이라고 모여서 식사만 해서는 안 된다. 서로 마음이 통하는 대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