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전면 도입된다. 그동안 우리 교육의 맥을 이어온 중학교 교육제도가 짧은 3년 동안의 시범 교육을 실시한 후 자유학기제를 의무화하는 교육당국을 바라보는 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착잡하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일 것이다.
정부가 도입하는 자유학기제는 40년 전통을 가진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 제도를 도입하여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자유학기제에 대하여 현장의 대다수 교사들은 환영하고 있는 제도임에도 성급하게 실시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의지에 대하여 우려하는 부분은 정부의 충분한 예산 확보, 교사와 학생이 만드는 학교에서의 교육프로그램의 부족, 지역사회가 돕는 교육 인프라 등 아직은 부족하다는 것이 솔직한 고민의 이유이다.
아일랜드도 전환학년제가 처음부터 성공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우리 교육당국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아일랜드는 정부지원없이 실행되었지만 우리나라는 2013년에 시범학교에만 3000만원을 투입하는 등 예산지원책을 통하여 자유학기제를 정착하기 위하여 노력했다는 점이다.
당장 내년부터 도입하는 자유학기제에 대하여 예산 지원없이 자육학기제를 실행한다면 자칫하면 노는 시간으로 전락하여 우리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을까하는 학부모의 고민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선행과제가 아닐까?
예산 지원 없이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또다른 문제점으로 등장하고 있다. 시대가 변하고 있는 시점에서인성, 진로교육으로 교육의 패러다임이 바뀔 때가 되었다는 사실은 의미있는 교육정책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자유학기제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 도입한지 불과 3년만에 전면 의무화 하겠다는 교육당국에 대하여 현장 교사들은 불만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는 사실은 교육당국자들은 유념할 필요가 있다.
자유학기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학교밖에 있다는 점이다. 예산이 부족하면 학교내에서만 교육 밖에 진행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예산과 지역사회, 지역의 기관들의 협조 등 학교 밖 제반 여건이 풍성하게 뒷받침 될 때 자유학기제는 성공할 수 있다고 본다.
교육당국이 그토록 좋은 제도라고 외치던 집중이수제가 시행 몇년도 되지 않아서 폐기된 정책의 전철을 밟는 것은 아닌지? 교육당국의 고민할 때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