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6 (토)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그리고 나서'는 '그러고 나서'로 바꾸어도 의미의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는 의미가 같은 셈인데 이처럼 의미가 같고 형태가 유사한 말이 있을 경우 두 말의 관계를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동사 '그리-'를 쓴 '그리고 나서'는 동사 '그러-'를 잘못 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를 써야 하는데 '그리고'에 이끌리거나 '그러다'의 의미를 가진 방언형 '그리다'에 이끌려 '그리고 나서'를 쓰게 된 것이다. 그런 까닭에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는 의미와 쓰임이 같았던 것이다.

정희창 |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맞춤법이나 표준어는 딱딱하고 지루하다고 하지만 재미있는 사실을 담고 있는 것들도 적지 않다. 어떤 말이 옳고 그른지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결과에 이르는 과정을 하나하나 따라가다 보면 의외로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가 그러한 경우이다.

'그리고 나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흔히 쓰이는 말이다.

(1) 한두 걸음씩 걸어도 보았다. 그리고 나서는 또 울었다. <이광수, 흙>

(2) 채화꽃이 만발할 때 오면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다시는 못 가보고 말았지요. 그리고 나서 얼마 안 있어 북간도로 떠났으니까요 <박완서, 미망>

위의 예에 나와 있는 '그리고 나서'는 '그러고 나서'로 바꾸어도 의미의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는 의미가 같은 셈인데 이처럼 의미가 같고 형태가 유사한 말이 있을 경우 두 말의 관계를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동의 관계인지, 의미나 용법에서 섬세한 차이가 있는지가 탐구의 대상이다.

먼저 '그리고 나서'의 띄어쓰기 문제부터 생각해 보자. '그리고나서'를 한 단어로 다룰 수도 있고, '그리고∨나서'와 같이 두 단어로 다룰 수도 있다. 한 단어라면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와 같은 접속 부사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한 단어가 아니라면 '그리고∨나서'로 분석되는데 이때는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의 문법 범주가 무엇인지 밝혀야 한다.

'그리고나서'가 한 단어가 아니고 '그리고∨나서'의 구성이라는 근거로는 아래와 같은 쓰임을 들 수 있다.

(3) 전라좌도의 해변을 돌면서 어디든 마음 내키는 대로 정박한다. 그리고 나면 영접 나온 그 지방 벼슬아치들을 따라 관아에 향응을 받는다. <유현종, 들불>

위의 예에 나타나는 '그리고 나면'을 보면, '그리고나서'와 같이 한 단어로 형태가 굳어진 것이 아니라 '그리고나-' 전체가 하나의 용언이거나 '그리고'와 '나-'가 결합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4) 그리고 {나서, 나니, 나면, 나자 ……}

'그리고나-'가 하나의 용언일 가능성은 매우 적다. 무엇보다 그러한 단어가 국어사전에 올라 있지 않으며 의미상으로도 좀 더 분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따라서 '그리고 나서'를 '그리고'와 '나서'로 분석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의 '나-'가 용언의 어간이라면 '그리고'는 무엇일까?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하나는 '그리고, 그런데, 그러나'와 같이 학교 문법의 접속 부사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리'에 '고'가 결합한 구성으로 보는 것이다.

먼저 접속 부사로 볼 경우 접속 부사 다음에 용언의 활용형이 연결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5) {그리고, *그런데, *그러나, *그러므로 ……} 나서

'그리고 나서'를 제외한 '*그런데 나서, *그러나 나서, *그러므로 나서' 등은 전혀 쓰이지 않는다. 국어에서 접속 부사는 문장이나 단어를 연결해 주는 것이므로 용언의 활용형이 바로 연결되는 것은 논리적으로도 설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그리고 나서'의 '그리고'는 접속 부사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예를 보면 '그리고 나서'는 '그리고'와 '나서'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와 '-고 나서'로 분석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먹고 나서, 자고 나서, 뛰고 나서, 웃고 나서 ……

위의 예들은 모두 '-고 나서'를 공유하고 있으며 '-고 나서' 앞에는 동사가 나타난다. 형용사나 서술격 조사가 오면 비문이 된다.

(7) *예쁘고 나서, *슬프고 나서, *사람이고 나서 ……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나다'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이 뜻풀이되어 있다.

(8) 나다 [보조] (동사 뒤에서 '-고 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말.

즉 '그리고 나서'는 '[동사]+-고 나다'와 같은 보조 용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리-'는 동사일 수밖에 없다. 동사 '그리-'는 다음과 같이 쓰인다.

(9) 그림을 그린다. / 지난 날을 그린다.

문제는 동사 '그리-'가 '그리고 나서'와는 뜻이 맞지 않는다는 데 있다. 그림을 그리거나 지난 날을 그리는 것과 '그리고 나서'는 의미가 다르다.

이러한 문제는 동사 '그리-'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언제나 짝을 이루는 '이, 그, 저'가 '*이리고 나서, *저리고 나서'에서는 성립하지 않는 것도 동사 '그리-'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 준다.

결론적으로 동사 '그리-'를 쓴 '그리고 나서'는 동사 '그러-'를 잘못 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를 써야 하는데 '그리고'에 이끌리거나 '그러다'의 의미를 가진 방언형 '그리다'에 이끌려 '그리고 나서'를 쓰게 된 것이다. 그런 까닭에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는 의미와 쓰임이 같았던 것이다.

'그러고 나서'는 '이러고 나서, 저러고 나서'에서 볼 수 있듯이 '이, 그, 저'의 짝을 만족시킨다. 또한 의미적인 면에서도 완전히 일치한다.

동사 '그러-'와 관련하여 '*그리고는' 또한 '그러고는'을 잘못 쓴 것이라는 점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접속 부사 '그리고' 다음에는 보조사가 붙지 않으므로 '*그리고는'과 같은 구성은 잘못이다. 이 또한 '그러고는'을 '그리고'에 이끌려 잘못 쓴 것이다.

(10) 그때는 들은 척도 않했잖아? 그러고는(*그리고는) 이제 와서 몰랐다고?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