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6 (토)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미완성의 물리적 통합

진나라 군주 정(政)은 즉위한 이후 16년간에 걸쳐 기원전 221년 중국을 통일하였다. 진의 중국 통일은 중국의 물리적 영역이 지정되어 중화의 기본 틀을 마련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시황제는 중국을 하나로 묶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폈으나, 강압 정책과 무리한 토목공사로 인해 민심을 잃고 만다. 시황제의 죽음 이후 천하는 민심잡기에 성공한 유방에게 넘어가고 진나라는 3대 15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된다.

박경민 | 역사 칼럼니스트(cafe.daum.net/parque)


기원전 221년 시황제의 통일 진제국은 이후 중국 역대왕조의 기틀이 되었으나 결국 15년 만에 무너지고 말았다. 전란에 시달려왔던 중국인들은 이번에는 전쟁의 고통 대신 급진적인 국정운영과 사상통제, 각종 노동착취에 시달려야 했다.

중국을 통일한 진나라 군주
한 나라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군사력도 물론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이 있다. 그것이 바로 '외교력'이다. 만약 분쟁이 있을 때마다 무력만을 앞세운다면 비록 승리한다 해도 자국의 아까운 생명과 국가재산을 소모하여 자칫 망국의 길을 걸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피 한 방울 안 흘리고 돈 한 푼 안들이고 목적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면 도랑 치고 가재잡고, 마당 쓸고 돈 줍는 셈이 아닌가?

소진(蘇秦)이 합종책(合從策)을 들고 나와 여섯 나라가 연합하여 북방 오랑캐 나라인 진나라를 고립시키려고 하자(한족 제후국의 입장에서), 진나라는 북방 유목민 특유의 탁월한 정보 수집과 분석력을 발휘하여 장의(張儀)를 발탁, 연횡책(連橫策)을 씀으로써 '진나라 말려 죽이기 작전'을 허사로 돌려놓는데 성공하였다. 즉 다른 여섯 나라 책사들의 술책이 진나라의 정보력을 따라잡지 못했던 것이다. 진나라의 특징은 '존왕양이'의 이념을 전통으로 하는 제후국이 아니라, 서쪽 변방에서 스스로의 힘으로 국력을 키운 흉노 계열의 '자주성가형 국가'였다. 다시 말해서 정통중화를 표방하는 나라와는 거리가 멀었다는 말이다.

진나라 제31대왕으로 즉위한 정(政)은 부왕인 장양왕(莊襄王)의 뒤를 이어 13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일찍부터 친정체제를 구축하고 섭정을 맡고 있던 재상 여불위(呂不韋)를 제거하고 말았다. 여불위는 원래 대상인(大商人)으로서 정의 부왕인 장양왕이 조나라에 인질로 잡혀 있을 때 구해준 인연으로 재상이 된 인물이었고 자신의 첩을 장양왕의 소실로 들여보내 자신의 핏줄로 하여금 진나라의 왕통을 이어가게 하였다. 쉽게 말하면 정의 생부가 사실은 여불위였다는 말이다. 이렇게 여불위를 제거하는데 성공한 정(政)은 과감하게 정책을 밀고 나가면서 16년간에 걸쳐 여섯 나라를 차례차례 멸망시키고 기원전 221년 중국을 통일하였다.

오랑캐가 이룬 중화의 기본 틀
진왕 정(政)은 춘추·전국이라는 복잡한 정치국면을 하나의 나라로 통합함으로써 역설적인 말이지만 오랑캐(?)에 의한 한족(漢族)과 중화(中華)라는 이데올로기를 확립하였다. 다시 말해서 전국 칠웅이 패권을 다투던 지역이 통일제국이 됨으로써 '중국의 영역이 물리적으로 지정되어' 중국인이라는 민족적 실체가 서서히 태동하기 시작함으로써 중국 민족사적으로 커다란 전환점을 가져왔다는 말이다.

춘추시대에는 남방 오랑캐인 초나라가 중국에 편입되었고, 전국시대에는 서쪽의 변방에서 발흥한 진나라가 대륙을 통일함으로써 서부지역의 이민족도 자연스럽게 중국으로 편입되었지만, 이후의 중국은 중원의 한족 문화권과 북방 유목민족 문화권으로 재편되었으며 양 문화권 간의 기나긴 충돌과 마찰이 시작되었다. 진왕은 중국을 통일하자 고민이 생겼다. 자신에 대한 호칭문제였다. 비록 나라는 망했지만 기존 여섯 나라 왕들을 낮추어 공(公)이라고 하자니 반발할 것이 뻔하고 그냥 두자니 똑같은 왕이니 체통에 문제가 있어 왕 위에 군림하는 왕으로서 임금 황(皇), 임금 제(帝)(= 곱빼기 임금), 즉 황제라 칭하고 제국을 운영하기 위해서 전력을 다했다.

도량형과 문자를 통일시키고 화폐를 정비·통일하였는데, 이미 도량형과 문자, 화폐의 통일은 기나긴 분열시대와 전란시대를 거치는 동안 각국의 교류가 활발하였기 때문에 별 무리 없이 받아들여졌다. 또한 자신의 명령이 중앙은 물론 지방의 최말단까지 미치게 하기 위해서 강력한 독재적 중앙집권체제를 구축하고 효율적으로 중앙집권체제를 담당할 행정기구를 설치하였다. 전국을 36군(郡)으로 나누고 각기 군수·군위·군감이 관장토록 하였으며 중앙에는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승상, 국방장관격인 태위, 검찰총장격인 어사대부로 구성되는 3공(三公)과 각 부서 장관에 해당하는 9경(九卿)을 두었다.

여기까지는 좋았다. 시황제는 너무 걱정이 많은 사람이었다. 자신이 매사를 챙기는 스타일의 통치형태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는 황명이 제대로 집행이 되고 있는지 수시로 제국을 순회하면서 시시콜콜 점검하고 다녔다. 그 바람에 일선 관리나 백성들이 죽어났다. 일찍이 진나라는 상앙을 발탁하여 법가사상을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삼아 철저한 사상통제를 함으로써 국민을 하나로 모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전국을 통일하고 보니 모자이크 국가가 되고 말았을 뿐만 아니라, 얌전하게 복종하고 있던 진나라 백성들도 물이 들 우려가 있어 법가사상을 더욱 강화하였고 그 책임자로 재상 이사(李斯)를 임명하였다.

시황제는 무리수, 아니 악수를 두기 시작했다. '덕에 의한 통치'를 주장하는 460여 명의 유학자들을 생매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실용서와 진기를 제외한 모든 책을 불살라버려 분서갱유(焚書坑儒)라는 고사성어를 만들어냈다. 그래도 시황제는 잠을 제대로 잘 수 없었다. 왜냐하면 비록 중원 물을 마신지 오래되지만, 원래 출신이 흉노계열이라 북방에 둥지를 틀고 있는 저들의 힘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만리장성을 축조하기 위한 대 역사에 들어갔다. 현재의 만리장성은 명나라 시대에 완성된 것이며 길이 약 2400㎞, 높이 6~8m, 두께 4.5m이다. 그러나 정작 진나라 백성들은 흉노보다는 무자비한 노동착취가 더 무서웠다.

시황제의 열의는 대단했지만 너무 서둘렀다. 그렇지 않아도 망해버린 한족의 여섯 나라 백성들은 그를 자신들의 황제로 인정하지도 않고 호시탐탐 복수의 기회를 노리고 있는데 민심을 달랠 생각은 하지 않았다. '쇠뿔은 단김에 빼라'는 격언만 알았지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말은 아예 모르고 있었거나 잊었던 모양이다. 게다가 시황제는 안보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자신만을 위한 역사에도 백성들을 동원하여 고생을 시켰다. 호화로운 아방궁과 자신이 죽어서 묻힐 여산능 등, 황제의 위엄을 과시하기 위한 각종 건설 사업을 벌였다. 비록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이 시황제가 남긴 여산능의 병마총과 만리장성을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여 한몫 단단히 챙기고는 있지만 말이다.

백성들은 전국시대(戰國時代)가 차라리 나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실의와 좌절에 빠진 백성들의 천지개벽을 원하는 원성이 하늘을 찌를 듯하였고, 실제로 연나라 출신의 형가(荊軻)가 시황제를 암살하려고 하였다. 기원전 210년, 시황제가 제국을 순시 하다가 병으로 급사하고 권력의 공백기가 생기자 그 동안 숨죽이고 있었던 백성의 분노가 폭발하고 말았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한 사람에게 권력이 집중되고, 또 그 권력이 막강하면 막강할수록 그 권력자의 빈자리 때문에 한동안 혼란을 겪기 마련이다.

진의 멸망 불러온 농민반란
황제가 죽자 환관 조고(趙高)가 승상 이사와 음모를 꾸며 시황제의 큰아들 부소(扶蘇)를 죽이고 막내아들 호해(胡亥 : 재위 BC 209~207)를 옹립하여 2대 황제로 추대하고 실권을 장악하였다. 조고는 시황제의 철권통치를 한층 업그레이드하여 무자비한 잔혹정치를 폈다. 백성들은 싸우다가 죽던가, 아니면 무자비한 통치에 고생만 하다가 죽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처음에는 농민이 무장봉기를 일으키고 지식인들이 이에 합세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최초의 반란은 시황제의 사후 기원전 209년에 일어났다.

주동자가 진승(陳勝)과 오광(吳廣)이라 하여 일명 '진승·오광의 난'이라 하는데, 그들이 거병했다는 소식을 들은 농민들이 각지에서 합세하여 점차 세력이 커져 혁명군의 성격을 띠게 되었고 황하 이남의 수십 개 성을 점령하고 세력을 떨쳤다. 진승은 처음에는 장군을 칭하다가 나중에는 '진나라 타도'라는 슬로건을 전면에 내걸면서 옛 강국이었던 초(楚)나라를 계승한다는 뜻에서 국호를 '장초(張楚)'라 하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陳王). 진나라 장수 장감(章邯)은 기원전 208년, 대대적인 반란군 토벌에 나섰다. 사직의 운명을 걸고 싸우는 것이니 만큼 조정으로서도 총력전을 폈다. 정규군을 농민군이 상대하기에는 무리였다. 결국 농민군은 거병한 지 6개월 만에 진압되었지만, 결국 진의 멸망 그리고 유방과 항우의 패권다툼으로 이어지는 신호탄이 되었다.

유방 승리의 비결은 민심잡기
기원전 208년 장감(章邯)이 농민군을 진압하고 개선하였으나 이번에는 통일 이전 6국 세력들이 일제히 들고 일어났다. 자칫하면 옛날의 전국시대로 돌아갈 수도 있는 위기상황이었다. 당시 환관 조고의 포악한 성격은 극에 달해 있었다. 승상 이사를 숙청하더니 이제는 황제 호해도 마음에 들지 않아 부덕한 황제를 폐하여 민심을 수습한다는 명분으로 호해를 용상에서 내몰아 버리고 그 자리에 자영을 앉혔다.

한편, 초나라의 귀족출신이었던 항량(項梁)은 진승·오광의 군대가 거병하자, 경포의 군대와 합세하여 전선을 구축하고 초나라 백성들의 전폭적인 지지와 지원을 받으면서 크게 성장하였다. 그러나 장감(章邯)의 진압군에 패하고 항량이 전사하자, 그의 조카인 항우가 전권을 이어받아 유방(劉邦)과 연합하여 거록(鉅鹿)에서 장감의 군대를 격파하였다. 이후 진 황제 자영은 국사를 농단한 환관 조고를 죽이고 국세회복을 꾀하였으나 민심이 떠난 사직을 더 이상 버텨낼 수 없어 결국 기원전 206년 유방에게 항복함으로써 진나라의 사직은 3대 15년 만에 막을 내리고 말았다.

한편, 항우는 팽성(彭城)에 도읍을 정하고 스스로 서초(西楚)의 패왕(覇王)이라 칭했으며 거사의 명분으로 내세웠던 의제(義帝)를 시해하자, 유방이 이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유방은 원래 강소성(江蘇省) 풍읍의 하급 관리(농민출신)였으며 처음 거병할 당시에는 그 세가 약했으나 항우가 거두어 자신의 휘하에 두었던 것이다. 출신성분이나 무력, 무공 등 모든 면에 있어서 유방은 항우의 상대가 되지 못하였다. 항우와 유방은 전우였지만, 적이 사라진 마당에 한쪽은 반드시 도태되어야 했다. 항우의 입장에서 본다면 호랑이 새끼를 키운 셈이었고 게다가 진의 황제(자영)가 유방에게 항복했다는 사실은 그의 손을 들어주었다는 정치적 의미가 있었다.

홍문(鴻門)의 위기를 벗어난 유방은 장량(張良)을 책사, 전략에는 한신(韓信), 정치와 행정에는 소하(蕭何)를 배치하여 전세를 역전시키니 항우는 결국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내몰리고 말았다. 역발산기개세(力拔山 氣蓋世)의 힘과 무용을 떨치던 초패왕 항우는 민심을 잡는데 실패하였다. 항우의 군대가 입성하면 백성들은 달아나기에 바빴으나 유방의 군대가 오면 수고한다고 물이라도 떠왔다. 초나라 병사들이 속속 대열을 이탈하자, 이내 항우는 초라해지기 시작했다. 그를 따르는 몇몇 장수를 데리고 전전긍긍하다가 기원전 202년 해하(垓下)에서 포위되어 자결하고 말았다.

그러나 한(漢)과 초(楚)가 천하를 두고 다투는 장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곳곳에서 내기장기를 두고 있으니 말이다. 아무튼 짧지만 굵게(?) 살다간 진(秦)은 서양에 'China'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중국의 국가명이 되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