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고정관념처럼 박혀있던 ‘가족’의 개념이 변하고 있다. 부모님과 자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 가족 형태지만, 가치관의 변화와 사회변화로 인해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 집’과 다르다고 해서 사회적 편견을 갖지 않도록,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다양한 가족형태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해보자.
봄기운이 완연한 5월은 온 가족이 함께 산책하기에도 좋은 ‘가족의 달’이다. 이시기에 1학년 학생들은 늘 함께 생활하는 ‘가족’을 주제로 우리 가족과 우리 집에 대해서 공부한다. 우리 집의 규칙과 예절을 살펴보면서 가족 간에도 지켜야 할 예절이 있음을 알고, 가족 구성원이 집에서 하는 역할과 일들을 알아보면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보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족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키우는 시간을 갖는다. 2학년 학생들은 확대된 가족을 배운다. 명절 때나 주말에 만나는 친척들과 나와의 관계, 부르는 말 등을 배우면서 친척의 의미와 소중함을 알고, 가족 관계를 보다 넓혀나간다. 또한, 이렇게 넓혀진 개념을 토대로 겉모습이나 생활방식, 생각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있을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하게 된다. 아울러 학생들이 ‘우리 집’과 다르다고 해서 또, 대다수의 학생들과 다르다고 해서, ‘사회적 편견’을 갖지 않도록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기러기가정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자연스럽게 소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가족의 존재를 이해하고 인정하며, 그 차이를 존중할 수 있는 마음을 갖도록 지도한다. ‘가족’ 단원을 학습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가족사진이다. 그러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인해 해체된 가족이 많은 현재의 상황에서 학생들의 어린 마음이 상처받지 않도록 세심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가족이 살아요’ ‘함께 생활하는 가족’만이 유일한 가족 형태는 아니다. 가치관 변화와 사회 구조적 변화는 다양한 가족을 출현시켰다. 다양한 가족 중 가장 익숙한 형태는 한부모가족이다. 또한, 조부모와 한부모가족이 결합된 형태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한부모가족이 ‘결손, 결핍, 불완전한 가족’이 아니라 사회의 변화와 함께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가족 형태임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성’을 통해 ‘다름’은 이상한 것이 아니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하는 것임을 함께 생각해봐야 한다.
● 준비물 : 다양한 형태의 가족사진(다문화가족, 한부모가족, 대가족, 핵가족, 기러기가족, 조부모와 한부모가족의 결합형태, 조손가족 등) ● 수업방법 ① 교사는 준비한 다양한 형태의 가족사진을 보여주면서 어떤 가족 형태인지 학생들에게 묻는다.
예) T. 첫 번째 나왔던 가족은 누가 함께 살고 있었나요? S1. 아빠, 엄마, 딸 3명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T. 두 번째 나왔던 가족은 누가 함께 살고 있나요? S1: 엄마와 할머니, 아들이 살고 있습니다.
T. 세 번째 나왔던 가족은 어떻게 살고 있나요? S1. 엄마와 아이들은 외국에 있고, 아빠는 한국에 있습니다.
T. 가족들이 모두 같은 모습으로 살고 있을까요? S1. 모두가 서로 다르게 살고 있습니다.
T. 맞습니다. 우리는 서로 다른 모습으로 가족을 이루고 있답니다. 이번 시간에는 다양한 가족의 형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② 교사는 학생들이 알고 있는 가족 형태에 대해서 묻는다.
예) T. 내가 알고 있는 가족에 대해 발표하여 볼까요? S1. 부모와 아이들이 사는 가족이 있습니다. S2. 조부모와 함께 사는 가족이 있습니다. S3. 부부만 사는 가족이 있습니다. S4. 외국인들이 사는 가족도 있습니다. S5. 아빠나 엄마가 외국인인 가족도 있습니다.
③ 교사는 인원수에 따라 만들어진 가족의 종류에 대해 묻는다.
예) T. 그럼 인원수에 따라 만들어진 가족의 종류에 대해 말해볼까요? S1. 혼자 사는 가족이 있습니다. S2. 결혼 한 두 명이 사는 가족이 있습니다. S3. 아이가 한 명뿐인 가족이 있습니다. S4. 4명의 가족이 있습니다. S5. 6명의 가족이 있습니다. S6. 그보다 많은 수의 가족이 있습니다.
④ 지금까지 나온 가족들을 뭐라고 불러야 할지 발표해본다.
Tip _ 학생들은 모둠활동을 통해 칠판에 소개된 가족의 형태에 이름을 붙여보도록 한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이 이혼가족, 결손가족, 별거가족 등 부정적 명칭이 나오면 반드시 ‘한부모가족, 기러기가족(혹은 분리가족), 다문화가족 등 긍정적 명칭으로 수정해준다. 더불어 이러한 가족 형태는 사회적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이상한 것이 아님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