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방학 중 연수' 이젠 달라져야 한다

이제 곧 방학이다. ‘교사의 방학’은 일반 회사원이나 행정직 공무원들에게는 부러움의 극치이다. 연차·월차 이것저것 다 끌어와도 기껏 일주일 정도의 휴가를 받는 이들에게 ‘월급까지 받으며 한 달을 쉬는’ 교사의 방학은 부러움을 넘어 따가운 눈총의 대상이다. 마치 방학 기간 내내 여행을 다닌다든지, 빈둥거리면서 놀고 있는 것처럼.

교사의 방학은 곧 연수
하지만 착각이다. 그런 눈총을 받는 것이 억울할 때도 있다. 방학은 학생들의 것이지 교사의 것은 아니다. 방학이라고 교육이 멈추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틈틈이 학교에 나가서 업무도 봐야 하고, 미뤄놨던 ‘연수’도 들어야 한다. 물론 학생들과 씨름해야 하는 일은 잠시 멈춰졌지만, 이런 재충전의 시간조차 없다면 교사들은 번아웃(burn out) 상태에 빠질 것이다. 교사들이 지치면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다. 결국 방학은 ‘질 높은 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재충전 시간이자, 자기계발 시간이다.

특히 바쁜 일상으로 인해 방학 때로 미뤄놨던 ‘교원 연수’를 듣느라, 교사들에게 ‘방학은 곧 연수’나 다름없다. 연수는 선택사항이 아니다. 교원의 연수는 법으로 정해져 있다. 교육공무원법에 ‘연수의 장(제37조~42조)’을 별도로 배정하여 ‘교육공무원은 그 직책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단히 연구와 수양에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여 놓았다. 또한 현재 유·초·중·고 교사들은 연간 60시간 이상의 직무연수를 받지 않으면 교원평가에서 감점을 받도록 되어 있다. 교원연수는 곧 교원의 권리인 동시에 의무에 해당한다.
 
이처럼 중요한 교원 연수가 형식적이거나 소홀히 행해지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연수의 결과는 고스란히 최종 수혜자인 학생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부실한 연수는 학생들에게 도리어 해악이 될 수도 있다. 어제와 오늘이 다른 세상에서 그 어떤 분야보다 시대에 맞추어 빠르게 적응하고 주도해 가야 하는 분야가 ‘교육’이다. 여차하면 교사가 가르치는 교과서 모두가 ‘낡은 역사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교육 질 높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실제 아찔했던 순간이 있었다. 4년 전, <정보통신활용> 과목의 교과서를 집필할 때의 일이었다. 집필진 사이에서 ‘통신기기의 활용’이라는 단원에 폴더폰과 스마트폰 중에 어느 것을 주요 소재로 삼을 것인가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당시는 스마트폰이 막 보급되기 시작한 때라서 폴더폰 사용자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오랜 논쟁 끝에 ‘폴더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판단으로 기기를 결정했다. 교과서가 발간되고 일 년도 채 되지 않아 폴더폰은 자취를 감추고 스마트폰이 대세인 세상이 되었다.

이처럼 가르치는 일을 하는 교사들에게 시대의 변화는 다른 직종보다 민감할 수밖에 없다. 급변하는 세상에 맞추려면 교사들도 바뀌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연수의 중요성은 새삼 주목받고 있다. 교사들의 연수는 타 직종의 연수에 비해 더욱 중요한 의미가 있다.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역시 교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강좌를 개설하여 연수를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제도 운용에 문제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첫째, 인터넷 원격 연수의 남발이다. 예전에는 연수의 대부분이 집합 연수였다. 그러다 보니 방학이 아니면 받기 힘들었다. 연수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학교나 개인 모두에게 정말 큰 행사였다. 연수장 근처에 숙소를 구해야 했고, 연수가 끝날 때쯤이면 수업 내용을 적은 공책을 복사하기 위해 연수장 근처 인쇄소가 북적거렸다. 그러나 그런 연수의 풍경은 아득한 추억이 됐다. 인터넷을 통한 원격 연수가 태반이고 집합 연수도 그렇게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요즘 교사들이 주로 이용하는 연수는 ‘원격 교육’이다. 그런데 각 기관의 연수 프로그램이 대동소이하다. 심지어 같은 프로그램을 올려두는 일도 있다. 많은 프로그램이 있어 보이지만 막상 선택하려면 들을 만한 것이 없다. 제목만 다를 뿐 유사한 내용으로 개설된 강좌가 너무 많다. 또한 의무적으로 들어야 하는 ‘안전교육’, ‘성교육’, ‘자살예방교육’ 등의 강좌는 들으나 마나 한 내용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교사들이 원격 연수로도 다양하고 질 높은 자기계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히고, ‘내용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 현장 교사들의 여론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