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1 (목)

  • 흐림동두천 4.5℃
  • 맑음강릉 8.1℃
  • 구름많음서울 6.8℃
  • 구름많음대전 8.1℃
  • 맑음대구 5.6℃
  • 맑음울산 8.0℃
  • 맑음광주 6.8℃
  • 맑음부산 10.4℃
  • 맑음고창 3.5℃
  • 구름조금제주 12.8℃
  • 흐림강화 5.9℃
  • 구름많음보은 6.7℃
  • 흐림금산 7.3℃
  • 맑음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교경영

울산 녹수초등학교 ‘피톤치드 과정중심평가 연구회’

평가방법 바꿨더니 창의력 쑥쑥, 수업 재미 뿜뿜!

피톤치드 과정중심평가연구회를 만난 것은 순전히 착각 때문이었다. ‘피톤치드’라는 말에 산 좋고 물 좋은 곳으로 찾아다니는 교사 힐링 모임으로 알았다. 그런데 뒤에 따라 붙은 과정중심평가연구회라는 단어를 보면서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 뭘 하는 곳이지?


“가끔 헷갈려 하는 분들이 있어요. 피톤치드는 Feedback your ton Cheer up your dream이라는 영문의 머리글을 조합한 약자입니다. 교과별 성취 수준(your ton)에 맞는 피드백(Feedback)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 수준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Cheer up your dream) 학생참여형 과정중심평가 방법을 연구하는 모임이라는 의미죠.”


연구회를 이끌고 있는 울산 녹수초 신동철 교사는 지난 2015년 3월 서열 중심의 학생 평가 방법을 바꾸어 보자는 취지에서 교사들이 의기투합해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단순한 지식만을 넣어주는 전달자가 아니라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의 키팅 선생처럼 뭔가 살아있는 교육을 해보고 싶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들끓는 열정도 잠시, 막상 평가 방법을 개선해 보자고는 했지만 과정중심평가를 어떻게 해야 할지, 어떤 방향으로 개선해 나가야 하는지 막막하기만 했다. 뭔가 롤모델이 필요했다. 연구회 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학교들을 수소문했다. 경기도 일대를 뒤진 끝에 몇몇 학교를 찾아냈고 틈나는 대로 현장을 방문, 눈으로 보고 몸으로 체험했다. 어떻게 하면 수시평가, 상시평가 등 새로운 방법이 학생들에게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줄 수 있을까? 교사들은 다시 머리를 맞댔다.



우선 학년 부장들이 나섰다. 그리고 이들을 중심으로 교사 연수를 시작하고 평가지를 만들어 새로운 평가 방법을 모색했다. 그리고 얼마 되지 않아 전체 교사들이 참여하는 연구회가 탄생했다.

연구회 활동 방향은 크게 두 가지. 우선 전문성 향상이다. 교사들은 주제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과정중심평가 전문가를 초빙해 자발적인 연수를 진행했다. 또 집단지성을 통한 연구회 활동에 중점을 뒀다. 학년별로 관찰법, 체크리스트, 산출물 평가, 서술형평가, 수행평가 등 다양한 평가를 적용해 보고 장단점을 분석한 뒤 개선 방 안을 찾아나갔다. 신 교사는 “각 교과별로 유기적인 연계가 중요한 만큼 교사들의 자발 적인 협력이 필요했다”며 “전체 교사가 하나의 학습공동체를 이룬 것이 무엇보다 큰 의 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협동학습, 하브루타 학습을 중심으로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 협의를 수시로 진행하고 수업 공감day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연구 활동을 전개했다. 수업 공감day란 매주 금요일마다 학년별로 한 주간의 과정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스스로 평가하고 문제점을 보완하는 일종의 동료평가다. 교사 상호 간 수업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교육과정 재구성과 평가 방법에 대한 공감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한다. 연구회는 또 기능중심, 협력중심, 산출물형 평가 등 수행평가를 학년별로 적용해보고 평가기준안과 평가 자료 개발 및 보완에도 힘을 쏟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이들의 수업태도가 이전과는 확연히 달려졌다. 우선 지필고사를 보지 않아 학생들의 시험 부담이 줄어들었다. 대신 수업 과정 하나하나에 대한 관심과 집중력은 더 높아졌다. 연구회에 참여한 한 교사는 “시험이 없어서인지 학생들의 부담감이 확실히 줄어든 모습이고 과정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아이들끼리 토론도 하고 소통도 할 수 있어 좋아하는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주제중심의 달라진 수업방식도 아이들에겐 흥미롭다. 예컨대 배려라는 주제를 정해놓고 도덕, 국어, 미술 수업이 하나의 유기체처럼 운영된다. 도덕 시간에 배려의 의미와 가치를 설명하면 국어 시간에는 이를 주제로 학생들이 토론하고 느끼는 바를 적는 글쓰기 과정이 진행된다. 이어 미술 시간에는 배려를 주제로 그림 그리기를 해보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과목 수업이 토론과 프로젝트 학습 등 학생참여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수업 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발표하는 학생들도 눈에 띄게 늘었다. 교사들도 평가 방식이 바뀌면서 교사 중심 수업에서 학생 중심 수업으로 전환돼 다양한 프로젝트 활동을 할 수 있어 좋다는 반응들을 내놨다.


사실 처음 과정중심평가를 한다고 했을 때 학력 저하를 걱정하는 학부모들의 우려가 있었다. 자녀의 성적표를 받아들면 점수와 석차부터 확인하는 것에 익숙해 있던 터라 성과에 의구심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던 학부모들이 이제는 “공부는 결과보다 과정 하나하나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집에서는 몰랐던 자녀의 잠재력을 파악할 수 있게 돼 고맙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고 교사들은 귀띔했다.


다만 교사들의 업무 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한계였다. 교재연구와 수업준비, 생활지도, 쏟아지는 공문들을 처리하고서야 짬을 내 연구 활동을 하다 보니 늘 시간이 부족했다. 밤늦은 시간까지 회의하기 일쑤였고 때로는 휴일도 반납해야 했다. 그래도 교사들은 자신들의 희생과 노력이 우리의 교육에 새로운 희망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잃 지 않았다.


신 교사는 “수업활동에서 학생들의 기능과 태도를 평가하고 수준에 맞는 피드백을 수시로 실시,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높인 것이 큰 성과”라며 “안내자로서 또는 조력자로서의 교사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새삼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